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규모 외식업체용 IP-USN을 활용한 HACCP 시스템 적용 및 유효성 검증
The Implementation of a HACCP System through u-HACCPⓇ Application and the Verification of Microbial Quality Improvement in a Small Size Restauran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3, 2013년, pp.464 - 477  

임태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HACCP 지원사업단) ,  최정화 (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강영재 ,  곽동경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부분의 외식산업은 생산 품목, 생산 방법, 생산 기술, 대상자들이 제조가공업체와는 매우 다르고 생산량, 취급인원, 영업규모등도 학교나 병원급식과는 여러 요소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소규모 외식업체에서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하여 종사자 대상 위생교육과 도입 전후의 미생물 분석과 시스템 도입에 따른 유의성 평가와 평가항목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USN를 구축하여 도입 전후의 시간-온도관리 분석을 시행하여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위생교육 전후 조리 종사자의 위생업무 지식에 관한 평가 결과 개인위생, 식품의 공급 및 저장, 식품의 취급 및 배식, 기구의 세척 및 소독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또한 위생교육 전후 조리 종사자의 수행도에 관한 평가결과 식품의 취급 및 배식, 기구의 세척 및 소독, 작업 환경관리 영역에서 유의적으로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조리 종사자의 교육 전후의 위생지식 결과는 개인위생(p<0.05), 식품의 공급 및 저장(p<0.05), 식품의 취급 및 배식(p<0.05), 기구의 세척 및 소독 영역(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모든 항목에서 정답률이 상승하였고 전체 문항에 대한 정답률은 교육 전 75%에서 교육 후 90%로 향상되었다. 조리 종사자의 위생업무에 대한 수행도 결과는 식품의 취급 및 배식(p<0.05), 기구의 세척 및 소독(p<0.05), 작업 환경관리 영역(p<0.05)과 총 점수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HACCP 도입 전후의 소독에 따른 양상추 샐러드 미생물 품질분석 결과는 소독전 일반세균이 양상추 원재료 4.80 logCFU/g에서 소독 후 2.41 logCFU/g으로, 라디치오는 원재료 4.15 logCFU/g에서 소독 후 2.48 logCFU/g으로, 토마토는 원재료 4.10 logCFU/g에서 소독 후 평균 1.68 logCFU/g으로 나타나 중요관리점인 세척 시 소독을 통해 미생물 수치가 감소되었다. 멸치와 꽈리고추의 미생물적 품질결과는 원재료의 일반세균수는 각각 4.52 logCFU/g, 5.72 logCFU/g으로 나타났고, 볶았을 때 멸치는 2.07 logCFU/g, 꽈리고추는 1.50 logCFU/g으로 낮아졌다. 가열 공정 후 대장균군장내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멸치꽈리볶음의 생산 공정은 재료별로 따로 볶아 버무리는 공정이 있어 최종식품에는 일반세균 4.33 logCFU/g, 대장균군 0.71 logCFU/g, 장내세균 1.65 logCFU/g, 황색포도상구균이 1.27 logCFU/g으로 검출되었다. 숙주나물의 미생물 분석 결과는 조리단계 및 배식단계에서 각각 4.20 logCFU/g, 4.68 logCFU/g의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적용 후의 조리단계 및 배식단계에서는 각각 3.26 logCFU/g, 3.34 logCFU/g으로 나타났다. 숙주나물 및 잡채의 후처리 작업시 HACCP 적용 전 종사자 손의 일반세균수는 평균 5.90~5.99 logCFU/hand에서 적용 후 평균 0~2.30 logCFU/hand로 나타났다. 가열조리 후처리 공정에서는 교차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종사원의 손의 위생적인 관리가 필수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도입 전과 도입 후 2개월 시점의 조리 종사자의 위생지식점수 차이, 위생수행도 차이, 양상추 샐러드와 조리 종사자 손의 미생물적 품질 개선효과 간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위생수행도의 변화와 양상추 샐러드의 미생물적 품질 개선 효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여 위생 수행도가 높아질수록 식품의 미생물적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위생지식의 변화와 조리 종사자 손의 미생물 변화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5)가 있었다. u-HACCP 시스템 도입 전후 온도관리에서의 3가지(온도측정의 정확성, 온도관리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a great need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proven to change behavior and improve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mployee hygiene knowledge, hygiene practice, and cleanliness, before and after HACCP system implementation at one small-size restaurant. The efficiency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부분의 외식산업은 생산 품목, 생산 방법, 생산 기술, 대상자들이 제조가공업체와는 매우 다르고 생산량, 취급인원, 영업규모등도 학교나 병원급식과는 여러 요소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소규모 외식업체에서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하여 종사자 대상 위생교육과 도입 전후의 미생물 분석과 시스템 도입에 따른 유의성 평가와 평가항목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USN를 구축하여 도입 전후의 시간-온도관리 분석을 시행하여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식업체의 위생에 대한 위해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도입한 시스템은? 외식업체의 경우 업주의 위생 개념 부재와 조리 종사자들의 허술한 식품 취급이 식중독 사고로 연결될 수 있어 지속적인 관심과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5,6). 국내외에서 위해요소를 제어할 수 있는 위생관리기법인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HACCP) 시스템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거나 적용을 추진하고 있다. EU에서도 외식산업에 HACCP 시스템 도입을 권장하고 있으나(7), 시스템 적용을 위해서 현장에 맞춘 위해요소 분석 후 관리 기준서를 작성하여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외식산업이란? 외식산업은 식사와 더불어 관련성 있는 폭넓은 편익을 제공하는 서비스 산업이다. 소득과 여가시간의 증가로 외식문화가 보편화 되고 나아가 산업의 확산과 업태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1).
외식문화가 보편화되게 된 배경은? 외식산업은 식사와 더불어 관련성 있는 폭넓은 편익을 제공하는 서비스 산업이다. 소득과 여가시간의 증가로 외식문화가 보편화 되고 나아가 산업의 확산과 업태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1). 소비자들은 음식의 맛뿐만 아니라 기호, 영양, 위생적인 면까지 고려하여 외식장소를 선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Jin YI, Kim BP, Ra JG. 2008. A study of activation plan for Korean restaurant business - Conducting a survey of consumers and suppliers in Seoul -. Korean Foodservice Assoc 4: 167-198. 

