$\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 보건소 내원 영유아의 발달지연의심 예측요인
Predicting Factors of Developmental Delay in Infant and Early Children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1, 2013년, pp.12 - 20  

주현옥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박유경 (동아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  김동원 (동아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의 발달지연의심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영유아의 성장발달 지연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B시 16개구 보건소를 방문한 0-6세까지의 영유아와 그의 어머니로 총 133명이었고, 영유아의 발달검사를 위해서는 한국형 덴버 II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SPSS 19.0을 이용하여 ${\chi}^2$-test와 Fisher's exact test,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신체계측 결과 체중 3백분위 미만은 7.5%였고, 현재체중 백분위가 출생시 체중백분위보다 성장곡선 두 칸 이상 감소한 경우는 8.4%였다. 한국형 덴버 II 결과에 의한 발달지연의심 비율은 9.8%였다. 영유아의 발달지연의심 예측요인은 체중백분위 변화, 경제상태,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발달상태였다. 즉, 출생시 체중백분위가 '감소'하는 경우가 '유지'되는 경우보다 발달지연의심이 나타날 확률이 6.69배 높았고, 경제상태가 '하'인 경우가 '중'인 경우보다 발달지연의심이 나타날 확률이 6.26배 높았으며, 어머니가 지각한 아기의 발달상태가 '의심'인 경우가 '정상'인 경우보다 발달지연의심 비율이 4.99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 영유아들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위해서는 출생 시부터 주기적으로 아동의 성장발달상태를 관리하는 정부차원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고, 특히 저소득층 및 1세 이하의 영아들을 위한 보다 짧은 주기의 성장발달평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suspicious developmental delay in infants and early childhood. Methods: Participants were 133 infants, aged from birth to 6 years old and their mothers, who were being seen at 16 Public health centers in B city. Korean D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성장은 신체상의 양적인 변화를, 발달은 질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성장과 발달은 보통 하나의 단위로 일컬어지며 상호관계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떨어져서 일어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성장장애로 발달지연을 예측해 보고자 본 변수를 선택하였다.
  • 본 연구는 B시에서 실시한 영유아 성장발달 스크리닝 결과를 분석 하여 보건소 내원 아동의 성장발달상태 및 발달지연의심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B시에서 실시한 영유아 성장발달 스크리닝 사업의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것으로 16개구 보건소에 발달검사를 위해 내원한 아동의 신체성장과 발달상태를 알아보고,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발달지연을 조기에 발견하고, 영유아 건강증진 사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일개 시 보건소에 내원하는 영유아기 아동들의 성장 및 발달 상태를 파악하고, 의심스런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 하여, 보건소에서의 성장발달 스크리닝 사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상태 및 발달지연의심 예측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B시 영유아 성장발달 스크리닝 사업에서 실시한 성장발달검사 결과를 보고하고, 발달지연의심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여 영유아의 성장발달 지연 예방 및 육아상담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기란? 영유아기는 인간발달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중요한 시기로 발달속도가 매우 빠를 뿐 아니라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기이다. 특히, 발달의 기초가 이루어지는 3세 이전의 경험 및 돌봄의 질은 개인의 평생 건강과 안녕을 좌우하는 기초가 되고(Bang, 2001; Han, 1997), 이후 발달과의 연계성과 지속성에 있어서도 결정적 요인이 된다 (Anderson et al.
3세 이전의 경험 및 돌봄의 질이 가지는 의미는? 영유아기는 인간발달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중요한 시기로 발달속도가 매우 빠를 뿐 아니라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기이다. 특히, 발달의 기초가 이루어지는 3세 이전의 경험 및 돌봄의 질은 개인의 평생 건강과 안녕을 좌우하는 기초가 되고(Bang, 2001; Han, 1997), 이후 발달과의 연계성과 지속성에 있어서도 결정적 요인이 된다 (Anderson et al., 2003).
3세 이전 시기의 특징은? , 2003). 더욱이 이 시기는 뇌가 아직 발달단계에 있어 여러 가지 자극과 치료에 대한 가소성(plasticity)이 높으므로 성장발달지연이나 의심에 대해 적극적인 조기중재가 이루어진다면, 추후에 남을 수 있는 부정적 결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Anderson et al., 2003; Burger, 2010; Nelson,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01). Developmental surveillance and screen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Pediatrics, 108, 192-196. http:// dx.doi.org/10.1542/peds.108.1.192 

  2. Anderson, L. M., Shinn, C., Fullilove, M. T., Scrimshaw, S. C., Fielding, J. E., Normand, J., et al. (2003). 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programs: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4(3), 32-46. http://dx.doi.org/10.1016/S0749-3797(02)00655-4. 

