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를 이용한 식초발효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Using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3, 2013년, pp.441 - 449  

모혜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영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지숙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경호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최상원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박찬성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최미애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김미림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김미자 (문경시농업기술센터 소득개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조 오미자 추출액을 이용하여 오미자 식초를 발효하였다. 산패한 오미자 와인에서 식초산균 OV1과 OV2를 분리하고 분리균의 식초산 생성능력을 비교하였다. 분리균 OV1은 알코올농도 8%까지 발효 가능하였으며, 알코올 농도 6%의 오미자 와인으로부터 산도 5.21%의 식초를 발효하였다. 발효 오미자 식초는 시판 중인 타 식초에 비하여 관능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오미자 와인 및 식초의 항균력을 paper disc법으로 검정한 결과 식초는 4종의 검정균(B. subtilis, S. aureus, E. coliP. fluorescens)에 대하여 직경 9.5~17.00 mm의 clear zone을 형성한 반면에 오미자 와인은 S. aureus와 P. fluorescens에 대해서만 clear zone을 생성하였고 clear zone의 직경 또한 9.5 mm 이하로 추출물과 비슷하였다. 오미자 와인 및 오미자 식초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오미자 와인(80배수)이 70.25%로 발효 전 추출액에 비하여 약 1.6배 증가하였으나 오미자 식초는 추출액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또한 와인에서 높고 식초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보당한 건조 오미자 추출액을 사용하여 기호성과 기능성을 갖춘 고품질의 식초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erment high quality vinegar by using Omija fruit. Strains of bacteria producing acetic acid were isolated from spoiled Omija wine (OV1 and OV2) and traditional rice vinegar (RA). The bacterium was from optimally-oxidized Omija wine containing 6.0% ethanol and from Omij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건조 오미자에서 분리된 야생 효모로 와인 제조 및 알코올 발효 시 영양요구성 조사(17)의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오미자를 이용한 고품질 식초를 제조하기 위하여 야생 오미자로부터 식초산균을 분리한 후 그들의 발효 특성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시판중인 식초와 제조한 오미자 식초의 관능평가를 통해 시장성을 검토하고 항균,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건조 오미자에서 분리된 야생 효모로 와인 제조 및 알코올 발효 시 영양요구성 조사(17)의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오미자를 이용한 고품질 식초를 제조하기 위하여 야생 오미자로부터 식초산균을 분리한 후 그들의 발효 특성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시판중인 식초와 제조한 오미자 식초의 관능평가를 통해 시장성을 검토하고 항균,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초란? 최근 들어서는 소비자들의 지적수준 향상으로 발효식품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의 기능성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식초는 소량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의 유기산, 당류, 아미노산, ester 등을 함유하여 독특한 방향과 신맛을 가지며, 특유의 강한 산성 때문에 식품 내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대표적인 발효식품이다(1).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전분질과 알코올에서 초산발효로 얻는 양조식초와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고 빙초산, 물, 향신료 및 착색료 등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합성식초로 나누어진다.
식초는 제조방법에 따라 어떻게 나누어 지는가? 식초는 소량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의 유기산, 당류, 아미노산, ester 등을 함유하여 독특한 방향과 신맛을 가지며, 특유의 강한 산성 때문에 식품 내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대표적인 발효식품이다(1).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전분질과 알코올에서 초산발효로 얻는 양조식초와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고 빙초산, 물, 향신료 및 착색료 등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합성식초로 나누어진다. 합성식초는 ethylene이나 acetylene으로부터 유기합성에 의해 만들어진 빙초산을 원료로 사용하고 발효를 거치지 않으므로 원가절감 및 대량생산에는 성공적이었지만 식초 고유의 풍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빙초산의 합성 및 정제 시 사용되는 유해물질로 인하여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2).
발효식품인 합성식초의 장, 단점은?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전분질과 알코올에서 초산발효로 얻는 양조식초와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고 빙초산, 물, 향신료 및 착색료 등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합성식초로 나누어진다. 합성식초는 ethylene이나 acetylene으로부터 유기합성에 의해 만들어진 빙초산을 원료로 사용하고 발효를 거치지 않으므로 원가절감 및 대량생산에는 성공적이었지만 식초 고유의 풍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빙초산의 합성 및 정제 시 사용되는 유해물질로 인하여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2). 최근에는 건강측면에서 식초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과실류를 이용한 발효식초의 수요가 급증함과 동시에 더욱 고급화되고 다양화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Jeoung YJ, Lee MH. 2000. A view and prospect of vinegar industry.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 7-12. 

  2. Jeoung YJ. 1996. Optimization for the fermentation condition of persimmon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PhD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Gyeongbuk, Korea. 

