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택적 지지면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정상 성인의 균형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quat Exercise by Different Baseform on Balance Ability Enhancement in Normal Adul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1 no.3, 2013년, pp.63 - 78  

김민수 (경남정보대학 물리치료학과) ,  서인열 (경남정보대학 물리치료학과) ,  정고운 (경남정보대학 물리치료학과) ,  이건철 (경남정보대학 물리치료학과) ,  정한신 (군장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correlation in pre-post test design between squat exercise on different baseform and the static/dynamic balance ability enhancement in adults. METHOD : This clinical study was designed into three different random-sampling adult groups (flat, ba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의 균형과 안정성을 높이는 운동으로 이미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스쿼트 운동과 진동운동기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이 정상인의 정적 및 동적인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그러나 진동운동기를 이용한 운동효과 연구는 미흡하고 안정한 지지면과 진동 운동기을 비교한 연구도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각각 다른 지지면인 안정 지지면, 불안정 지지면, 진동운동기에서 스쿼트 운동이 정적 및 동적 균형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지면의 변화에 따른 스쿼트 운동의 적용이 정상 성인의 균형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본 연구는 진동기, 평지, 매트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지지면의 변화에 따라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균형 유지에 주된 역할을 하는 것 중에 하나인 하지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스쿼트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그룹마다 각각 진동기, 평지, 매트의 3가지 지지면으로 중재를 하였다. 스쿼트 운동과 지지면의 상관관계에 대한 선행 논문을 보면 안정된 지지면보다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운동이 균형능력의 향상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불안정한 지지면인 진동기와 매트 중에서 어떤 것이 더 긍적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균형 유지에 주된 역할을 하는 것 중에 하나인 하지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스쿼트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그룹마다 각각 진동기, 평지, 매트의 3가지 지지면으로 중재를 하였다. 스쿼트 운동과 지지면의 상관관계에 대한 선행 논문을 보면 안정된 지지면보다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운동이 균형능력의 향상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불안정한 지지면인 진동기와 매트 중에서 어떤 것이 더 긍적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정적자세 균형능력의 4가지 항목 중 3가지에서 평지 그룹보다는 진동기 그룹, 진동기 그룹보다는 매트 그룹에서 다른 두 그룹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 이렇듯 운동 시 지지면의 선택이 인체의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지고 있으며, 본 연구의 목적도 지지면의 변화에 따른 스쿼트 운동의 적용이 정상 성인의 균형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넷째, 진동운동기보다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균형능력 향상에 더 효과 적일 것이다.
  • 둘째, 안정된 지지면보다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일 것이다.
  • 셋째, 안정된 지지면보다 진동운동기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일 것이다.
  • 첫째, 운동 전과 운동 후 세 그룹에서 균형 조절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유수용성 감각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고유수용성 감각은 건강한 성인에게 있어서 균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감각이다 (Shumway-Cook & Horak, 1986). 고유수용성 감각은 근방추, 골지건 기관, 관절이나 관절낭, 인대에 분포하고 있는 기계적 수용기에 의해 인지되는 구심성 감각 정보로서 중추신경계로 전달되어(Lee, 2007) 신경근 조절, 균형 조절 그리고 관절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되먹임 요소로 작용한다(Voight 등, 1996).
지지면의 변화에 따른 스쿼트 운동의 적용이 정상 성인의 균형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1. 정적자세 균형능력(m-CTSIB)은 중재 후 진동기 그룹에서 Firm-EC 항목에서 중재 후 평균값이 향상되었다. 2. 동적 체중이동(Rhythmic W-S)은 중재 후 평균값이 향상되었으며, 세 그룹 중에서 매트 그룹의 방향조절력(F-B DC)이 가장 증가하였다. Rhythmic W-S에서 매트그룹의 평균값이 가장 컸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안정한계(LOS)는 중재 후 매트 그룹에서 반응시간(reaction time), 움직임 속도 (movement velocity), 정적 이동거리(end point excursions), 방향조절력(directional control) 항목에서 중재 후 평균값이 향상되었다. 4. 그룹 간의 중재 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정적자세 균형능력(m-CTSIB)에서 중재 후에는 FIRM-EC, FOAM-EO, FOAM-EC 항목에서 향상되었고 세 그룹중 매트 그룹의 측정값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동적 체중이동(Rhythmic W-S)에서 중재 후에는 반응시간(reaction time), 움직임 속도(movement velocity), 정적 이동거리 (end point excursions), 방향 조절력 (directional control) 항목에서 향상되었으며 세 그룹 중 매트 그룹의 측정값이 반응 시간(reaction time)항목에서 가장 크게, 나머지 항목에서는 가장 작게 나타났다.
균형은 어떻게 나눌수 있는가? 균형은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정적 균형은 고정된 기저면에 흔들림 없이 서 있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하고, 동적 균형은 기저면이 움직이거나 외부로부터 자극이 주어졌을 때, 또는 스스로 움직임을 수행 할 때의 균형을 말한다 (Ragnarsdottir, 1996). 이러한 균형조절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하지의 근력증진운동, 시각적 피드백과 바이오피드백 등을 이용한 고유수용성 감각훈련 등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Walker 등,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김수정, 원종혁, 오재섭 등(2006). Hook-lying 자세에서 한쪽다리 들기시 지지면의 안정성에 따른 복사근의 근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3(3), 102-110. 

