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만경험과 산후 우울이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hildbirth Experienc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Women after Bir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1, 2013년, pp.11 - 19  

여정희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전나미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fluence of childbirth experienc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women after birth. Methods: Two hundred and eleven postpartum women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on their childbirth experience during their admissio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위에 기술한 선행 연구와 연구자에 의해 삶의 질과 연관성이 확인된 또는 예측되는 여성의 일반적 특성 및 분만 관련 특성과 여성의 건강정도와 아기의 건강정도를 외생변수로 하여 이를 통제한 상태에서 분만경험과 산후 우울이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심리적, 신체적 웰빙, 감정, 자기통제, 사회적 관계, 현재 하고 있는 가사 일에 대한 만족도, 취미활동, 경제 사정을 포함하는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SBQOL)(1992)를 사용하여 출산 후 여성의 총체적인 삶의 질 측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 의의는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한 점과 여성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산모의 국한된 변인에서 더 광범위한 변인으로 발전시킨 점, 향후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에 관한 모형과 이론 개발의 시발점이 된 점이라 하겠다.
  • 본 연구는 분만경험과 산후 우울이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과 분만경험, 산후 우울을 파악하고, 대상자의 특성과 엄마와 아기의 건강정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삶의 질에 대한 분만경험과 산후 우울의 영향력을 규명하여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과 분만경험, 산후 우울을 파악하고, 여성의 일반적 특성 및 분만 관련 특성과 여성과 아기의 건강정도를 통제한 후 삶의 질에 대한 분만경험과 산후 우울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분만경험과 산후 우울 투입 시 여성의 특성과 여성과 아기의 건강정도는 삶의 질 영향요인이 아니었으며, 가장 강력한 삶의 질 영향요인은 산후 우울이고 다음은 분만경험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분만경험과 산후 우울이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출산 후 여성은 어떠한 삶의 질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가? 출산 후 여성은 피로, 유방 불편감, 배변장애, 지연된 출혈, 회음부 불편감등의 신체적불편감 뿐아니라 새로 태어난 아기를 양육해야 하는 어머니로서의 역할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여 생기는 심리사회적 어려움으로 인한 삶의 질의 변화를 경험한다(Hill&Aldag, 2007; McGovern et al., 2006; Symon, MacKay, & Ruta, 2003; Webster, Nicholas, Velacott, Cridland, & Fawcett, 2011).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은 여성이 속하는 문화적 맥락이나 가치 체계 내에서 자신이 인지하는 삶의 수준을 의미하며, 이는 대상자는 뿐 아니라 전인적 간호수행을 통해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 도모를 최종 목표로 하는 간호사에게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Hill & Aldag; World Health Organization, Division of Mental Health, 1993).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개인의삶의질은신체적,사회적,심리적 그리고 개인적인면을 포함한 다면적인 구조로 다양한 변인과 관련되어 있다(Da Costa, Dritsa, Rippen, Lowensteyn, & Khalifé, 2006).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와 아기의 질환, 사회적 지지, 우울이었고(Coyle, 2009), 그 외 대상자의 특성 중에서는 임신 합병증, 분만 종류(Da Costa et al.), 아기 성별(de Tychey et al., 2008)이고, 일반 여성의 경우는 경제 상태, 교육수준(Yoon, 2009) 등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가운데 우울은 출산 후 여성의 12-13% 정도에서 많게는 39%까지도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문제로 보고되고 있다(Beck & Indman, 2005; Howell, Mora, & Leventhal, 2006; Park, Shin, Ryu, Cheon, & Moon, 2004).
산후 우울을 겪게되는 여성은 어떻게 삶의 질이 저하되게 되는가? 산후 우울을 경험하는 여성은 우울감, 절망감, 불안, 극심한 피로, 심신 불안정, 식욕 부진, 수면 장애, 신생아 양육 능력에 대한 죄의식이나 부적절한 감정 등 으로 어려움을 경험한다(Murray & Cooper, 1997). 이로 인해 여성은 영아 양육에 대한 스트레스, 모성 역할에 대한 자신감 감소, 모성 정체감 저하 등의 심각한 정서적 어려움을 겪게 됨으로써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결과를 맞게 된다(DaCosta et al.;Kwon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ck, C. T., & Indman, P. (2005). The many faces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4(5), 569-576. http://dx.doi.org/10.1177/0884217505279995 

  2. Cho, Y. S. (1988). The effects of the husband's emotional support on the prevention of postpartum depression: Using an experimental teaching interven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 Choi, S. Y., Gu, H. J., & Ryu, E. J. (2011). Effects of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maternal perceived quality of life (MAPP-QOL) in early postpartum mothe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2), 118-125.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2.118 

  4. Cox, J. L., Holden, J. M., & Sagovsky, R. (1987).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0, 782-786. http://dx.doi. org/10.1192/bjp.150.6.782 