  2. Korean Food Drug Administration. 2012. Annual report of foodborne illness.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e-stat/index.do?nMenuCode19 Accessed July 20, 2012. 

  3. Chung MS. 2006. Hazzard management and risk assessment of food. Safe Food 1: 8-15. 

  4. Park SH, Noh JM, Chang HJ, Kang YJ, Kwak TK. 2007. Risk factor analysis for preventing foodborne illness in restaurants and the development of food safety training material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589-600. 

  5. Kwak TK, Chang HJ, Ryu K, Kim SH. 1998. Effectiveness of 70% alcohol solution and hand washing methods on removing transient skin bacteria in foodservice operation. J Korean Diet Assoc 4: 235-244. 

  6. Noh JM. 2006. Field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of restaurant operations and development of a sanitation training manual.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85-88. 

  7. Soriano JM, Rico H, Molto JC, Manes J. 2002. Effect of introduction of HACCP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some restaurant meals. Food Control 13: 253-261. 

  8. Panisello PJ, Quantick PC. 2001. Technical barriers to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Food Control 12: 165-173. 

  9. Eves A, Dervisi P. 2005. Experiences of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in the food service sector. Int J Hosp Manag 24: 3-19. 

  10. Garayoa R, Vitas AI, Diez-Leturia M, Garcia-Jalon I. 2011. Food safety and the contract catering companies: Food handlers, facilities and HACCP evaluation. Food Control 22: 2006-2012. 

  11. Cho WK, Cho CB. 2009. The effects of the employees of the foodindustry about the level of HACCP system practice affecting the quality effectiveness and the operation results. Research of Hotel Resort 8: 39-57. 

  12. Domenech E, Amoros J, Perez-Gonzalvo M, Escriche I. 2011.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HACCP and pre-requisites in food establishments. Food Control 22: 1419-1423. 

  13. Martinez-Tome M, Vera AM, Murcia MA. 2000. Improving the control of food production in catering establishment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safety of salads. Food Control 11: 437-445. 

  14. Cenci-Goga BT, Ortenzi R, Bartocci E, Codega de Oliveira A, Clementi F, Vizzani A. 2005. Effect of the implementation of HACCP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meals at a university restaurant. Foodborne Pathog Dis 2: 138-145. 

  15. Kim BS. 2010.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and u-IT convergence technology. Food Preserv Process Ind 9: 32-38. 

  16. Kim MH, Son BR, Kim DK, Kim JG. 2009. Agricultural products traceab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RFID/ USN. Journal of KIISE: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15: 331-343. 

  17. Kim KB. 2008. Monitoring technology of food quality using USN technology. Food & Mach 5: 23-30. 

  18. Shin SC, Shin DY, Son BR, Kim JG. 2007. The development on HACCP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s. 2007 Fall Meeting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 34, p 440-445. 

  19. Choi JH. 2000. An education and training case study for the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for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85-90. 

  20. Toh PS, Birchenough A. 2000. Food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s: culture and environment impact on hawkers in Malaysia: Knowledge and attitudes are key attributes of concern in hawker foodhandling practices and outbreaks of food poisoning and their prevention. Food Control 11: 447-452. 

  21. Eo GH, Ryu K, Park SJ, Kwak TK. 2001. Need assessments of HACCP-based sanitation trai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based on sanitation knowledge test of employees. J Korean Diet Assoc 7: 56-64. 

