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남동부 경주시 양북면 마이오세 입천소분지의 형성과 발달사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Miocene Ipcheon Subbasin in Yangbuk-myeon, Gyeongju, SE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2 no.1, 2013년, pp.19 - 34  

성창훈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천영범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손문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손영관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진섭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입천소분지는 기반암과 단층으로 경계되며 북동 방향으로 길쭉한 형태의 비대칭 지구의 기하를 가지는 분지로 인근 와읍과 어일분지와는 기반암에 의해 격리되어 있는 독립된 소규모 마이오세 분지이다. 분지충전물의 층리는 대부분 북서 내지 서북서 방향으로 경사지며, 분지 북동부에는 데사이트질 화산물질을 다량 포함하는 전기 마이오세 퇴적물이 그리고 남서부에는 사암을 협재하는 비화산성 중기 마이오세 육성 역암이 분포한다. 또한 분지충전물 내 퇴적동시기 공액상 정단층들은 분지가 서북서-동남동 방향으로 확장하였음을 지시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인근 와읍 및 어일분지와 것들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분지의 확장이 북서부 경계단층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분지의 열개가 북서에서 남동으로 전파되었음을 지시한다. 한편, 입천소분지 내에는 어일분지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무암질 화산물질이 관찰되지 않는다. 슬랩과 경하관찰 결과, 입천소 분지의 데사이트질 응회암과 응회질 이암은 와읍분지의 용동리응회암과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중기 마이오세의 비화산성 퇴적층은 와읍과 어일분지 그리고 입천소분지에 공통적으로 분지의 남서부에 분포한다. 따라서 입천소분지의 확장은 22 Ma 경 와읍분지의 확장과 함께 시작되어 다량의 데사이트질 화산물질이 유입되었으며, 이후 어일분지의 주 확장시기인 20~18 Ma 사이에는 확장을 멈추었다가, 약 17 Ma에 이르러 연일 구조선의 운동과 함께 분지의 열개가 남서쪽으로 전파되면서 중기 마이오세 초의 연일층군에 해당하는 비화산성 역암이 분지의 남서부에 퇴적된 것으로 결론지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pcheon Subbasin is an isolated Miocene basin in SE Korea, which has the geometry of an asymmetric graben elongated in the NE-SW direction. It is in contact with basement rocks by faults and separated from adjacent Waup and Eoil basins by the basement. The strata of the basin fills have an ove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는 상세한 야외조사를 바탕으로 입천소분지 충전물을 분류하고, 이들의 슬랩 및 박편을 제작 분석하여 주변분지의 지층과 대비하였다. 또한 분지충전물 내에 나타나는 취성변형 요소를 분석하여 분지 형성을 주도한 고응력을 복원하였으며, 이번 연구결과와 기존연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입천소분지와 인근 와읍 및 어일 분지의 시공간적인 구조발달사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 입천소분지의 기하와 진화사를 밝히고 인근 와읍과 어일분지와의 관계를 통해 이 지역의 종합적인 구조 발달사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주시 양북면 입천리 일원의 상세 지질도와 구조도를 작성하였으며, 분지충전물의 대비를 위해 각 분지 내 데사이트질 화산물질을 포함하는 지층을 선택하여 슬랩과 박편을 제작하고 대비하였다.

