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4, 2013년, pp.512 - 519  

주신윤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질병치료와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온 약용식물 10종을 선정하여 총 페놀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약용식물의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화피 추출물이 320.10 mg/g, 갈근이 153.93 mg/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화피 추출물이 226.25 mg/g, 황금 추출물이 101.98 mg/g으로 높았다. 약용식물 중 가장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시료는 화피로 $IC_{50}$ $5.39{\mu}g/mL$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헛개나무($IC_{50}$ $24.87{\mu}g/mL$), 오가피($IC_{50}$ $27.79{\mu}g/mL$)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 소거 활성 측정결과 헛개나무$IC_{50}$ $173.96{\mu}g/mL$, 화피 추출물이 $IC_{50}$ $167.94{\mu}g/mL$로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화피와 오가피가 유의적으로(p<0.001)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환원력에 대한 흡광도 값을 측정한 결과는 10종의 약용식물 중에서 화피 추출물이 2.72의 흡광도를 나타내어, 양성대조군인 비타민C의 3.04과 비교해도 크게 뒤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화피, 헛개나무, 오가피 추출물은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도 높게 나타나 식품첨가물 및 식품보존제 등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ic extracts obtained from medicinal plants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 Pueraria lobata Ohwi, Portulaca oleracea Linne, Crataegus pinnatifida Bunge var. typica Schneider, Euonymus alatus Apterus, Hovenia dulcis Thunberg, Pr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랫동안 질병치료와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온 약용식물 10종을 선정하여 그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고 천연 항산화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용식물인 황금에 함유된 성분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 사용된 약용식물인 황금(黃芩,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은 꿀풀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baicalein, baicalin, wogonin을 비롯한 flavonoid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세균과 바이러스 감염, 암과 장염 등의 해열과 진통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7). 오가피(五加皮, 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는 두릅나무과에 속한 낙엽 관목으로 한의학에서는 관절염, 근골무력, 위약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면역 및 항암작용, 항당뇨 효과 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8).
약용식물인 오가피의 한의학에서 사용 용도는? 본 연구에 사용된 약용식물인 황금(黃芩,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은 꿀풀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baicalein, baicalin, wogonin을 비롯한 flavonoid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세균과 바이러스 감염, 암과 장염 등의 해열과 진통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7). 오가피(五加皮, 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는 두릅나무과에 속한 낙엽 관목으로 한의학에서는 관절염, 근골무력, 위약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면역 및 항암작용, 항당뇨 효과 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8). 갈근(葛根, P ueraria lobata Ohwi)은 콩과 식물인 칡의 뿌리로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 예방, 과산화 지질 함량 감소, 항당뇨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9), 쇠비름(P ortulaca oleracea Linne)은 쇠비름과 한해살이 식물로 항균작용, 항암효과 등의 효능을 가지며 유효성분으로는 flavonoids, coumarin 등이 확인된 바 있다(10).
약용식물 중 화피에서 항산화 활성과 간보호 작용을 나타내는 함유 성분은? 39 μg/mL의 농도에서 50%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Ju 등(33)은 화피에 함유된 diarylheptanoid 화합물, arylbutanoid 화합물이 항산화 활성과 간보호 작용을 가진다고 보고하였고, Jung과 Jung(34)은 화피 추출물이 염증 및 알레르기 반응에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실험에서 화피 추출물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비타민 C(IC50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Bauer G. 2000.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efficient, selective, and interactive signals during intercellular induction of apoptosis. Anticancer Res 20: 4115-4139. 

  2. Omaye ST, Reddy KA, Cross CE. 1997. Effect of butylated hydroxytoluene and other antioxidants on mouse lung metabolism. J Toxicol Environ Health 3: 829-836. 

  3.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6.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 Biol Med 20: 933-956. 

  4. Kim KD. 2004. Research of oriental medicine plant on antioxidation and ultraviolet rays absorption. J Kor Soc Cosm 10: 145-153. 

  5.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6. Lee JM, Lee SH, Kim HM. 2000. Use of oriental herbs as medical food.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1): 50-56. 

  7. Kim JM, Lee CW, Ahn YT, Lee H, Kim C, Kim HW, Cho SI, An WG. 2012. Antimicrobial effect of Scutellariae Radix and its thermal stability.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6: 325-329. 

  8. Kim HW, Cho SI, Kim GY, Jeon BG, Cho YL, Jeong HW. 2007. Effects of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 following gamma-ray irradiation on solid tumor and immune cells in mice.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1: 736-740. 

  9. Choi BS, Kim H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rowroot dasik prepared with the arrowroot (Puerariae Radix)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7: 197-207. 

  10. Kim MJ, Lee SJ, Kim RJ, Jeong BY, Sung NJ. 2011. Mineral content and antioxidants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J Life Sci 21: 1393-1400. 

  11. Park SJ, Han KS, Yoo SM. 2012.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Crataegi fructus. Korean J Food & Nutr 25: 413-418. 

