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 교육 전공 대학생의 기술적 문제 해결 성향과 기술적 문제 해결력 간의 상관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Major College Students'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betwee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Capability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6 no.6, 2013년, pp.38 - 44  

조한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업기술교육학과) ,  김태훈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major college students'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betwee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capability. To that end, th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ies of 79 students enrolled in engineering educ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술적 문제 해결에 대하여 공학 교육전공 대학생 스스로가 인지하고 있는 성향과 기술적 문제 해결력이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과 기술적 문제 해결력과의 상관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가) 30°인 비탈면 80cm 경사로를 내려와서 주행하고 정지하였을 때, 정지 지점과 목표 지점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 나) 무동력 자동차를 설계할 때 제동을 위한 장치를 장착하여야 한다.
  • 마) 모든 활동은 50분 안에 완료하여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 해결 성향에서 문제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문제 해결 성향에서 문제란 우울, 타인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어려움과 같은 심리적 부적응, 진로 결정, 또는 이혼을 해야하는가 말아야 하는가와 같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 생활에서 경험하는 개인적인 문제들로 정의한다(Heppner & Petersen, 1982; Heppner, 1988). 이와 같은 문제 상황에서 문제 해결 성향은 실제적인 문제 해결 기술이 아닌 개인의 문제 해결양식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행동과 태도, 그리고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자기 지각 정도를 평가한다(Heppner, 1988; Heppner & Baker, 1997).
기술적 문제 해결력은 무엇인가? 기술적 문제 해결력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 또는 행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문제 해결력의 개발은 기술적 교양의 핵심으로 볼 수 있다(Custer, Valesy & Burke, 2001; Savage & Sterry, 1991; 이한규, 2006; 곽유림, 2010). 이한규(2006)의 연구에 의하면, 선행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실제 기술적 문제 해결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예는 그리 많지 않으며, 대부분의 연구들은 기술적 문제 해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그 속에 기술적 문제 해결의 과정과 단계 및 절차의 개념뿐만 아니라, 행위의 결과로서 나타난 능력인 문제 해결력을 함께 다루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고 하였다.
PSI의 총 점수와 세 하위 요인별 점수가 낮을 수록 어떤 특징을 나타내는가? PSI의 총 점수와 세 하위 요인별 점수의 범위는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고, 세 부분의 점수대의 의미는 개인이 문제 해결 능력 및 양식에 대한 자기 평가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해준다. 세 하위 요인 및 총 점수는 낮을수록 스스로를 효율적인 문제 해결자로 지각하고, 높을수록 비효율적인 문제 해결자로 지각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곽유림(2010).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 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 기능의 상관.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 김동입(2008). 기술교육에서 문제 해결의 단계적 능력을 기르는 체험활동 과제의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3. 김태우(2009). 기술?가정과 '기술과 발명'단원에서 문제기반학습이 기술적 문제 해결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4. 김태훈(2002).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과 기술적 문제해결과의 관계. 한국기술교육학지, 2(2): 111-125. 

  5. 김태훈(2005). 공과대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 전략과 자아조절 관련 변인과의 상관 연구. 공학교육연구, 8(2): 64-83. 

  6. 김태훈(2007). 효율적인 문제 해결자와 비효율적인 문제 해결자의 기술적 문제 해결 활동 비교 분석. 공학교육연구, 10(3): 93-108. 

  7. 김태훈, 조한진(2012). 기술적 문제해결에서 MBTI 성격 유형과 팀 상호작용 간의 관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2): 160 -182. 

  8. 문대영(2001). 초 ? 중등학교 학생의 적응자.혁신자 역할 분담 문제 해결 활동이 기술적 창의력 계발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9. 봉서윤(2008).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전래동화 인물 특성에 따른 독서치료 원리 반응 비교.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10. 유리나(2010). 중학생의 두뇌 우성사고 유형과 기술적 문제 해결 성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11. 이한규(2006). 기술적 문제 해결력 평가틀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2. 임현우, 이동귀, 박현주(2004). 한국판 문제 해결질문지. 한국상담심리학회 Dr. Heppner 초청 특별 심포지움 상담에서의 문제 해결 발표 논문. 12월 18일. 서울: 서강대학교 이냐시오관. 미간행. 

  13. 정미숙(2006).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문제 해결능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14. 조선희(2009).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과학적 자료 해석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5. 조한진, 김태훈(2012). 기술적 문제 해결 성향과 MBTI 성격 유형 간의 관계 분석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110-129. 

  16. 최현동(2008). 초등학생과 대학생이 과학 관련 과제에서 사용한 분류 전략의 미시발생적 비교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7. 황설영(2005). 문제 해결검사의 타당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8. Amsel, E., & Brock, S.(1996). The development of evidence evaluation skills. Cognitive Development, 11: 523-550. 

  19. Custer, R. L., Valesey, B. G., & Burke. B. N.(2001). An assessment model for a design approach to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2(2): 5-20. 

  20. D'zurilla, T. J., & Nezu, A. M.(1990).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SPSI). Psychological Assessment, 2: 156-163. 

  21. Heppner, P. P.(1988). The Problem Solving Inventory (PSI) Manual. Palo Alto, CA, Counseling Psychologist. 

  22. Heppner, P. P., & Baker, C. E.(1997). Applications of the problem solving Inventory.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29: 229-241. 

  23. Heppner, P. P., Hibel, J. H., Neal, G. W., Weinstein, C. L., & Rabinowitz, F. E.(1982). Personal problem solving: A descriptive study of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 580-590. 

  24. Heppner, P. P., & Petersen, C. H.(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Th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9: 66-75. 

  25. ITEA(1996). Rationale and structure for the study of technology. VA: Author. 

  26. MacPherson, R. T.(1997). The relationship among content knowledge, technical experience, cognitive styles, critical thinking skills, problem solving styles, and near transfer trouble shooting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skills of maintenance technicia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Columbia. 

  27. Savage, E., & Sterry, L.(eds.)(1991). A conceptual framework for technology education. Reston, VA: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34 463). 

  28. Varnado, T. E.(2005). The effects of a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ctivity on FIRST LEGO league participant's problem solving style and perfo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Virgnia Tech, Blacksburg, Virginia. 

  29. Waetjen, W. B.(1989).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 A proposal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34464). 

  30. Wu, T. F., Custer, R. L., & Dyrenfurth, M. J.(1996). Technological and Personal Problem Solving Styles : Is there a Difference?.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7(2): 55-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