  5. Coyle, S. B. (2009).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others: A review of the research.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30(6), 484-506. http:// dx.doi.org/10.1080/07399330902801260 

  6. Da Costa, D., Dritsa, M., Rippen, N., Lowensteyn, I., & Khalife, S. (2006).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ostpartum depressed women.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9(2), 95-102. http://dx.doi.org/10.1007/ s00737-005-0108-6 

  7. de Tychey, C., Briancon, S., Lighezzolo, J., Spitz, E., Kabuth, B., de Luigi, V., et al. (2008). Quality of life, postnatal depression and baby gender.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3), 312-322. http://dx.doi.org/10.1111/ j.1365-2702.2006.01911.x 

  8. Dunbar, G. C., Stoker, M. J., Hodges, T. C. P., & Beaumont, G. (1992). The development of SBQOL-a unique scale for measuring quality of life. British Journal of Medical Economics, 2, 65-74. 

  9. Gamble, J., & Creedy, D. K. (2009). A counselling model for postpartum women after distressing birth experiences. Midwifery, 25(2), e21-e30. http://dx.doi.org/10.1016/j.midw.2007.04.004 

  10. Hardin, A. M., & Buckner, E. B. (2004). Characteristics of a positive experience for women who have unmedicated childbirth. The Journal of Perinatal Education, 13(4), 10-16. http://dx.doi.org/10.1624/105812404x 6180 

  11. Hill, P. D., & Aldag, J. C. (2007). Maternal perceived quality of life following childbirth.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6(4), 328-334. http://dx.doi.org/10.1111/j.1552-6909.2007.00164.x 

  12. Howell, E. A., Mora, P., & Leventhal, H. (2006). Correlates of early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10(2), 149-157. http://dx.doi.org/10.1007/s10995-005-0048-9 

  13. Kim, J. I. (2006). A validation study on the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Edinbe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3), 204-209. 

  14. Kwon, M. K., Kim, H. W., Kim, N. S., & Jang, J. A. (2006). Postpartum depression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parenting stress, and infant temperament in mothers of young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3), 314-321. M 

  15. arut, J. S., & Mercer, R. T. (1979). Comparison of primiparas' perceptions of vaginal and cesarean births. Nursing Research, 28(5), 260-266. http:// dx.doi.org/10.1097/00006199-197909000-00002 

  16. McGovern, P., Dowd, B., Gjerdingen, D., Gross, C. R., Kenney, S., Ukestad, L., et al. (2006). Postpartum health of employed mothers 5 weeks after childbirth. The Annals of Family Medicine, 4(2), 159-167. http://dx.doi. org/10.1370/afm.519 

  17. Murray, L., & Cooper, P. J. (1997). Postpartum depression and child development. New York: Guilford Press. 

  18. Oh, H. E., Sim, G. S., & Kim, J. S. (2002). The effects of prenatal education on primiparas' perception of delivery experienc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2), 268-277. 

  19. Oh, J. H., Lee, H. H., Kim, Y. K., Min, J., & Park, K. O. (2006). The effect of childbirth education and family participated delivery in a labor-delivery- recovery room on primiparas' anxiety, labor pain and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2(2), 145-156. 

  20. Park, Y. J., Shin, H. J., Ryu, H. S., Cheon, S. H., & Moon, S. H. (2004). The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5), 722-728. 

  21. Reeder, S. J., Martin, L. L., & Koniak-Griffin, D. (1997). Maternity nursing: Family, newborn, and women's health care (18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2. Soper, D. S. (2012). A-priori sample size calculator for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online software). Retrieved March 3, 2012, from http://www. danielsoper.com/statcalc3/ 

  23. Symon, A., MacKay, A., & Ruta, D. (2003). Postnatal quality of life: A pilot study using the Mother-Generated Index.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2(1), 21-29. 

  24. Tuohy, A., & McVey, C. (2008). Experience of pregnancy and delivery as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Psychology Health & Medicine, 13(1), 43-47. http://dx.doi.org/10.1080/13548500701294531 

  25. Webster, J., Nicholas, C., Velacott, C., Cridland, N., & Fawcett, L. (2011).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following childbirth: Impact of social support. Midwifery, 27(5), 745-749. http://dx.doi.org/10.1016/j.midw. 2010.05.014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Division of Mental Health. (1993). WHOQOL study protocol: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s (MNG/PSF/93.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7. Yoon, J. S., Kook, S. H., & Lee, M. S. (1998). A preliminary study on Korean version of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KvSBQOL).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7(2), 280-294. 

  28. Yoon, J. W. (2009). A prospective model of subjective life quality of clinical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29. Zubaran, C., & Foresti, K. (2011). Investigating quality of life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postpartum period. Women and Birth, 24(1), 10-16. http://dx.doi.org/10.1016/j.wombi.2010.05.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