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곤약 글루코만난을 첨가한 식빵 급여가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흰쥐의 체중 및 혈청지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ite Bread with Konjac Glucomannan on Body Weight and Serum Lipids on Rats with Diet-Induced Obesity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2, 2013년, pp.188 - 194  

박진수 (부산여자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  이상일 (계명문화대학 식품영양조리학부) ,  박인식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곤약 글루코만난(liquid konjac)을 동결건조한 식빵에 첨가한 사료를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흰쥐에 6주간 급여하였을 때의 체중, 혈청지질, 비만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NC), 고지방식이 비만 대조군(HF), 고지방식이 비만+곤약 글루코만난을 10% 되게 혼합하여 동결건조 한 식빵을 사료에 10% 혼합한 식이군(KGM1) 및 비만+곤약 글루코만난을 20%되게 혼합하여 동결건조한 식빵을 사료에 20% 혼합한 식이군(KGM2)으로 구분(군당 7마리)하여 6주간 사육하였다. KGM1군과 KGM2군은 HF군에 비하여 혈청 중성지질, 총지질,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함량 및 atherogenic index(AI)는 감소하였으나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증가하였다. KGM1군과 KGM2군은 HF군의 체중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곤약 글루코만난 첨가 식빵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체중감소율이 높았다. 체지방 함량은 NC군 및 HF군에서는 실험식이 6주후에 크게 증가하였으나 KGM1군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고, KGM2군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곤약 글루코만난 첨가 식빵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에서 체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white bread supplemented with konjac glucomannan on diet-induced obesity in rats were investigated. Four groups of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examined: a non-obese control group (NC), an obese high fat diet group (HF), an obese high fat diet group given bread supplemented with 1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시마 식이섬유와 우렁쉥이 식이섬유를 빵에 첨가한 결과 노화가 지연된다는 보고도 있다 (21,22). 본 연구에서는 곤약 글루코만난(liquid konjac)을 첨가한 식빵을 동결건조 하여 10% 및 20%씩을 첨가한 식이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의 비만 index, 혈청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어떤 증상인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이 소비량보다 많을 때 여분의 에너지가 체내에 과다하게 축적되어 체중이 증가함으로써 나타나는 증상으로 생활습관 특히 식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5). 최근 비만을 예방하거나 치유하기 위한 방안으로 식이섬유의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
곤약 글루코만난을 포함한 다당체와 이들의 oligosaccharides는 어떤 활용성이 있는 소재인가? 곤약 글루코만난을 포함한 다당체와 이들의 oligosaccharides는 몇 가지 점에서 그 활용성이 증가되고 있다. 즉, 이들은 혈당 증가와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하지 않으며 칼로리가 0~3 kcal/g으로 낮고, 장내를 산성으로 유지하여 장내에서 건강에 도움을 주는 미생물의 생육 환경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설사 증상을 개선하거나 억제하며, 장내에서 칼슘, 망간, 철과 같은 무기질의 흡수를 촉진케 함으로써 식품산업에의 응용성이 높은 소재이다(3)
식이섬유는 무엇이라고 정의되는가? 또 미국/캐나다 Dietary Reference Intakes에서는 관상심장질환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19세에서 50세의 성인 남성과 여성에 1일 38 g 및 25 g의 식이섬유의 섭취를 권장(20)하였다. 식이섬유는 사람의 소화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는 식물세포 잔유물로 정의되나 그 종류에 따라서 생리적 효능이나 대사적 기능성이 서로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식빵 제조에서 식이섬유를 접목한 연구사례는 다수가 발표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Liu C, Xiao C. 2004. Characterization of konjac glucomannan- quaternized poly(4-vinyl-N-butyl) pyridine blend films and their preservation effect. J Appl Polym Sci 93: 1868-1875. 

  2. Kim KS, Kim SD, Seo KI, Shin SY, Yoon KS, Cho YS. 2004. Food Chemistry. World Science, Seoul, Korea. p 79. 

  3. Ngo DN, Kim MM, Kim SK. 2008. Chitin oligosaccharides inhibit oxidative stress in live cells. Carbohydr Polym 74: 228-234. 

  4. Newman RK, Newman CW, Graham H. 1989. The hypocholesterolemic function of barley ${\beta}$ -glucans. Cereal Foods World 34: 883-886. 

  5. Deshaies Y, Begin F, Savoie L, Vachon C. 1990. Attenuation of the meal-induced increase in plasma lipids and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by guar gum in rats. J Nutr 120: 64-70. 

  6. Nishina PM, Schneeman BO, Freedland RA. 1991. Effects of dietary fibers on nonfasting plasma lipoprotein and apolipoprotein levels in rats. J Nutr 121: 431-437. 