가설 설정

  • (G) Massive, poorly sorted, well-consolidated agglomerate in the lowermost part of the dacitic volcanics (Mdv). (H) Poorly-sorted, sub-rounded, clast-supported conglomerate intercalated with sandstone (Mc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사구조의 특징을 보이는 퇴적층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둘째, 분지를 충전하고 있는 퇴적층들의 자세는 단층 또는 관입체에 의해 교란된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북서 내지 서북서로 경동된 동사구조(homocline)의 특징을 보이며, 젊은 지층일수록 경사각이 얕아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은 남동쪽으로 경사진 정단층들이 분지의 확장을 주도하였음을 암시할 뿐만 아니라, 이 단층들이 퇴적동시성 단층임을 지시하고 있다(Son et al., 2000a, 2005; Kim et al.
분지지역의 특징은? 지각변형의 주요 결과물인 퇴적분지의 진화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광역적인 지구조환경, 분지 내외에 발달하는 구조요소, 분지충전물의 퇴적환경 등의 분지 형성과 발달 과정을 반영하는 다양한 정보를 통한 총체적인 해석이 필요하다(Gawthorpe and Leeder, 2000; Allen and Allen, 2005). 또한 분지지역은 지구조적 열개작용에 의해 지각이 확장되어 많은 양의마그마 공급에 의한 활발한 화산활동이 일어나는 것이 특징적이다. 특히 단기간에 넓은 지역으로 퇴적되는 화산쇄설암은 분지충전물의 층서대비를 위한 열쇠층(key bed)으로 활용되기도 한다(Fisher and Schmincke, 1984; Cas and Wright, 1987; Miall, 1990).
장기통은 대부분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2005)의 지층으로, 연일통은 고생물 연구들을 통하여 전기 마이오세 말~중기 마이오세(Kim and Yoon, 1978; Byun, 1995; Yi and Yun, 1995)의 지층으로 확인되었다. 장기통은 대부분 산성 및 염기성 화산암류와 하성 및 호성 퇴적물들로 구성되며 오천단층계 이남의 분지들을 충전하고 있는 반면, 연일통은 화산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해성 퇴적물로 구성되며 어일, 와읍, 정자 그리고 울산분지의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포항분지를 충전한다. Tateiwa (1924)는 최초 장기통을 하부의 장기층군과 상부의 범곡리층군으로 구분하였으나, 두 층군의 명확한 정의가 세워져 있지 않고 단층 및 화산활동에 따른 분지 내부의 복잡성 때문에 연구자에 따라 두 층군의 선후관계가 현재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llen, P.A. and Allen, J.R., 2005, Basin analysi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2nd Editi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London, 560p. 

  2. Byun, H., 1995, Cenozoic dinoflagellate cysts from the Pohang Basin and the southern margin of the Ulleung Basin.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83p. 

  3. Cas, R.A.F. and Wright, J.V., 1987, Volcanic Successions: Modern and Ancient. Allen & Unwin, London, 528p. 

  4. Cheon, Y., Son, M., Song, C.W., Kim, J.-S. and Sohn, Y.K., 2012, Geometry and kinematics of the Ocheon Fault System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Miocene Pohang and Janggi basins, SE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Geosciences Journal, 16, 253-273. 

  5. Cho, H., Kwon, C.W., Jeong, J.O., Kim, M.C., Son, M. and Sohn, Y.K., 2012,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AMS) of the Eoil Basalt in the Miocene Eoil Basin, SE Korea: A discussion of paleocurrent direction and source vent location of lava flow and basin evolution (Abstract). 2012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 & Technology of Korea, Goseong, 47. 

  6. Chwae, U.C., Hwang, J.H., Yun, U. and Kim, D.H., 1988, Geological report of the Eoil sheet, 1:25,000. Korean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41p. 

  7. Fisher, R.V. and Schmincke, H.-U., 1984, Pyroclastic rock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Tokyo, 472p. 

  8. Gawthorpe, R.L. and Leeder, M.R., 2000, Tectono-sedimentary evolution of active extensional basins. Basin Research, 12, 195-218. 

  9. Han, J.H., Kwak, Y.H., Son, J.D. and Son, B.K., 1987, Tectonic evolution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Tertiary sedimentary basin, southeastern part of Korea. Report KR-86-2-(B)-4,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Seoul, 109p. 

  10. Jeong, J.O., Kwon, C.W. and Sohn, Y.K., 2006, The Paljori Tuff in the Miocene Eoil Basin, SE Korea: primary and secondary volcaniclastic sedimentation in a fluvio-lacustrine setting.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2, 175-197. 

  11. Jin, M.S., Kim, S.J. and Shin, S.C., 1988, K/Ar and fissiontrack datings for volcanic rocks in the Pohang-Kampo area. Report KD-87-27,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Daejeon, 51-88. 

