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계획 및 관리에 있어서 계획지원시스템의 활용은 의사결정단계에서 고려할 수 있는 객관적 정보 제공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그러나 기존 계획지원시스템들은 환경생태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계획 수립과정에서 환경생태적 요소에 대한 고려가 가능한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은 계획 대상지에 대한 환경생태적 잠재성에 대한 분석에서부터 구체적인 계획안 수립과 평가에 이르는 계획 수립 전 과정에 대한 기능 지원이 가능하다. 주요 기능으로 계획 대상지의 토양, 물, 기후, 비오톱, 생태네트워크 및 여가공간 측면에서의 생태적 평가와 분석이 가능하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참조하여 생태적 특성이 고려된 토지이용계획수립이 가능하며, 수립된 토지이용계획안을 바탕으로 시각화와 생태적 측면에서의 시뮬레이션 평가가 가능하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계획지원시스템은 기존 시스템에서 고려가 미흡했던 생태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계획 수립과 관련한 의사결정과정을 지원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e of planning support systems in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provides objective information that is beneficial in the decision-making stage. The existing planning support system, however, lacks in the consideration of ecological properties. In this study, a planning support system develop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esigner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3차원 공간 표현 기술은 다음단계 활용 모듈인 Simulator의 3차원 도시공간모델링을 위해 필요하다. 또한 3차원 가상공간을 통해 실무 계획가, 정책결정권자, 시민 등의 계획대안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키는데도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되는 시스템은 기존 계획지원시스템에 대한 사례 검토를 통해 도출된 환경생태 부문에 대한 고려미흡을 개선하고, 계획 및 설계 기능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GIS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도시공간의 과학적 계획수립과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계획지원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계획지원시스템 관련 선행연구와 유사사례를 검토하였다.
  • ‘DELTA’모델을 활용한 연구 사례로 [10]의 연구에서는 ‘DELTA’ 모델과 교통모델인 ‘OmniTRANS’를 연계·이용하였다. 연구에서는 네덜란드 Delft시의 토지이용과 교통의 장기변화를 예측하여 교통에너지와 탄소배출량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토지 이용과 교통모델이 연계된 도시통합모델의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생태적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계획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계획지원시스템의 개념과 구축사례를 검토하여 도시환경의 생태적 계획 및 설계라는 계획지원시스템의 활용 목적을 설정하였다.
  • 또한 계획수립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참조 가능한 정보가 부족하고 계획수립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가공과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사례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환경생태분야의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분석, 계획, 평가 전 단계에 활용할 수 있는 생태도시계획지원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둘째, 계획과 설계지원이 가능한 작도 기능을 추가하여 시스템 상에서 직접적인 계획안 작성과 편집이 가능하게 구현한다. 일반적인 계획수립과정에서는 공간분석과 계획안 작도가 GIS 분석도구와 CAD로 대별되는 별도 시스템에서 수행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분석과 도면작도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의 한계는 무엇인가? 이에 반해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이하 EIAS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upport System)’은 종합적인 정보제공 포털성격을 갖는 시스템으로 환경영향평가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사전입지, 평가대상, 법령정보, 기상/기후, 연구보고서 등 다양한 평가와 관련된 행정정보와 GIS기반의 공간정보를 제공하고 있다[15]. 하지만 EIASS는 계획수립보다는 수립된 계획안에 대한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성격이 강하며, 직접적인 계획 및 설계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는 않다.
UrbanSim이란? ‘UrbanSim’은 토지이용, 교통, 환경간의 상호작용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도시개발의 분석과 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소프트웨어이다[26, 27]. 초기 모델은 토지이용을 고려한 토지시장 모델이었으나 이후 교통부문이 연계되고 환경분석 모듈을 추가하는 등 일부 기능이 환경부문으로까지 확대되어 개발하였다.
UrbanSim의 특징은 무엇인가? 초기 모델은 토지이용을 고려한 토지시장 모델이었으나 이후 교통부문이 연계되고 환경분석 모듈을 추가하는 등 일부 기능이 환경부문으로까지 확대되어 개발하였다. ‘UrbanSim’은 하나의 모델이 아니라 시스템 내에 다양한 모델들을 포함하고 있는 종합적 모델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20]. ‘UrbanSim’을 이용한 연구사례로 [9]의 연구에서는 지가모델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UrbanSim’의 하위모델인 토지가격모델을 활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tty, M. 1995, Planning Support Systems and the New Logic of Computation, Regional Development Dialogue, 16(1):1-17. 

