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자살위험 스크리닝 도구와 타당성
Korean Suicide Risk Screening Tool and its Valid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3, 2013년, pp.240 - 250  

김지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강은정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  정진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백종우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살 생각을 초기에 발견하는 것은 자살을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의료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간단한 스크리닝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살위험 스크리닝 도구는 의사들이 빠르고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미국 알래스카 Norton Sound region의 Screening for Depression and Thoughts of Suicide라는 도구로부터 2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스크리닝 도구를 만들었다. 이 도구는 개인식별번호를 제외하는 등 한국의 실정에 맞게 양식이 수정되었으며 한국형 자살위험 스크리닝 도구로 이름붙였다. 이 도구의 신뢰성과 적용가능성은 7명의 의사들을 통해 검토되었다. 이 도구의 타당성은 4개의 의료기관에서 325명의 환자들을 조사하여 현재의 정신건강 상태를 외부 기준으로 하여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2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살위험 스크리닝 도구는 정신과 의사 및 기타 의사들에 의해 환자의 자살경향을 발견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arly detection of suicidal ideation is essential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brief screening tool that can be easily administered in medical settings. The Suicide Risk Screening Tool was designed for use by physicians to provide a screening process that would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동시에 이러한 자살위험 스크리닝 도구가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의사들이 자살위험을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는 관련 지침의 개발과 의료 기관과 정신보건기관과의 연계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이 도구는 조사 목적 차원에서 일회성으로 인구 집단의 자살생각이나 자살시도의 비율을 파악하려는 것이 아니라 개인 수준에서 자살위험을 확인하고 전문기관으로 연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 CHA/P는 의사, 간호사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서 교통이 불편한 농촌 마을들을 돌아다니면서 질병의 치료와 예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종의 일차의료체계이다[10]. 원 도구가 의사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의사들로부터 전문가 의견을 통해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살위험군을 발견하고 자살시도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의 첫걸음으로 의료기관 내원환자들을 대상으로 의사들이 시행할 수 있는 자살위험 스크리닝 도구를 선정하고 그것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준타당성이란? 선정된 자살위험 스크리닝 도구의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준타당성(criterion validity)을 활용하였다. 기준타당성이란 외부 기준과의 높은 상관성으로부터 도구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14]. 이질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일반과와 정신과 방문 대상자들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2010년 자살자 수는? 우리나라 역시 2000년 이후 자살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자살자 수는 15,566명이며,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수는 31.2명으로 전체 사망 원인 중 4위를 차지하고 있다[2]. 또한 2010년 현재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이며, 자살률의 증가 속도 역시 회원국 중 가장 높아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3].
미국 알래스카 Norton Sound region의 Screening for Depression and Thoughts of Suicide라는 도구로부터 2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스크리닝 도구의 이름은? 미국 알래스카 Norton Sound region의 Screening for Depression and Thoughts of Suicide라는 도구로부터 2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스크리닝 도구를 만들었다. 이 도구는 개인식별번호를 제외하는 등 한국의 실정에 맞게 양식이 수정되었으며 한국형 자살위험 스크리닝 도구로 이름붙였다. 이 도구의 신뢰성과 적용가능성은 7명의 의사들을 통해 검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venting suicide: a resource for general physician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2. 통계청, 2010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통계청, 2011. 

  3. OECD, OECD Factbook 2011-2012: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tatistics, OECD Publishing, 2012. 

  4. J. B. Luoma, C. E. Martin, and J. L. Pearson, "Contact with mental health and primary care providers before suicide: A review of the evidence," Am J Psychiatry, Vol.159, pp.909-916, 2002. 

  5. M. Miller, "Geriatric suicide: The Arizona study," Gerontol, Vol.18, pp.488-495, 1978. 

  6. 보건복지부, 제2차 국가자살예방종합대책: 2009-2013, 보건복지부, 2008. 

  7. 안정훈, "우울증, 자살, 그리고 한국사회", 대한의사협회지, 제55권, 제4호, pp.320-321, 2012. 

  8. A. T. Beck, M. Kovacs, and A. Weissman,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 Consulting and Clin Psychol, Vol.47, pp.343-352, 1979. 

  9. W. E. Broadhead, A. C. Leon, M. M. Weissman, J. E. Barrett, R. S. Blacklow, T. T. Gilbert, M. B. Keller, M. Olfson, and E. S. Higgin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DDS-PC screen for multiple mental disorders in primary care," Arch Fam Med, Vol.4, No.3, pp.211-219, 1995. 

  10. J. A. Niven, "Screening for depression and thoughts of suicide: a tool for use in Alaska's village clinics," Am Indian Alsk Native Ment Health Res, Vol.14, No.2, pp.16-28, 2007. 

  11. R. L. Spitzer, J. B. Williams, K. Kroenke, M. Linzer, F. V. deGruy 3rd, S. R. Hahn, D. Brody, and J. G. Johnson, "Utility of a new procedure for diagnosing mental disorders in primary care. The PRIME-MD 1000 study," JAMA, Vol.272, No.22, pp.1749-56, 1994. 

  12. E. S. Paykel, J. K. Myers, J. J. Lindenthal, and J. Tanner, "Suicidal feelings in the general population," Br J Psychiatry, Vol.124, pp.460-469, 1974. 

  13. L. M. Horowitz, E. D. Ballard, and M. Pao, "Suicide screening in schools, primary care and emergency departments," Curr Opin Pediatr, Vol.21, No.5, pp.620-627, 2009. 

  14. E. G. Carmines and R. A. Zeller,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Series: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SAGE Publications, Inc., 1979. 

  1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Welfare Panel Survey User's Guide, 200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16. 정진욱, 이수형, 천재영, 김지은, 백종우, 서동우, 강은정. 의료인을 통한 자살예방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17. M. B. Wintersteen, "Standardized screening for suicidal adolescents in primary care," Pediatrics, Vol.125, No.5, pp.938-944, 2010. 

  18. B. N. Gaynes, S. L. West, C. Ford, P. Frame, J. Klein, and K. N. Lohr, "Screening for suicide risk: A systematic evidence review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Ann Intern Med, Vol.140, No.10, pp.822-835, 2004. 

  19. M. P. Pignone, B. N. Gaynes, J. L. Rushton, C. M. Buchell, C. T. Orleans, C. D. Mulrow, and K. N. Lohr, "Screening for depression in adults: A summary of the evidence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Ann Intern Med, Vol.136, No.10, pp.765-776, 2002. 

  20. H. Oyama, T. Sakashita, Y. Ono, M. Goto, M. Fujita, and J. Koida, "Effect of communitybased intervention using depression screening on elderly suicide risk: A meta analysis of the evidence from Japan," Community Ment Health J, Vol.44, No.5, pp.311-320, 2008. 

  21. H. Oyama, J. Koida, T. Sakashita, and K. Kudo, "Community-based prevention for suicide in elderly by depression screening and follow-up," Community Ment Health J, Vol.40, No.3, pp.249-263, 2004. 

  22. I. Razykov, R. C. Ziegelstein, M. A. Whooley, and D. B. Thombs, "The PHQ-9 versus the PHQ-8-Is item 9 useful for assessing suicide risk in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Data from the Heart and Soul Study," J Psychosomatic Res, Vol.73, No.3, pp.163-168, 2012. 

  23. J. Walker, C. H. Hansen, I. Butcher, N. Sharma, L. Wall, G. Murray, and M. Sharpe, "Thoughts of Death and Suicide Reported by Cancer Patients Who Endorsed the "Suicidal Thoughts" Item of the PHQ-9 During Routine Screening for Depression," Psychosomatics, Vol.52, No.5, pp.424-42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