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열과 비가열 처리를 통한 액젓의 이화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Salt Fermented Anchovies with Heat Treatment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1, 2013년, pp.92 - 97  

강현우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조영제 (영산대학교 한국식품조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 fermented anchovies with heat treatment by measuring their chemical compositions. The heat-treated and non-heat treated salt fermented anchovies contained, respectively, 63.21 and 66.51% of moisture, 2.24 and 2.12% of total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멸치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젓의 가열 및 비가열 처리를 통한 액젓의 특성에 대하여 확인함으로써 액젓을 이용한 다양한 식품 개발 및 조리 방법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액젓을 다량 사용할 경우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액젓은 식품에 첨가하였을 때 감칠맛을 내는 반면에 다량 사용할 경우, 생선이나 해산물의 비린내나 불쾌치가 발생하기도 한다(Do et al 1993).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는 젓갈을 적게 사용하고, 기온이 높은 지역에서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멸치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젓의 단점은 무엇인가? 멸치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젓은 우리 음식문화에 빠지지 않고 사용되는 첨가물로써 멸치는 예로부터 높은 생리활성 효과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출 뿐 아니라 혈압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성장과 피로 회복에 탁월한 타우린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Cho & Rhee 1979). 이는 멸치에 포함된 다양한 유리아미노산 때문이지만, 반면에단백질 분해효소를 포함하고 있고,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대기 중에서 쉽게 산패가 진행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액젓은 무엇인가? 액젓이라 함은 예로부터 전통적인 방법에 의해 수산 발효 식품 중 어류나 갑각류 등을 일정량의 소금을 처리하여 발효 시킴으로 자가 소화 작용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의미하며 김치 제조, 식품 조리 중 무침이나 절임을 할 때 감칠맛을 부여 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천연 조미료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OAC (198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Cha YJ (1992)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Korean saltfermented anchovy. J Korean Soc Food Nutr 21: 719- 724. 

  3. Cha YJ, Kim H, Jang SM (1998)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salt-fermented anchovy sauce. J Human Ecology 2: 163-169. 

  4. Cho Y, Rhee HS (1979) A study on flavorous taste components in Kimchis.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26-31. 

  5. Choi GP, Kim SM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anchovy sauce prepared with sea tangle, ume, tochukaso and chitosa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i 34: 291-297. 

  6. Conway EJ (1950) Microdiffusion analysis and volumetric error. Crosby Lockwood and Son, London, England. 

  7. Do SD, Lee YM, Chang HG (1993) The study on kinds and utilities of Jeot-Kal(fermented fish products). Korean J Soc Food Sci 9: 222-229. 

  8. Ha JH, Moon ES, Ha SD (2007) Assessment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safety of commercial shrimp Jeotgal(salt fermented shrimp). J Fd Hyg Sasfety 22: 105-109. 

  9. Hjalmarsson GH, Park JW, Kristbergsson K (2007) Seasonal effec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ish sauce made from capelin (Mallotus villosus). Food Chem 103: 495-504. 

  10. Im YS, Choi YJ, Cho YJ (2000) Changes in color value of salt-fermented fish sauces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J Korean Fish Soc 33: 383-387. 

  11. Jang MR, Kim IY, Hong MS, Shin JM, Han KY (2004) Quali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fish sau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23-431. 

  12. KATS(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9) Anchovy sauce. KS H 6022. 

  13. KFDA(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1) Food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14. Kim BK, Kim YH, Lee HH, Cho YJ, Kim DS, Oh SM, Shim KB (2011)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biogenic amine contents of salt-fermented fish sauces produced in Korea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Jour Fish Mar Sci Edu 23: 607-614. 

  15. Lee EJ, Seo JE, Lee JK, Oh SW, Kim YJ (2008) Microbi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ready to eat skate in Korean market. J Fd Hyg Safety 23: 137-141. 

  16. Lee KH (1969) Microbioloical and enzymological studies on the flavor components of sea food pickles. J Korean Agric Chem Soc 11: 1-6. 

  17. Lee KH, Kim JH, Cha BS, Kim JO, Byun MW (1999) Quali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27-1433. 

  18. Lim SB, Kim DO, Kim SH, Mok CK, Pack YS (2001)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of Kochujang treated with heat and high hydrosatic press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11-616. 

  19. Lim SB, Yang MS, Kim SH, Mok CK, Woo GJ (2000) Changes in quality of low salt fermented anchovy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11-116. 

  20. Oh KS (1995) The comparison and index components in quality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487-494. 

  21. Oh KS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and sandlance sauce. J Korean Fish Soc 32: 252-255. 

  22. Park CH (1995)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anchovy sauce and their quality standardization. Korean J Food Sci Tehnol 27: 471-477. 

  23. Song KC, Kang CS (2000) Chemical compositions and index components in quality of the salt-fermented northern sand lance sauc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58: 134-141. 

  24. Yoon KH, Shin HY (2010) Medium optimization for the protease production by Bacillus licheniformis isolated from Cheongkookjang.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385-3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