  2. 김원호, 이충희, 정보인 등(1998). 노인의 균형유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5(3), 21-33. 

  3. 김현갑(2003). 탄성 밴드를 이용한 무릎관절 근력강화운동이 노인들의 균형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현희, 송창호(2010). 스쿼트 운동시 자세가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 및 근활성비에 미치는 효과. 근관절건강학회지, 17(2), 142-150. 

  5. 나영무, 이건철, 임길병 등(2003). 뇌졸중 환자에서 시지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좌우균형에 미치는 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27(2), 165-166. 

  6. 이건철, 정혜미, 김상범 등(2004). 구두 굽높이의 차이가 균형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6(3), 559-569. 

  7. 이제승(2013). Squat 운동시 지지면 상태와 부하량에 따른 코어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이진희(1997). 정상아와 편마비 뇌성마비아의 삼차원 보행분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9(1), 127-145. 

  9. 임용택(2005). 새로운 운동트레이닝에서 전신진동방법에 대한 연구. Korea Coaching Development, 7(4), 105-116. 

  10. 최병찬(2008). 요부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이 씨름선수의 요부 근력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최진승, 김용준, 강동원 등(2008). 수직 진동을 동반한 Leg Press 운동 시 진동크기와 주파수에 따른 하지 근육의 근전도 차이 분석. 대한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지, 1492-1495. 

  12. 허병훈(2007).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균형 운동이 시각장애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Bautmans I, Van Hees E, Lemper JC, et al(2005). The feasibility of Whole Body Vibration in institutionalised elderly persons and its influence on muscle performance, balance and mobil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Geriatr, 5(17), 1-8. 

  14. Bogaerts A, Verschueren S, Delecluse C, et al(2007).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postural control in older individuals: A 1 yea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ait & Posture, 26(2), 309-316. 

  15. Cardinale M, Wakeling J, Viru A(2005).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are vibrations good for you? Commentary. Br J sports Med, 39(9), 585-589. 

  16. Cheung WH, Mok HW, Qin L, et al(2007). High-frequency whole -body vibration improves balancing ability in elderly women. Arch Phys Med Rehabil, 88(7), 852-857. 

  17. Delecluse C, Roelants N, Verschueren S(2003). Strength increase after whole-body vibration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5(6), 1033-1041. 

  18. Escamilla RF(2001). Knee biomechanics of the dynamic squat exercise.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3(1), 127-141. 

  19. Frontera WR, Hughes VA, Fielding RA, et al(2000). Aging of skeletal muscle: A 12-yr longitudinal study. J Applied Phys, 88(4), 1321-1326. 

  20. Horak FB, Nasher LM, Diener HC(1990). Postural strategies associated with somatosensory and vestibular loss. EXP Brain Res, 82, 167-177. 

  21. Hus AL, Jan MH, Tang PF(2003). Analysis of Impairments Influencing Gait Velocity and Asymmetry of Hemiplegic Patients After Mild to Modera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84, 1185-1193. 

