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주지역 복지관 노인대상 영양교육 및 맞춤형 점심 급식 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sonalized Lunch Service Program for Elderly at Senior Welfare Center in Jeonju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8 no.1, 2013년, pp.65 - 76  

배정숙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미현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숙배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인간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and personalized lunch service program in a senior welfare center. A total of 30 elderly (14 males, 16 females) aged 62~8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Nutrition education lessons (2 hour/lesson/week) were provi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영양 교육과 함께 개인 별 하루 필요 에너지 1/3에 해당하는 식품군 단위수를 제공하는 맞춤형 점심 급식을 주 5회 12주간 제공하는 프로그램 실시 후 신체계측, 식습관, 영양지식, 혈액 생화학지표,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상태를 평가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전주 일부지역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남자 14명, 여자 16명, 평균연령 74.7세)을 대상으로, 4회(1회/주) 영양교육과 더불어 개인 별 하루 필요 에너지를 고려한 맞춤형 점심 급식을 12주(5회/주) 제공한 프로그램 효과를 평가하고자, 프로그램 전·후 신체계측적 조사, 혈액 생화학적 조사, 식습관 및 식태도 조사, 영양지식 조사,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 복지시설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복지관 노인을 대상으로 영양교육과 병행하여 개인별 맞춤형 급식을 제공한 후, 혈액생화학적 특성 및 영양지식, 식태도, 영양섭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어떤 사회로의 진입이 전망되는가? 최근 우리나라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노인 인구가 크게 늘어나, 2018년 고령 인구가 14% 이상 인 고령 사회, 2026년 고령 인구가 20% 이상인 초 고령 사회로의 진입이 전망된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노인 인구가 크게 늘어나는데 기여한 것은? 최근 우리나라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노인 인구가 크게 늘어나, 2018년 고령 인구가 14% 이상 인 고령 사회, 2026년 고령 인구가 20% 이상인 초 고령 사회로의 진입이 전망된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보건복지부가 국민건강증진 종합 계획을 통해 노인건강관리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는? 한편,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86.7%가 최소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Kang 등 2008), 급격한 노인인구 증가율은 노인의 만성질환 이환율의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Kim & Ryu 2009). 우리나라 노인은 경제능력이 부족하고, 영양 섭취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식품 구매가 자유롭지 못하며, 식품 조리 과정 뿐 아니라 식사 행동도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Kang 등 2008), 이들의 영양관리는 열악하였다. 특히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경우에는 영양관리가 더 열악하여, 영양 불량 문제가 만연하고, 만성질환 관리가 절실하다고 보고되었다(Yang & Bang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HJ, Koo BK, Jung JY, Kwon HR, Kim HJ, Park KS, Han KA, Min KW (2009): Bowl-based meal plan versus food exchangebased meal plan for dietary intake control in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Korean Diabetes J 33: 155-163 

  2. Choe JS, Baeg HY (2004): Seasonal variation of nutritional intake and quality in adults in longevity area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3(4): 668-678 

  3. Choi YJ, Kim C, Park YS (2007): The effect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in physical health,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Seoul. Korean J Nutr 40(3): 270-280 

  4. Do HJ, Lee YM (2011): A study on customized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design and application for the low-income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15(6): 716-729 

  5. Eom HS, Jeong MJ, Kim SB (2005):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food habi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onbuk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0(5): 574-581 

  6. Ha AH, Ryu HS (2010): Patterns of food habits and food intake by age: base on the nutrition counseling data of medical health examination. Korean J Food & Nutr 23(4): 531-541 

  7. Han KH, Choi MS, Park JS (2004): Nutritional risk and its related factors evaluated by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for the elderly who are meal service participants. Korean J Nutr 37(8): 675-687 

  8. Kang HJ, Shin EM, Kim KW (2009):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diabetes mellitus management of older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4(6): 734-745 

  9. Kang YH, Kim MY, Eliza L (2008):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trition status in the community-dwelling Korea elderly. Korean J Acad Nurs 38(1): 122-130 

  10. Kim OS, Ryu HS (2009): The study on blood lipid levels according to the food habits and food intake patterns in Korean elderly. Korean J Food & Nutr 3: 421-429 

  11. Kim SB, Choi HJ (2008):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food exchange system: changes in elementary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s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13(6): 922-933 

  12. Kim TY, Suh MO (2008):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weight control in male workers by the community health center. J Korean Diet Assoc 14(4): 351-360 

  1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2009): Korea health industry statistics system. Available from http://www.khidi.or.kr [cited 2012 January 10] 

  14.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1): Diabetes and Diet. Available form http://www.diabetes.or.kr [cited 2011 August 18] 

  15.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The statistics of mortality and the causes.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 [cited 2011 December 26] 

  16.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Han-A Reum publishing, Seoul, pp.579-583 

  17. Lee DH (2010): The effects of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s health condition. J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1): 93-108 

  18. Lee SL, Kim YL, Lee SJ, Cho YK, Choi YK (2004): Effects of diabetes education on diabetic management in non insulindependent diabetics mellitus patients. J Korean Diet Assoc 10(30): 300-308 

  19. Lee SY, Kim MJ, Kwon SJ (2010): Effects of low glycemic index nutrition education on the blood glucose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J Nutr 43(1): 46-56 

  20. Lee YA, Kim KN, Chang NS (2008):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weight control and diet quality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Nutr 41(1): 54-64 

  21. Nam HM, Woo SH, Cho YJ, Choi YJ, Back SY, Yoon SY, Lee JY, Lee JJ, Lee HJ (2011):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practice program for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group at the education information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16(5): 580-591 

  22. Oh JY, Kim SB (2010):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es mellitus at community health center-focus on individual daily energy requirements and food exchange units. Korean J Community Nutr 15(4): 485-497 

  23. Shim JE, Paik HY, Moon HK (2007): Breakfast consumption pattern, diet quality and health outcomes in adults from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40(5): 451-462 

  24. Shin JW, Park YK, Seo SR, Kim JE (2011):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diabetic patients of Korea: Analysi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8. J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3): 479-487 

  25. Son SM, Im HS, Kim JH, Lee JH, Seo JS, Son JM (2008): Clinical Nutrition, 4th. Kyomunsa, Paju, pp. 147-149, pp. 186-189, pp. 230-231, pp. 261-262 

  26. Yang EJ, Bang HM (2008):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risks of low 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area. Korean J Nutr 41(1): 65-76 

  27. Yang IS, Jung HY, Lee HY, Chae IS (2003a): Analyzing the current practice of the home-delivered meal(HDM) service program for homebound elderly. J Korean Community Nutr 8(5): 736-743 

  28. Yang JL, Seo HJ, Kim YH (2003b):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al status of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Nutr 36(7): 749-758 

  29. Yim KS (2008):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female elderly at the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13(5): 640-652 

  30. Yim KS, Lee TY (2004):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ents intakes of elderly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37(3): 210-2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