  22. Jevsnik M, Hlebec V, Raspor P. 2008.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among food handlers in Slovenia. Food Control 19: 1107-1118. 

  23. Bolton DJ, Meally A, Blair IS, McDowell DA, Cowan C. 2008. Food safety knowledge of head chefs and catering managers in Ireland. Food Control 19: 291-300. 

  24. Yi NY, Lee KE, Park JY. 2009. Evaluation of foodservice workers'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at senior welfare center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677-689. 

  25. Lyu ES, Jeong DK. 1999. The sanitary management procedures of foodservice in elementary schools in P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98-1404. 

  26. Park YH, Jun SY, Lee YK. 2007. Foodservice employees' awareness and performance in sanitation and customers' satisfaction with sanitation at large-sized restaurants. Korean J Nutr 40: 542-557. 

  27. Chang HW, Bae HJ. 2010. Assessment of food sanitatio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food service workers in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implementing HACCP.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781-790. 

  28. Hong WS, Yim JM. 2009. Evaluation of foodservice employees' sanitary performance and sanitary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15: 113-127. 

  29. Paulson DS. 1992. Evaluation of three handwash modalities commonly employed in the food processing industry. Dairy, Food and Environmental Sanitation 12: 615-618. 

  30. McCartan C, Perryman S. 1982.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and training (NET) workshop for school personnel. School Foodservice Research Review 6: 109-112. 

  31. Rivas KD, Canter DD. 1982. Effectiveness of talent for training school foodservice employee. School Foodservice Research Review 6: 113-118. 

  32. Park SH, Jung HA, Bae HJ, Joo NM. 2009. A study on differences of sanitation education and sanitation knowledge between dietitians in school foodservice and managers in commercial foodservic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 306-315. 

  33. Jeon EK, Bae HJ. 2009. Evaluation of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within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n Gyeongbuk provin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62-73. 

  34. Kim SH. 2010. Evaluation for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itary characteristics by baker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602-612. 

  35. Snyder Jr OP. 1991. Food safety technical standards workshop report. J Foodservice Systems 6: 107-139. 

  36. Gilbert RJ, de Louvois J, Donovan T, Little C, Nye K, Ribeiro CD, Richards J, Roberts D, Bolton FJ. 2000. Guidelines for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some ready-to-eat foods sampled at the point of sale. PHLS Advisory Committee for Food and Dairy Products. Commun Dis Public Health 3: 163-167. 

  37. Paulson DS. 1996. Get a handle on hand contamination. Food Quality April: 42-46. 

  38. Bardell D. 1995. Herpes simplex virus types 1 applied experimentally to gloves used for food preparation. J Food Prot 58: 1150-1152. 

  39. Fendler EJ, Dolan MJ, Williams RA. 1998. Hand washing and gloving for food protection. Part II. Effectiveness. Dairy, Food and Environmental Sanitatioin 18: 824-829. 

  40. Kim EJ, Choi JH, Kwak TK. 2009. Analysis of microbiological hazards to determine S. aureus contamination levels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365-378. 

  41. Brackett RE. 1992. Shelf stability and safety of fresh produce as influenced by sanitation and disinfection. J Food Prot 55: 808-814. 

  42. Moore CM, Sheldon BW, Jaykus LA. 2003. Transfer of Salmonella and Campylobacter from stainless steel to romain lettuce. J Food Prot 66: 2231-2236. 

  43. Kang YJ. 2001. Handwashing, essential for safe food preparation: a technical review.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7: 269-276. 

  44. Harrigan WF. 1998. Laboratory methods in food microbiology. 3rd ed.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p 307-309. 

  45. Solberg M, Buckalew J, Chen CM, Schaffner DW, O'Neill K, McDowell J, Post LS, Boderck M. 1990. Microbiologic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service facilities. Food Technol 44: 68-73. 

  46. Chun HJ, Paik JE, Lee YK, Kim ES. 1998. The microbiological assessment of plastic container and kitchen utensils used in employee feeding foodservice operation in Seoul. Korean J Soc Food Sci 14: 21-24. 

  47. Kwak TK, Nam SL, Kim JL, Park SJ, Seo SY, Kim SH, Choi EH. 1995. Hazard analysis of commiss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Soc Food Sci 11: 249-260. 

  48. Park HK, Kim KL, Shin HW, Kye SH, Yoo WC. 2000.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cooking utensils and environment of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J Fd Hyg Safety 15: 315-323. 

  49. Kim HB, Choi YY. 2008. A study on the obstacles in introducing sanitation management systems for hotel F&B: focusing on HACCP system. J Foodservice Management 11: 197-220. 

  50. Kim GM, Lee SY. 2008. A study on the sanitation management status and barriers to HACCP system implementation of school foodservice institutio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405-417. 

  51. Soh GS, Kim YS, Shin DH. 2007. A survey on the sanitary management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J Fd Hyg Safety 22: 63-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