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fluence of childbirth experienc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women after birth. Methods: Two hundred and eleven postpartum women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on their childbirth experience during their admission and on their postpartum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between one to three weeks after birth. Initial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 to May 30, 2011 at two obstetric hospitals in Busa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women's childbirth experience and postpartum depression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fter birth. The model explained 50% of the variables.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childbirth educators should include strategies to increase a positive childbirth experience and to decrease postpartum depression in thei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women's quality of life.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출산 후 여성 | 출산 후 여성은 어떠한 삶의 질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가? |
출산 후 여성은 피로, 유방 불편감, 배변장애, 지연된 출혈, 회음부 불편감등의 신체적불편감 뿐아니라 새로 태어난 아기를 양육해야 하는 어머니로서의 역할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여 생기는 심리사회적 어려움으로 인한 삶의 질의 변화를 경험한다(Hill&Aldag, 2007; McGovern et al., 2006; Symon, MacKay, & Ruta, 2003; Webster, Nicholas, Velacott, Cridland, & Fawcett, 2011).
출산 후 여성은 피로, 유방 불편감, 배변장애, 지연된 출혈, 회음부 불편감등의 신체적불편감 뿐아니라 새로 태어난 아기를 양육해야 하는 어머니로서의 역할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여 생기는 심리사회적 어려움으로 인한 삶의 질의 변화를 경험한다(Hill&Aldag, 2007; McGovern et al., 2006; Symon, MacKay, & Ruta, 2003; Webster, Nicholas, Velacott, Cridland, & Fawcett, 2011).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은 여성이 속하는 문화적 맥락이나 가치 체계 내에서 자신이 인지하는 삶의 수준을 의미하며, 이는 대상자는 뿐 아니라 전인적 간호수행을 통해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 도모를 최종 목표로 하는 간호사에게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Hill & Aldag; World Health Organization, Division of Mental Health, 1993). |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 |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와 아기의 질환, 사회적 지지, 우울이었고(Coyle, 2009), 그 외 대상자의 특성 중에서는 임신 합병증, 분만 종류(Da Costa et al.), 아기 성별(de Tychey et al., 2008)
개인의삶의질은신체적,사회적,심리적 그리고 개인적인면을 포함한 다면적인 구조로 다양한 변인과 관련되어 있다(Da Costa, Dritsa, Rippen, Lowensteyn, & Khalifé, 2006).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와 아기의 질환, 사회적 지지, 우울이었고(Coyle, 2009), 그 외 대상자의 특성 중에서는 임신 합병증, 분만 종류(Da Costa et al.), 아기 성별(de Tychey et al., 2008)이고, 일반 여성의 경우는 경제 상태, 교육수준(Yoon, 2009) 등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가운데 우울은 출산 후 여성의 12-13% 정도에서 많게는 39%까지도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문제로 보고되고 있다(Beck & Indman, 2005; Howell, Mora, & Leventhal, 2006; Park, Shin, Ryu, Cheon, & Moon, 2004). |
산후 우울 | 산후 우울을 겪게되는 여성은 어떻게 삶의 질이 저하되게 되는가? |
여성은 영아 양육에 대한 스트레스, 모성 역할에 대한 자신감 감소, 모성 정체감 저하 등의 심각한 정서적 어려움을 겪게 됨으로써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결과를 맞게 된다(DaCosta et al.;Kwon et al., 2006).
산후 우울을 경험하는 여성은 우울감, 절망감, 불안, 극심한 피로, 심신 불안정, 식욕 부진, 수면 장애, 신생아 양육 능력에 대한 죄의식이나 부적절한 감정 등 으로 어려움을 경험한다(Murray & Cooper, 1997). 이로 인해 여성은 영아 양육에 대한 스트레스, 모성 역할에 대한 자신감 감소, 모성 정체감 저하 등의 심각한 정서적 어려움을 겪게 됨으로써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결과를 맞게 된다(DaCosta et al.;Kwon et al., 2006).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