  12. Kang MS, Kim SY, Lee YH, Choi JW, Baek OH, Han HK, Kim SN, Kim JB, Park HJ, Cho YS. 2011.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of Euonymus sieboldiana lea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918-923. 

  13. Ahn BS, Kim JW, Kim HT, Lee SD, Lee KW. 2010. Antioxidant effects of Hovenia Dulcis in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Vet Clin 27: 366-373. 

  14. Kim CH, Lee KY, Moon MO, Hyun HJ, Ihm BS, Kim MH. 1998. Natural habitat of Prunus yedoensis Matsumura and its morphological variation. Kor J Plant Tax 28: 117-137. 

  15. Choi BD, Ryeom K. 1999. Cytotoxicity of the components of Albizzia julibrissin. J Appl Pharmacol 7: 371-376. 

  16. Yun JH, Hwang ES, Kim GH. 2012. Effects of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on the function of osteoblastic MC3T3-E1 cells under oxidative stres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82-88. 

  17. Kim EJ, Choi JY, Yu M, Kim MY, Lee S, Lee B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18. Ju JC, Shin JH, Lee SJ, Cho HS, Sung NJ.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14. 

  19. Park YM, Kim SJ, Jo KH, Yang EJ, Jung ST. 2006. Anticari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medicinal herb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84-293. 

  20. Lee SE, Lee JH, Kim JK, Kim GS, Kim YO, Soe JS, Choi JH, Lee ES, Noh HJ, Kim SY. 2011.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 217-226. 

  21. Jang GY, Kim HY, Lee SH, Kang YR, Hwang IG, Woo KS, Kang TS, Lee JS, Jeong HS. 2012.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extraction method on antioxidant activity of several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914-920. 

  22. Swain T, Hillis W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63-68. 

  23.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24. Lee YU, Huang GW, Liang ZC, Mau JL.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three extracts from Pleurotus citrinopileatus. LWT 40: 823-833. 

  25.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6. Liu F, Ooi VEC, Chang ST. 1997.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mushroom polysaccharide extracts. Life Sci 60:763-771. 

  27. Zhao GR, Xiang ZJ, Ye TX, Yuan YJ, Guo ZX. 2006. Antioxidant activities of Salvia miltiorrhiza and Panax notoginseng. Food Chem 99: 767-774. 

  2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9.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30.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31. Kim YS, Lee SJ, Hwang JW, Kim EH, Park PJ, Jeon BT. 2011.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on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in Chang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25-1531. 

  3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33. Ju EM, Lee SE, Hwang HJ, Kim JH. 2004.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of extract from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Life Sci 74: 1013-1026. 

  34. Jung JY, Jung HA. 2010. Effect of Phellinus igniarius Quel extract on the anti-inflammatory, anti allergy, anti-oxidant, anti-wrinkle reaction. J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3: 42-65. 

  35. Tannenbaum SR, Sinskey AJ, Weisman M, Bishop W. 1974. Nitrite in human saliva. Its possible relationship to nitrosamine formation. J Natl Cancer Inst 53: 79-84. 

  36. Park CH, Kim DH, Kim ML.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orni fructus, Astragalus membranaceus and Glycyrrhiza uralensis. Kor J Herbology 23: 93-101. 

  37. Han EK, Jung EJ, Lee JY, Jin YX, Chung CK. 2011.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6-62. 

  38. Park MR, Yoo C, Chang YN, Ahn BY. 2012. Change of total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and radical scavenging. Korean J Plant Res 25: 379-386. 

  39. Rhim TJ, Choi MY, Park HJ. 2012. Antioxidative activity of Rumex crispus L. extract. Korean J Plant Res 25: 568-577. 

  40. Masaki H, Sakaki S, Atsumi T, Sakurai H. 1995.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166. 

  41. Kim MS, Kim KH, Jo JE, Choi JJ, Kim YJ, Kim JH, Jang SA, Yook HS. 2011.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7-55. 

  42. Lee SJ, Sung NJ, Jeong HJ, Shin JH, Chung YC, Seo JK.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Prunella vulgar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35-1541. 

  43. Pratt DE, Miller EE. 1984. A flavonoid antioxidant in Spanish peanuts (Arachia hypogoea). J Am Oil Chem Soc 61: 1064-1067. 

  44. Kim JK, Kang YM, Eum GS, Ko YM, Kim TY. 2003.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Akebia quinate Decaisn, Scirusfluviatilis A. Gray,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Makino). J Agric Life Sci 37: 69-75. 

  45. Shon MY, Kim SH, Nam SH, Cho YS, Park SK, Sung N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Korean fermented tea. Korean J Food Preserv 11: 544-549. 

  46. Zheng W, Wang SY. 2001.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in selected herbs. J Agric Food Chem 49:5165-5170. 

  47. Diplock AT. 1997. Will the 'good fairies' please prove to us that vitamin E lessens human degenerative disease? Free Radic Res 27: 511-53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