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근생존능검사 시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의 유용성
Usefulness of contrast agent involving high gadolium content for myocardial viability assessm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3, 2013년, pp.1294 - 1300  

최관우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손순룡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김태형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한만석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이희주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민정환 (신구대학교 방사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심근생존능검사 시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1mmol/mL)를 사용함으로써 대조도대잡음비(CNR)를 높이고, 이로 인한 진단적 가치를 극대화 시키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조사방법은 단위부피당 0.5mmol/mL의 함유량을 가진 기존의 조영제(gadoterate meglumine)를 사용한 284명과 1mmol/mL의 함유량을 가진 새로운 조영제(gadobutrol)를 사용한 120명 등 총 404명의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가돌리늄 함유량에 따른 대조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좌심실과 정상심근의 신호강도를 각각 측정한 후 신호대잡음비(SNR)와 CNR을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가돌리늄 함유량이 1mmol/mL 조영제 사용 시 SNR은 심근이 25.13%, 심실이 30.74% 높았고, CNR 또한 SNR과 같이 31.29%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매우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1mmol/mL 조영제의 사용으로 높은 T1 단축효과를 나타내어 신호강도가 커지고, 이로 인해 대조도 차이가 큰 영상을 얻어 진단적 가치가 높았다. 본 연구는 심장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 대한 1mmol/mL 조영제의 유용성을 최초로 증명하여 진단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데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contrast to noise ratio(CNR) in myocardial viability test by using contrast agent which highly content gadolinium(1mmol/mL) maximizing diagnostic value. This research method that four hundred four patients were underwent the MRI scanning two hundred eighty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 사용된 가도부트롤은 1mmol/mL 조영제로 기존의 MR 조영제에 비해 단위 부피당 약 2배의 가돌리늄을 함유하고 있어 T1 이완효과가 초당 5600mL/mmol 로 높고 혈액반감기가 1.5시간으로 길어 혈액 내 잔류 시간이 길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저자들은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1mmol/mL 조영제를 사용하여 T1 단축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서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얻고자 하였다.
  • 이에 저자들은 심근생존능검사 시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1mmol/mL)를 사용함으로써 CNR을 높이고, 이로 인한 진단적 가치를 극대화 시키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장자기공명검사의 특징은 어떠한가? 심장자기공명검사는 심장영상을 얻는데 있어서 비침습적일 뿐만 아니라, 해상도가 높고 3차원적 입체성이 뛰어나며 심근과 심실의 두께, 부피, 박출량 등, 심장 수축 기와 이완기의 여러 가지 정보를 정량화할 수 있어 허혈성 심장 질환에 있어 매우 중요한 평가도구로 이용되고 있다[4]. 또한 연부조직의 대조도가 높아 심장의 정상조직과 경색부위를 구분해 낼 수 있으며, 조영제를 사용함으로써 심근생존능(myocardial viability)의 평가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5].
심장 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심장 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에는 방사선을 이용한 전산 화단층촬영과 X선 촬영, 그리고 방사선을 이용하지 않는 심장초음파검사와 심장자기공명검사(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ing)가 있다[2]. X선 촬영은 심장의 크기에 국한되며, 심장초음파검사는 해상도 낮아 대부분 해상도가 높고 검사시간이 짧은 다중채널 전산화단층촬영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을 이용하여 검사하고 있다.
가돌리늄 함유량에 따른 대조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좌심실과 정상심근의 신호강도를 각각 측정한 후 신호대잡음비(SNR)와 CNR을 비교 평가한 결과는 어떠한가? 5mmol/mL의 함유량을 가진 기존의 조영제(gadoterate meglumine)를 사용한 284명과 1mmol/mL의 함유량을 가진 새로운 조영제(gadobutrol)를 사용한 120명 등 총 404명의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가돌리늄 함유량에 따른 대조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좌심실과 정상심근의 신호강도를 각각 측정한 후 신호대잡음비(SNR)와 CNR을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가돌리늄 함유량이 1mmol/mL 조영제 사용 시 SNR은 심근이 25.13%, 심실이 30.74% 높았고, CNR 또한 SNR과 같이 31.29%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매우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1mmol/mL 조영제의 사용으로 높은 T1 단축효과를 나타내어 신호강도가 커지고, 이로 인해 대조도 차이가 큰 영상을 얻어 진단적 가치가 높았다. 본 연구는 심장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 대한 1mmol/mL 조영제의 유용성을 최초로 증명하여 진단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데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I. T. Hwang, Heart disease in the three death cause is increasing every year [Internet]. Medipana news, c2012[cited 2012 Dec 4], Available From: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93754&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 1. (accessed Jan., 2, 2013) 

  2. J. H. Park, P. K. Kim, C. B. Ahn, "Single Breath-held Right Coronary Artery Imaging by Cardiac Magnetic Resonance",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2031-2032, 2011. 

  3. C. B. Moon, H. Y. Lee, B. M. Kim, Y. S. Shin, "Left ventricle segmentation algorithm through radial threshold determination on cardiac MRI", Journal of KIISE, 36, 10, pp.825-834, 2009. 