  3. Bang, K. S. (2001). Eects of maternal role education program on the mother- infant interaction and infant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7, 21-34. 

  4. Bang, K. S., Kim, Y. S., Park, J. W., & Lee, H. J. (2002). Analysis on the results of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n one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8, 302-312. 

  5. Bradley, R. H., Corwyn, R. F., McAdoo, H. P., & Coll, C. G. (2001). The home environments of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part I: variations by age, ethnicity, and poverty status. Child Development, 72, 1844-1867. 

  6. Burger, K. (2010). How does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affect cognitive development? An international review of the eects of early interventions for children from dierent social background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5, 140-165. http://dx.doi.org/10.1016/j.ecresq. 2009.11.001 

  7. Cho, W. J., Oh, K. S., Kim, E. S., Kim, I. S., Seo, H. M., Ham, O. K., et al. (2002). Development of a community-based nursing center model: Focused on health promotion of infant & toddler. Journal of the Korean Community Nursing, 13, 795-807. 

  8. Duncan, G. J., Brooks-Gunn, J., & Klebanov, P. K. (1994). Economic deprivation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65, 296-318. http://www.jstor.org/stable/1131385 

  9. Eun, B. L., Kim, S. W., Kim, Y. K., Kim, J. W., Moon, J. S., Park, S. K., et al. (2007). Introduction of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 and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 Child Neurology Society, 15, 142-147. 

  10. Frankenburg, W. K. (1994). Preventing developmental delays: Is developmental screening sucient? Pediatrics, 93, 586-593. 

  11. Han, K. J. (1997). e study on the maternal burden of caretaking, the support and educational need for the caretaking activities of the infants' mother.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3, 228-239. 

  12. Han, K. J., Bang, K. S., & Yun, S. N. (2001). The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and analysis of 'child growth and developmental clinic'-focusing on the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Community Nursing, 12, 49-59. 

  13. Hwang, M. N. (2006). Technical support and developmental strategies of growth and developmental screening program for infants and children in health center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airs. 

  14. Ju, H. O. (2008). Growth and development in infants and children born prematurely who were register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 in G 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 44-52. 

  15. Kim, H. J., Bang, K. S., Yoo, J. S., Kim, H. S., Tak, Y. J., & Huh, B. Y. (2011). A study to assess the need of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for children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in a province. Journal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2, 212-222. 

  16. Kim, K. E. (2012). Maternal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arental involvement and their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9, 1-17. 

  17. Kim, T. I., Kim, M. J., Kwon, Y. J., & Jun, M. K. (2010). Evaluation of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al status of infants and childre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 164-174. http://dx.doi.org/ 10.4094/jkachn.2010.16.2.164 

  18. Kim, Y. H., Kwon, B. S., Nam, H. K., An, M. S., Yang, Y. O., Oh, S. E., et al. (2010). Wong's essentials pediatric nursing. Seoul: Hyunmoon Co. 

  19. Lee, G. (2000). The seoul infant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Journal of the Korean Pediatric Association, 43, 335-343. 

  20. Miller, L. J., & McNulty, B. A. (1994). Journey to a desirable future: A values- based model of infant and toddler assessment. Zero to ree, 14(6), 23-27.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April 1). Life style/Health promotion/ Infant health care. Retrieved September 5, 2012, from http://www.mw. go.kr/front_new/jc/sjc0104mn.jsp? PAR_MENU_ID06&MENU_ ID060404 

  22. Moon, J. S., Kim, J. Y., Chang, S. H., Choi, K. H., Yang, H. R., Seo, J. K., et al. (2008).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estionnaire and guidelines for the korea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s and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11, 42-55. 

  23. Moon, J. Y. (2010). Review of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 and childre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3, 377-385. http://dx.doi.org/10.5124/jkma.2010.53.5.377 

  24. Nelson, C. A. (2000). The neurological bases of early intervention. In J. P. Shonkoff & S. J. Meisels (2nd ed.). Handbook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pp. 204-227).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Park, O. J., Lee, M. J., Kim, J. H., Min, S. H., & Lee, H. S. (2009). The effect of nutrition plus program among 0-5 year children in the Yeojoo area: The improvement in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aer nutrition supplement of children and nutrition education in parents/guardians.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4, 767-776. 

  26. Shin, H. S., Han, K. J., Oh, G. S., Oh, J. J., & Ha, M. N. (2002). A guide book of Korean Denver II. Seoul: Hyunmoon C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