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토리화분과 다래화분의 일반성분, 지방산 분석 및 형태 관찰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pollens in acorn and darae(Actinidia arguta) 원문보기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v.51 no.2, 2013년, pp.119 - 122  

홍인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만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우순옥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심하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최용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한상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혜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변규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명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정봉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생산량이 많은 도토리화분과 다래화분을 동결 건조하여 일반성분과 지방산 성분을 비교하였으며 전자현미경(SEM)을 통하여 세포벽 구조를 확인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도토리화분은 수분 11.7%, 회분 2.6%, 조단백질 24.1%, 조지방 11.8%, 조섬유 1.9%, 탄수화물 함량은 47.9%이었으며, 다래화분은 수분 4.3%, 회분 2.3%, 조단백질 35.8%, 조지방 8.7%, 조섬유 0.8%, 탄수화물 함량은 48.1%였다. 동결건조한 도토리화분의 조단백질 함량은 26.5%로 약 10% 증가하였으나 조섬유 함량은 0.4%로 감소하였고, 동결건조 다래화분의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각각 35.7%, 9.1%로 약간 증가하였으나 조섬유 함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도토리화분에는 linoleic acid, 다래화분에는 linolenic acid의 지방산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docosadienoic acid, eicosadienoic acid, erucic acid 등의 지방산은 도토리화분에만 존재하였다. 도토리화분은 단립이며 모양은 장구형(prolate)이고 극면상은 난형이며 발아구는 3구형이다. 또한 다래화분은 단립이며 모양은 아장구형(subprolate)이고 극면상은 원형이며 발아구는 3구형이다. 도토리화분과 다래화분을 동결건조하면 세포벽이 파열되어 세포질이 나출되는 양상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lens have been known to possess various biological properties. Therefore, pollens have been extensively used in functional food, folk medicine, and beverage industry to improve human heal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optimized protocol for cytoplasm isolation of bee pollen. Data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9). 본 연구에서는 화분의 영양 성분 추출방법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국내에서 생산량이 많은 도토리화분과 다래화분을 동결건조하여 일반성분과 지방산의 성분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꿀벌화분이란? 화분은 꿀벌의 유충과 성충의 단백질원으로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이 풍부하며, 또한 로열 젤리(royal jelly)의 원료이다. 꿀벌화분(bee pollen)은 일벌이 어린 벌에게 먹이기 위해서 다리에 묻혀 오는 화분에 꿀과 효소가 혼합되어 경단처럼 뭉쳐진 덩어리로 일반 화분보다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오래전부터 자연 건강식품으로 이용되어 왔다(Todd and Bretherick 1942, Chung et al. 1984, Kim et al.
도토리화분과 다래화분을 동결건조하여 일반성분과 지방산 성분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국내에서 생산량이 많은 도토리화분과 다래화분을 동결건조하여 일반성분과 지방산 성분을 비교하였으며 전자현미경(SEM)을 통하여 세포벽 구조를 확인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도토리화분은 수분 11.7%, 회분 2.6%, 조단 백질 24.1%, 조지방 11.8%, 조섬유 1.9%, 탄수화물 함량은 47.9%이었으며, 다래화분은 수분 4.3%, 회분 2.3%, 조단백질 35.8%, 조지방 8.7%, 조섬유 0.8%, 탄수화물 함량은 48.1%였다. 동결건조한 도토리화분의 조단백질 함량은 26.5%로 약 10% 증가하였으나 조섬유 함량은 0.4%로 감소하였고, 동결건조 다래화분의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각각 35.7%, 9.1%로 약간 증가하였으나 조섬유 함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도토리화분에는 linoleic acid, 다래화분에는 linolenic acid의 지방산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docosadienoic acid, eicosadienoic acid, erucic acid 등의 지방산은 도토리화분에만 존재하였다. 도토리화분은 단립이며 모양은 장구형(prolate)이고 극면상은 난형이며 발아 구는 3구형이다. 또한 다래화분은 단립이며 모양은 아장 구형(subprolate)이고 극면상은 원형이며 발아구는 3구형이다. 도토리화분과 다래화분을 동결건조하면 세포벽이 파열되어 세포질이 나출되는 양상을 보였다.
벌이 하는 일은? 벌은 식물의 꽃에서 꿀과 화분(꽃가루)을 모아 온다(Ryu 2003). 화분은 꿀벌의 유충과 성충의 단백질원으로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이 풍부하며, 또한 로열 젤리(royal jelly)의 원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bouda Z, Zerdani I, Kalalou I, Faid M, Ahami MT (2011)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Moroccan bee bread and beepollen(fresh and dried) against pathogenic bacteria. Res J Microbiol 6, 376-384. 