  4. H. S. Kim, C. K. Park, D. W. Park, Y. S. Kim, S. C. Joen, Y. W. Choi, H. S. Seo, C. K. Hahm, S. K. Kim, Y. H. Ahn, Y. Y. Choi, "Diagnostic Accuracy and Evaluation of Myocardial Viability by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A Comparison with Thallium-201 Myocardial SPECT", J Korean Radiol Soc. Magn. Reson. Med, 7, pp.100-107, 2003. 

  5. T. H. Kim, "Caracteristics of MnDPDP-Enhanced MR Imaging in a Cat Model with Reperfused Myocardial Infarction", uls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1-28, 2003. 

  6. Javier S, Teresa R, Paola K, Rafael Salguero B, Michael P, "Assessment of myocardial ischemia and viability using cardiac magnetic resonance", Current cardiology reports, 6, 1, pp.62-69, 2004. DOI: http://dx.doi.org/10.1007/s11886-004-0066-z 

  7. Bernhard D, Klumpp, Sandstede, Klaus P, Lodmann, Achim S, Tobias H, Michael F, Ulrich K, Claus D, Claussen, Stephan M, "Intraindividual comparison of myocardial delayed enhancement MR imagion using gadobenate dimeglumine at 1.5T and 3T", European Radiology, 19, 5, pp.1124-1131, 2009. DOI: http://dx.doi.org/10.1007/s00330-008-1248-7 

  8. Y. Y. Choe, S. C. Lee, "Cardiac MRI assessment of cardiac disease", CURRENT PRACTICE IN CARDIOLOGY, 3, 7, pp.37-51, 2009. 

  9. Tombach B, Reimer P, Prumer B, Allkemper T, Bremer C, Muhler A, Heindel W, "Does a higher concentration of gadolinium chelates improve first-pass cardiac signal changes?", J Magn Reson Imaging, 10, pp.806-812, 1999. DOI: http://dx.doi.org/10.1002/(SICI)1522-2586(199911)10:5 3.0.CO;2-0 

  10. Nagel E, Klein C, Paetsch I, Hettwer S, Schnackenburg B, Wegscheider K, Fleck E, "Magnetic resonance perfusion measurements for the noninvasive detect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Circulation, 108, pp.432-437, 2003. 

  11. Manning WJ, Atkinson DJ, Grossman W, Paulin S, Edelman RR, "First-pass nucle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ies using gadolinium-DTPA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 Am Coll Cardiol, 18, pp.956-965, 1991. 

  12. J. M. Lee, "Cardiac MRI", Korean Soc, Magn, Reson. Med, 11, pp.1-9, 2007. 

  13. J. H. Kim, J. B. Seo, K. H. Do, S. H. Lee, S. M. Ko, J. N. Heo, T. H. Im, "Myocardial viability:comparison of Free-Breathing Navigator -echo-gated Three-Dimensional Inversion Recovery Gradient Echo MR and Standard Multiple Breath-Hold Two-Dimensional Inversion Recovery Gradient Echo MR", J Korean Radiol Soc, 51, 4, pp.393-399, 2004. 

  14. Gabriele A. Krombach, Christa Hahnen, Klaus-Peter Lodemann, Nils Kramer, Felix Schoth, Mirja Neizel, Jan Boeringer, Rolf W, Gunther, Malte Kelm, Harald Kuhl, "Gd-BOPTA for assessment of myocardial viability on MRI: changes of T1value and their impact on delayed enhancement", Eur Radiol, 19, pp.2136-2146, 2009. 

  15. Mathias Goyen, Tomas C. Lauenstein, Christoph U. Herborn, Jorg F, Debatin, MBA, Silke Bosk, Stefan G, Ruehm, "0.5M Gd chelate(Magnevist) Versus 1.0M Gd Chelate(Gadovist): Dose-Independent Effect on Image Quality of Pelvic Three-Dimensional MR-Angiography",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14, pp.602-607, 2001. 

  16. S. Haneder, U. Attenberger1, S. O. Schonberg, C. Loewe, J. Arnaiz Garcia, H. J. Michaely, Mannheim/DE, Vienna/AT, Santander/ES, "Intra-individual efficacy evaluation of $Dotarem^{(R)}$ enhanced MRA compared to $Gadovist^{(R)}$ -enhanced MRA in the diagnosis of clinically significant abdominal or lower limb arterial diseases", European Congress of Radiology, C-1016, 2010. 

  17. M Fenchel, A Franow, P Martirosian, M Engels, U Kramer, N I Stauder, U Helber, H Vogler, C D Claussen. S Miller, "1 M Gd-chelate (gadobutrol) for multislice first-pass magnetic resonance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British Journal of Radiology, 80, pp.884-892, 2007. 

  18. Wendland MF, Saeed M, Lund G, Higgins CB, "Contrastenhanced MRI for quantification of myocardial viability", J Magn Reson Imaging, 10, pp.694-702,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