  22. Iwasaki T, Shiba N, Matsuse H, et al. (2006). Improvement in knee extension strength through training by means of combined electrical stimulation and voluntary muscle contraction. Tohoku J. Exp. Med, 209, 33-40. 

  23. Kazuhiro K, Akira K, Issei S, et al(2007). Effect of whole-body vibration exercise and muscle strengthening, balance, and walking exercises on walking ability in the elderly. Keio J Med, 56(1), 28-33. 

  24. Lee SH(2007). The Differences between Aero step Exercises and Weight training on Posture, Physical Fitness, Balance, and Hormone Levels in the Elderly.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5. Lord SR, Castell S(1994).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older persons: effect on balance, strength, neuromuscular control, and reaction time. Arch Phys Med Rehabil, 75(6), 648-652. 

  26. Macaluso A, De Vito G(2004). Muscle strength, power and adaptations to resistance training in older people. Eur J App Physiol, 91(4), 450-472. 

  27. Merriman H, Jackson K(2009). Th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training in aging adults: A systematic review. J Geriatr Phys Ther, 32(3), 134-145. 

  28. Mikhael M, Orr R, Fiatarone Singh MA(2010). The effect of whole body vibration exposure on muscle or bone morphology and function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Maturitas, 66(2), 150-157. 

  29. Minoru S(2005). Effects of Prolonged vibration on motor unit activity and motor performance. Med Sci Sports & Exer, 37(12), 2120-2125. 

  30. Prentice WE(2005). Techniques in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New York, McGrawHill. 

  31. Ragnarsdottir M(1996). The concept of balance. Phys Ther, 82(6), 368-375. 

  32. Roelants M, Delecluse C, Verschueren SM(2004). Whole-body vibration training increases knee-extension strength and speed of movement in older women. J Am Geriatr Soc, 52(6), 901-908. 

  33. Roelants M, Verschueren SM, Delecluse C, et al(2006). Whole body vibration induced increase in leg muscle activity during different squat exercises. J Strength Cond Res, 20(1), 124-129. 

  34. Ross DP, Roger CW, Finbarr CM, et al(2012).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motor unit recruitment and theshold. J Appl Physiol, 112, 388-395. 

  35. Selseth A, Dayton M, Cordova ML, et al(2000). Quadriceps concentric EMG activity is greater than eccentric EMG activity during the lateral step-up exercise. J Sport Rehabil, 9(2), 124-34. 

  36. Shumway-Cook A, Anson D, Haller S(1988). Postural sway biofeedback: its effect on re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69(6), 395-400. 

  37. Shumway-Cook A, Horak F(1986). Assessing the influence of sensory interaction of balance, Suggestion from the field. Phys Ther, 66(10), 1548-1550. 

  38. Stuart MJ, Meglan DA, Lutz GE, et al(1996). Comparison of intersegmental tibiofemoral joint forces and muscle activity during various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Am J Sports Med, 24(6), 792-799. 

  39. Sutherland DH, Hagy JL(1972). Measurement of Gait Movements from Motion Picture Film. J Bone Joint Surg Am, 54(4), 787-797. 

  40. Thelen DG, Ashton-Miller JA, Schultz AB, et al(1996). Do neural factors underlie age differences in rapid ankle torque development? J Am Geriatr Societ, 44(7), 804-808. 

  41. Voight ML, Hardin JA, Blackburn TA, et al(1996). The effects of muscle fatigue on and the relationship of arm dominance to shoulder proprioception. J Orthop Sports Phys Ther, 23(6), 348-352. 

  42. van Nes IJ, Geurts AC, Hendricks H, et al(2004). Short-term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postural control in unilateral chronic stroke patients: preliminary evidence. Am J Phys Med Rehabil, 83(11), 867-873. 

  43. van Nes IJ, Latour H, Schils F, et al(2006). Long-term effects of 6-week whole-body vibration on balance recover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postacute phase of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37(9), 2331-2335. 

  44. Verschueren SM, Roelants M, Delecluse C, et al(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J Bone Miner Res. 19(3), 352-359 

  45. Walker C, Brouwer BJ, Culham EG(2000).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Phys Ther, 80(9), 886-895. 

  46. Yack HI, Collins CE, Whieldon TJ(1993).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for the ACL deficient knee. Am J Sports Med, 21(1), 49-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