  2. Brail, R; Klosterman, R. E.(Eds.), 2001, Planning Support System: Integ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Models, and Visualization Tools, ESRI Press, Redlands, CA. 

  3. David Simmonds Consultancy Limited, 2001, Delta Package, Accessed February 20. http://www.davidsimmonds.com/. 

  4. Geertman S; Stillwell, J. 2002, Planning Support Systems in Practice, Springer, Heidelberg, Germany. 

  5. Harris, B. 1989, Beyo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55:85-92. 

  6. Harris, B. 1999, Computing in Planning,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6(3):321-331. 

  7. Harry, B; Batty, M. 1993, Locational Models,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Planning,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12:184-198. 

  8. Jeon, B. K; Kim, C. J; Kim, C. S; So, J. K. 2012,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based Urban Planning Support System for Effective District Unit Planning,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2):104-115. 

  9. Joo, Y; Hassan, M. M; Jun, C. An Application of the UrbanSim Land Price Model in Yongsan-gu, Seoul,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 15(1):15-24. 

  10. Kim, K; Lee, C; Lee, S. 2010, A Scenario Analysis on Transport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Emission Using DELT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5(6):117-135. 

  11. Klosterman, R. E. 1997, Planning Support Systems,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17:45-54. 

  12. Klosterman, R. E. 1999, Guest Editorial: New Perspectives on Planning Support System,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6:317-320. 

  13.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2008, National Noise Information System, Accessed February 18. http://www.noiseinfo.or.kr 

  14.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2010, AirKorea, Accessed February 18. http://www.airkorea.or.kr/. 

  15.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5,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upport System, Accessed February 18. http://www.eaiss.go.kr/. 

  16. Korea Research Institute of Human Settlement, 2013,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 Accessed January 4. http://www.kopss.go.kr/. 

  17. Kwon, I; Choi, J; Choi, B. 2004, A Simulation of the Growth of seoul Metropolitan's Built-up Area with a GIS-based PSS Mode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9(7):69-84. 

  18. Lee, H. Y. 2007,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Planning Support System for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2(1):133-155. 

  19. Lee, J. S; Lee, S. W; Lee, S. Y; Hong, W. H. 2011, Development of Biotope area ratio Estimation Model using GI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19(2):9-18. 

  20. Lee, S. 2010, Development Scheme of a Land-Use Transport Model for Korea's Large Cities toward a Low-Carbon-Energy-Saving City,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5(1):265-281. 

  2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Water Quality Information system, Accessed February 18. http://www.koreawqi.go.kr/. 

  2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8, 3D GIS System of Seoul, Accessed February 18. http://3dgis.seoul.go.kr/. 

  2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1, GIS portal, Accessed February 18. http://gis.seoul.go.kr/. 

  24. Sohn, H. G; Kim, W. J; Park, C. H. 2000, Landscape Scale Ecosystem Assessment Modelling using Spatial Pattern Analysis of GIS: A Case Study of Yongin, Korea,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8(2):233-241. 

  25. TRANUS, 2013, TRANUS, Accessed January 4 http://www.tranus.com/. 

  26. UrbanSim, 2013, UrbanSim, Accessed January 4. http://www.urbansim.org/. 

  27. Waddle, P. 2002, UrbanSim: Modeling Urban Development for Land Use, Transportation, and Environmental Planni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8(3):297-314. 

  28. Woo, J. Y; Koo, J. H; Kim T. H; Hong, C. H. 2003,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Impact Syste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5(2):33-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