  12. Jin, M.S., Kim, S.J., Shin, S.C. and Lee, J.Y., 1989, K/Ar and fission-track datings for granites and volcanic rock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KD-88-6D,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Daejeon, 53-84. 

  13. Jolivet, L. and Tamaki, K., 1992, Neogene kinematics in the Japan Sea region and volcanic activity of the Northeast Japan Arc. Proceedings of the Ocean Drilling Program, Scientific Results, 127/128, 1311-1331. 

  14. Jung, S.H., Kim, M.C., Cho, H., Son, M. and Sohn, Y.K., 2012, Basin fills and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Miocene Yangpo subbasin in the Janggi-myeon, Pohang,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8, 49-68. 

  15. Kim, B.K., 1970, A study on the Neogene Tertiary deposits i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6, 77-96. 

  16. Kim, B.K. and Yoon, S., 1978, Some molluscan fossils from the uppermost part of the Neogene deposits of the Pohang basin, Korea.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4, 1-12. 

  17. Kim, I.-S., 1992, Origin and tectonic evolution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and the Yangsan fault system: a new synthetic interpreta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8, 84-109. 

  18. Kim, I.-S. and Kang, H.-C., 1989, Palaeomagnetism of Tertiary rocks in the Oil (Eoil) basin and its vicinities,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5, 273-293. 

  19. Kim, I.-S. and Kang, H.-C., 1996, Palaeomagnetism of Tertiary basins in Southern Korea: 1. Changgi basin.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29, 357-367. 

  20. Kim, J.-S., Son, M., Kim, J.S. and Kim I.-S., 2002, Tertiary dyke swarms and their tectonic importance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1, 169-181. 

  21. Kim, J.-S., Son, M., Kim, J.-S. and Kim, J., 2005, $^{40}Ar/^{39}Ar$ ages of the Tertiary dike swarm and volcanic rocks, SE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4, 93-107. 

  22. Kim, K.H. and Doh, S.-J., 1994, Paleomagnetic study of the Tertiary formations in the Yangnam basin.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5, 36-45. 

  23. Kim, K.H., Won, J.K., Matsuda, J., Nagao, K. and Lee, M.W., 1986, Paleomagnetism and K-Ar age of volcanic rocks for Guryongpo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19, 231-239. 

  24. Kim, M.C., Kim, J.-S., Jung, S., Son, M. and Sohn, Y.K., 2011, Classification and stratigraphy of the Miocene basin fills in the northern area of the Janggi-myeon, Pohang,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7, 585-612. 

  25. Kim, W.H., 1990, Significance of Early to Middle Miocene planktonic foraminiferal biostratigraphy of the E-core in the Pohang basin, Kore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6, 144-164. 

  26. Kwon C.W. and Sohn Y.K., 2008, Tephra-filled volcanic neck (diatreme) of a mafic tuff ring at Maegok, Miocene Eoil Basin, SE Korea. Geosciences Journal, 12, 317-329. 

  27. Kwon C.W., Jeong J.O. and Sohn Y.K., 2011, Sedimentary records of rift to pull-apart tectonics in the Miocene Eoil Basin, SE Korea. Sedimentary Geology, 236, 256-271. 

  28. Lee, H.K., Moon, H.-S., Min, K.D., Kim, I.-S., Yun, H. and Itaya, T., 1992, Paleomagnetism, stratigraphy and geologic structure of the Tertiary Pohang and Changgi basins; K-Ar ages for the volcanic roc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25, 337-349. 

  29. Lucchitta, I. and Suneson, N.H., 1993, Dips and extension. Bulle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05, 1346-1356. 

  30. Miall, A.D., 1990, Principles of Sedimentary Basin Analysis. 2nd edition., Springer-Verlag, New York, 668p. 

  31. Min, K.D., Kim, W.K., Lee, D.H., Lee, Y.S., Kim, I.-S. and Lee, Y.-H., 1994, Paleomagnetic study on the Tertiary rocks in Pohang a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27, 49-63. 