  3. Nanaba T, Kato H. 1985. Applications of mirin and non-salt miso to vinegar brewing.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2: 731-737. 

  4. Cho J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wine and vinegar prepared by different peach cultivars. PhD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gbuk, Korea. 

  5. Back JO, Lee JH, Jeon WB, Jang ES, Park MH, Cha YJ. 2005. Investigation of the fermentation condition for production of pear vinegar. International Symposium & Conference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p 187. 

  6. Kang SK, Jang MJ, Kim YD. 2006. Isolation and culture conditions of Acetobacter sp. for the production of citron (Citrus junos)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13: 357-362. 

  7. Lee GD, Kim SK, Lee MH. 2005. Quality change of beveragecontaining muskmelon vinegar and concentrated muskmelonjuic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2:223-229. 

  8. Park MH, Lee JO, Lee JY, Yu SJ, Ko YJ, Kim YH, Ryu CH. 2005.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cetic acid bacteria for persimmon vinegar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51-1257. 

  9. Lee GD, Kim SG, Lee JM. 2003.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condition for preparation of strawberry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12-817. 

  10. Son SS, Ji WD, Chung HC. 2003. Optimum condition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using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44-548. 

  11. Ann YG. 2001. Studies on wax gourd-ginseng vinegar. Korean J Food & Nutr 14: 239-244. 

  12. Kim KE, Choi OS, Lee YJ, Kim HS, Bae TJ. 2001. Processing of vinegar using the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extract. Korean J Life Sci 11: 211-217. 

  13. Lee GD, Jeong YJ, Seo JH, Lee JM. 2000. Monitoring on alcohol and acetic acid fermentation of potato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062-1067. 

  14. Kim DH. 1999.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vinegar from fi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3-60. 

  15. Hwang SH, Jeong YJ, Youn KS. 2002. Optimization of spray dry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dried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9: 194-199. 

  16. Lim YS, Sul IW. 2004. Isolation of a bacterial strain for fermentation of omija vinega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508-512. 

  17. Mo HW, Jeong JS, Choi SW, Choi KH. 2012. Preparation of wine using wild yeast from dried omija and optimal nutritional requirements for alcoholic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254-260. 

  18. Krieg NR, Holt JG. 1984. The Archaea and the deeply branching and phototrophic bacteria. In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Boone DR, Castenholz RW, eds. The Williams and Wilkins, Baltimore, London. Vol 1, p 286. 

  19.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910-917. 

  20.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2003. Korean food standards codex. Korea. 

  21. Lee GD, Kwon SH, Lee MH, Kim SK, Kwon JH. 2002. Monitoring on alcohol and acetic acid fermentation properties of muskme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30-36. 

  22.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2000.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sis RU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28-935. 

  23. Kim ML, Choi KH. 2005. Sensory characteristics of citrus vinegar fermented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CV1.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243-249. 

  24. Park EJ. 2002. Isolation of pellicle producing bacterium in fermentation system by tea fungus and establishment of the optimum medium composition for gel production.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gbuk, Korea. 

  25. Jung EH. 1998. Isolation of a Acetobacter sp. for fermentation of grape juices.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gbuk, Korea. 

  26. Lee DS, Ryu IH, Lee KS, Shin YS, Chun SH. 1999. Optimization in the preparation of aloe vinegar by Acetobacter sp. and inhibitory effect against lipase activity.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105-110. 

  27. Kim HJ, Park SH, Park CH. 1985.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vinegar from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350-354. 

  28. Kim YT, Seo KI, Jung YJ, Lee YS, Shim KH. 1997. The production of vinegar using citron (Citrus junos Seib.)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7: 301-307. 

  29. Kang KC, Park JH, Baek SB, Jhin HS, Rhee KS. 1992. Optimization of beverages preparation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74-81. 

  30. Chung DH. 1980. Studies on the vinegar fermentation. Chungang University Collection of Thesis 24: 181-196. 

  31. Kim KI, Nam JH, Kwon TW. 1973.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organic acids and anthocyanins o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5: 178-182. 

  32. Jeon HS, Kim HJ, Jo SB. 2003. Effects of selected stabilizers on the color deterioration of crude pigment extract from Schizandra fruit (Schizandra fructus). Korean J Food Culture 18: 475-482. 

  33. Lee HH, Lee JW, Rhim JW. 2000. Characteristics of anthocyanins from various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285-290. 

  34. Chung KH, Lee SH, Lee YC, Kim JT.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27-132. 

  35. Kim HK, Na GM, Ye SH, Han HS.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chiznadra chinensis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19: 484-490. 

  36.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6.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 Biol Med 20: 933-9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