  7. Wolever TMs, Jenkins DJA. 1993. Effects of fiber and foods on carbohydrate metabolism. 2nd ed. In Dietary Fiber in Human Nutrition. Spiiier GA,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11-52. 

  8. Trowell H, Southgate DA, Wolever TM, Leeds AR, Gassull MA, Jenkins DJ. 1976. Dietary fiber redefined. Lancet 1:967. 

  9. Leinone KS, Poutanen KS, Mykkanen HM. 2000. Rye bread decreases serum total and LDL cholesterol in men with moderately elevates serum cholesterol. J Nutr 130: 164-170. 

  10. Kim SJ, Choi WS, You SG, Min YS. 2007. Effect of glucomannan on quality and shelf-life of low-fat chicken patty. Korea J Food Sci Technol 39: 55-60. 

  11. Lee SK, Sin GL, Kim YH. 2005. Effect of mixed glucomannan and wheycalcium on the serum cholesterol and blood glucose in rats. J Fd Hyg Safety 20: 69-72. 

  12. Park SJ, Kang MH. 2003. The effect of dietary noodle with glucomannan on the weight los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J Korea Soc Food Sci Nutr 32: 893-898. 

  13. Yoo MH, Lee HG, Lim ST. 1997.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ms prepared with glucomannan extracted from Amorphophallus konjac.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255-260. 

  14. Gallaher DD, Gallaher CM, Mahrt GJ, Carr TP, Hollingshead CH, Hesslink R Jr, Wise J. 2002. A glucomannan and chitosan fiber supplement decreases plasma cholesterol and increases cholesterol excretion in overweight normocholesterolemic humans. J Am Coll Nutr 21: 428-433. 

  15. Westerterp-Plantenga MS. 2004. Fat intake and energybalance effects. Physiol Behav 83: 579-585. 

  16. Pilch SM. 1987. Physiological effects and health consequences of dietary fiber. Report for FDA,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USA. p 23-57. 

  17.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1990.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al disease. Technical Report Series No 797. Geneva. 

  18. Butrum RR, Clifford CK, Lanza E. 1988. NCI dietary guidelines: rationale. Am J Clin Nutr 48: 888-895. 

  19. Bagheri SM, Debry G. 1990. Estimation of the daily dietary fiber intake in France. Ann Nutr Metab 34: 69-75. 

  20. The Institute of Medicine (IMO).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p 936-967. 

  21. Han KH, Choi MS, Ahn CK, Youn MJ, Song TH. 2002. Soboru bread enriched with dietary fibers extracted from Kombu.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19-624. 

  22. Yook HS, Kim YH, Ahn HJ, Lee JW, Kim DJ, Kim JO, Byun MW. 2000.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and qualities of bread prepared with dietary fiber purified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 tun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387-395. 

  23. Finny KF. 1984. An optimized, straight-dough, bread-making method after 44 years. Cereal Chem 61: 20-27. 

  24. Shin KO, Lee SI, Kim SD. 2008. Diet of red ginsengcheonggukjang improves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symptoms and oxidative stress. Food Sci Biotechnol 17: 287-294. 

  25. Kim HS, Sung CJ. 2001. Effects of dietary zinc and iron levels on serum trace minerals and obesity index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25-330. 

  26.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7. SPSS. 2003.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Version 12. SPSS Inc., Chicago, IL, USA. 

  28. Lee IS, Lee SW, Lee IZ. 2003. Effects of tissue cultured ginseng on blood glucose and lipid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80-285. 

  29. Wilson JN, Wilson ST, Eator RP. 1984. Dietary fiber and lipoprotein metabolism in the genetically obese Zucker rats. Arteriosclerosis 4: 147-153. 

  30. Gordon T, Castelli WP, Hjortland MC, Kannel WB, Dawber TR. 1997. High density lipoprotein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coronary heart disease: The Framingham Study. Am J Med 62: 707-714. 

  31. Kanauchi O, Deuchi K, Imasato Y, Kobayashi E. 1994. Increasing effect of a chitosan and ascorbic mixture on fecal dietary fat excretion. Biosci Biotech Biochem 58: 1617-1620. 

  32. Jeon YJ, Kim SK. 2001. Effect of antimicrobial activity by chitosan oligosaccharides N-conjugated with asparagine. J Microbiol Biotechnol 11: 281-286. 

  33. Choi YS, Lee SY. 1993.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soybean products (curd or curd residue)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2: 673-677. 

  34. Park BH, Beck KY, Lee SI, Kim SD. 2006. Effect of chitosan- ascorbate containing soyfiber beni-koji on body weight and lipid content of obesity rats aid induced from high fat die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663-6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