  32. Otofuji, Y.-I., Matsuda, T. and Nohda, S., 1985, Opening mode of the Japan Sea inferred from the palaeomagnetism of the Japan Arc. Nature, 317, 603-604. 

  33. Schlische, R.W., 1993, Anatomy and evoltion of the Triassic-Jurassic continental rift system, eastern North America. Tectonics, 12, 1026-1042. 

  34. Seong, C., Cheon, Y., Son, M. and Sohn, Y.K., 2012, Geometry and Geological Structures of Miocene Ipcheon Subbasin in Yangbuk-myeon, Gyungju: Preliminary Study (Abstract). 2012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 & Technology of Korea, Jeongseon, 231. 

  35. Son, M., 1998,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Tertiary Miocene basins in southeastern Korea: Structural and paleomagnetic approaches.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33p. 

  36. Son, M. and Kim, I.-S., 1994, Geological structures and evolution of the Tertiary Chongja basin, southeastern margin of the Korean peninsul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27, 65-80. 

  37. Son, M., Kang, H.-C. and Kim, I.-S., 1996, Palaeomagnetism of Tertiary basins in southern Korea: 3. Chongja-Ulsan basins and its vicinities.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29, 509-522. 

  38. Son, M., Seo, H.J. and Kim, I.-S., 2000a, Geological structures and evolution of the Miocene Eoil Basin, Southeastern Korea. Geosciences Journal, 4, 73-88. 

  39. Son, M., Chong, H.-Y. and Kim, I.-S., 2002, Ge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s in the vicinities of the southern part of the Yonil Tectonic Line,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8, 175-197. 

  40. Son, M., Kim, I.-S. and Sohn, Y.K., 2005, Evolution of the Miocene Waup Basin, SE Korea, in response to dextral shear along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5, 529-544. 

  41. Son, M., Kim, J.-S., Chong, H.-Y., Lee, Y.H. and Kim, I.-S., 2007, Characteristics of the Cenozoic crustal deformation in SE Korea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The Korean Society of Petroleum Geology, 13, 1-16. 

  42. Son, M., Kim, I.-S., Lee, D., Lee, J.-D., Kim, J.S. and Paik, I.S., 2000b,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part of the Ulsan fault area, Korea: Structural Geology and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AMS) in the Tertiary Miocene Waup basi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6, 195-216. 

  43. Tateiwa, I., 1924, 1:50,000 Geological atlas of Chosen, No. 2, Ennichi, Kuryuho and Choyo sheets, 6 p., 3 maps. Geological Survey, Government-General of Chosen. 

  44. Wernicke, B. and Burchfiel, B.C., 1982, Modes of extensional tectonics.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4, 105-115. 

  45. Wise, D.U., 1992, Dip Domain Method Applied to the Mesozoic Connecticut Valley Rift Basins. Tectonics, 11, 1357-1368. 

  46. Yi, S., 1992, Miocene calcareous nannoplankton from the Pohang basin, Korea.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19p. 

  47. Yi, S. and Yun, H., 1992, Miocene calcareous nannoplankton from the Pohang basin, Kore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1, 194. 

  48. Yi, S. and Yun, H., 1995, Miocene calcareous nannoplankton from the Pohang Basin, Korea. Palaeontographica Abteilung B Palaeophytologie, 237, 113-158. 

  49. Yoon, S., 1976, The geological and paleontological study of the Tertiary deposits of the Janggi-Eoil District of Korea. No. 1. Stratigraphy and geologic age of the Songjeon Formation. University Journa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21, 11-19. 

  50. Yoon, S., 1986, Tectonic history of the Tertiary Pohang and Yangnam basins, Korea. In: Nakagawa, H., Kotaka, T. and Takayanagi, Y. (eds.), Kitamura Commemorative Volume, Essays in Geology, 637-644. 

  51. Yoon, S., 1992, Geology of the Tertiary Yangnam and Pohang Basins, Korea. Bulletin of the Mizunami Fossils Musium, 19, 13-31. 

  52. Yoon, S., 1997, Miocene-Pleistocene volcanism and tectonics in southern Korea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opening of the Japan Sea. Tectonophysics, 281, 53-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