  2.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3. Blackmore S, Wortley AH, Skvarla JJ, Gabarayeva NI, Rowley JR (2010) Developmental origins of structural diversity in pollen walls of Compositae. Plant Syst Evol 284, 17-32. 

  4. Choi JH, Yim GY, Jang SY, Jeong YJ (2007) Inhibition effect of the harmful food-born microorganisms on germination condition of acorn pollen. Korean J Food Preserv 14, 87-93. 

  5. Choi SJ, Jeong YH (2004) Effect of proteases on the extraction of crude protein and reducing sugar in poll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353-1358. 

  6. Chung YG, Yoon SH, Kwon JS, Bae MJ (1984) Nutritional and biochemical studies on the pollen loads studies on lipid compositions of sunflower pollen load and effects of its pollen load on liver cholesterol metabolism in mouse. J Korean Soc Food Nutr 13, 169-174. 

  7. Fang KF, Wang YN, Yu TQ, Zhang LY, Baluska F, Samaj J, Lin JX (2008) Isolation of de-exined pollen and cytological studies of the pollen intines of Pinus bungeana Zucc. Ex Endl. and Picea wilsonii Mast. Flora 203, 332-340. 

  8. Han MR, Lee SJ, Kim MH (2004) Development of pine pollen cell wall rupture technique using a high impact planetary milling process. Dankook Journal of the New Material Technology 12, 43-54. 

  9. Kim DS (1989) Effect of larva gut enzyme on polle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404-408. 

  10. Kim JB, Kim KH, Hong SB, Park JS, Lee JY, Kim SS, Bae SC, Cho J, Lee DJ (2007) Screening of GLA ( $\gamma$ -linolenic acid) from fungi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scopy. Kor J Mycol 35, 96-100. 

  11. Kim JG, Son JH (1990) Progress of chemical composition on pulverization of pollen loads. Korean J Apiculture 5, 23-30. 

  12. Kim JW, Shin SC, Kim BK (1984) Studies on pollen preparations and as a health food(I). Kor J Pharmacogn 15, 147-149. 

  13. Kress WJ, Stone DE, Sellers SC (1978) Ultrastructure of exine-less pollen: Heliconia(Heliconiaceae). Amer J Bot 65, 1064-1076. 

  14. Lee BY, Choi HD, Hwang JB (1997) Component analysis of Korean pollens and pollen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69-875. 

  15. Lee S (1984) Contributions of palynological characters to plant systematics. Kor J Plant Tax 14, 13-20. 

  16. Lee ST (1986) Palynology and plant systematics. Korean J Apiculture 1, 46-53. 

  17. Li F, Yuan QP, Rashid F (2009) Isolation, purification and immunobiological activity of a new water-soluble bee pollen polysaccharide from Crataegus pinnatifida Bge. Carbohydrate Polymers 78, 80-88. 

  18. Metcalfe LD, Schmitz AA, Pelka JR (1966) Rapid preparation of fatty acid esters from lipids for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al Chem 38, 514-515. 

  19. Petrovic M, Kezic N, Bolanca V (2010) Optimization of the GC method for routine analysis of the fatty acid profile in several food samples. Food Chem 122, 285-291. 

  20. Roulston TH, Cane JH (2000) Pollen nutritional content and digestibility for animals. Plant Syst Evol 222, 187-209. 

  21. Ryu JB (2003) Classification of honey plants in Korea. Korean J Apiculture 18, 5-22. 

  22. Stanley RG, Linskens HF (1965) Protein diffusion from germinating pollen. Physiol Plant 18, 47-53. 

  23. Stanley RG, Linskens HF (1974) Pollen: biology, biochemistry, management. 1st edn. Springer, Heidelberg, Germany. 

  24. Todd FE, Bretherick O (1942) The composition of pollens. J Econ Entomol 35, 312-317. 

  25. Xu X, Sun LP, Dong J, Zhang HC (2009) Breaking the cells of rape bee pollen and consecutive extraction of functional oil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nnovative Food Science and Emerging Technologies 10, 42-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