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금(Curcuma longa L.)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항산화계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urmeric (Curcuma longa L.) on Antioxidative Systems and Oxidative Damage in Rats Fed a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4, 2013년, pp.570 - 576  

김민선 (한국국제대학교 식품과학과) ,  전성식 (한국국제대학교 식품과학과) ,  최정화 (한국국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흰쥐에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함께 울금 분말을 농도별로 2.5%(TPA group), 5%(TPB gorup)의 수준으로 공급하였을 시 항산화계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SOD 활성을 간조직에서 관찰한 결과, 울금 분말을 공급한 군에서 HF군에 비해 SOD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TPB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GPx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감소되었으나, 울금 분말을 공급한 군에서 HF군에 비해 GPx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Catalase를 관찰한 결과는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 고콜레스테롤군에서 감소되었으며 울금 분말을 공급한 군에서는 증가되었다. Superoxide radical 함량을 간조직의 microsome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증가되었으나 울금 분말을 공급한 모든 군에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mitochondria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울금 분말을 공급한 모든 군에서는 감소하였다. 특히 TPB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간조직의 mitochondria에서 $H_2O_2$의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울금 분말을 공급한 모든 군에서는 HF군에 비해 감소되었으며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cytosol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울금 분말을 공급한 군에서는 감소되었으며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산화단백질의 생성지표인 carbonyl 가 함량을 mitochondria에서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 고콜레스테롤군에서 증가되었으며, HF군에 비해 울금 분말을 공급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조직에서의 TBARS를 측정한 결과 HF군에 비해 울금 분말을 공급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국내산 울금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항산화계를 강화시켜 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감소시키는 항산화 효과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urmeric on antioxidative systems and oxidative damage in rats fed a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 A total 40 rats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a normal diet group (N), a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 group (HF), a high fat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울금의 항산화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흰쥐에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함께 울금 분말을 농도별로 공급했을 경우 간조직의 자유라디칼 생성계와 제거계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울금에 함유된 식물성 sterols 및 정유성분은 무엇인가? , turmeric)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 초본 식물로 울금의 덩이뿌리를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하고 쪄서 말린 것을 말하며, 한약재, 향신료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져 왔다(11). 울금이 약제로서 효능을 지닌 것은 주요 성분인 curcumin 이외에 demethoxycurcumin, bisdmethoxycurcumin, cyclocurcumin, calebin 등이 존재하며, 식물성 sterols 및 정유성분인 β-sitosterol, zingiberene, campesterol, stigmasterol, mono- 및 di-enoic acid, tumerone, zingiberone, borneol, eugenol, camphor, curdion, α-phellandrene, cineol 등이 전체 4.2~4.
고지방, 고콜레스테롤을 유도한 쥐에서 간조직의 산화적 손상지표로 삼는 산화단백질의 생성지표인 carbonyl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무처리군 대비 울금 분말을 공급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원인은 무엇인가? 또한 mitochondria에서 carbonyl 가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군에서 증가되었으며, HF군에 비해 울금 분말을 공급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울금에 항산화력의 지표가 되는 페놀함량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는 Kim 등(40)의 보고에서와 같이 울금의 풍부한 항산화 성분들로 인하여 단백질 산화를 억제하고 조직의 산화를 억제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울금이란 무엇인가? 울금(Curcuma longa L., turmeric)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 초본 식물로 울금의 덩이뿌리를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하고 쪄서 말린 것을 말하며, 한약재, 향신료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져 왔다(11). 울금이 약제로서 효능을 지닌 것은 주요 성분인 curcumin 이외에 demethoxycurcumin, bisdmethoxycurcumin, cyclocurcumin, calebin 등이 존재하며, 식물성 sterols 및 정유성분인 β-sitosterol, zingiberene, campesterol, stigmasterol, mono- 및 di-enoic acid, tumerone, zingiberone, borneol, eugenol, camphor, curdion, α-phellandrene, cineol 등이 전체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96. Free radicals, ageing, and disease. In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Clarendon Press, London, UK. p 416. 

  2. Mantha SV, Kalra J, Prasad K. 1996. Effects of probucol on hyper cholesterolemia-induced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s. Life Sci 58: 503-509. 

  3. Del Boccio G, Lapenna K, Porreca E, Pennelli A, Savini F, Feliciani P, Ricci G, Cuccurullo F. 1990. Aortic antioxidant defence mechanisms: time-related changes in cholesterolfed rabbits. Atheroscleosis 81: 127-135. 

  4. Lee JM, Choi SW, Cho SH, Rhee SJ. 2003. Effect of seeds extract of Paeonia lactiflora on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of liver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Korean J Nutr 36: 793-800. 

  5. Wokozawa T, Nakagawa T, Kitani K.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green tea polyphenol in cholesterol-fet rats. J Agric Food Chem 50: 3549-3552. 

  6. Trackshel G, Maines MD. 1988. Characterizat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in rat kidney. Biochem J 252: 127-136. 

  7. Jang JR, Hwang SY, Lim SY. 2010. Effects of extracts from dried yam on antioxidant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J Life Sci 20: 1365-1372. 

  8.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99. Antioxidant defenses. In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p 105-245. 

  9. Halliwell B, Aruoma OJ. 1991. DNA damage by oxygenderived species. FEBS Letters 281: 9-19. 

  10. Lee JM. 1997. Protective effect of Ganoderma lucidum and Panax ginseng C.A. Meyer on oxidative damage.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1. Oh H, Park H, Ju MS, Jung SY, Oh MS. 2010.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between Curcumae longae Radix and Curcumae longae Rhizoma. Kor J Herbology 25: 83-91. 

  12. Geoffrey NR, Amitahb C, Muraleedharan GN. 1998. Nobel bioactivities of Curcuma longa constituents. J Nat Prod 61: 542-545. 

  13. Andrew MA, Matthew SM. 2000. Isolation of curcuma from tumeric. J Chem Educ 77: 359-362. 

  14. An BJ, Lee JT, Park TS, Pyeon JR, Bae JH, Song MA, Beak EJ, Park JM, Son JH, Lee CE, Cho IK. 2006.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 in Curcuma longa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168-172. 

  15. Ryn GY, No KH, Ryu SR, Yang HS. 2005. Study of separation and analysis method an effective component from UIGeum (Curcuma longa) and a contained curcumin as product of national and partial region cultures. Appl Chem 9: 57-60. 

  16. Ammon HRT, Wahl MA. 1991. Pharmacology of Curcumin longa. Planta Med 57: 1-7. 

  17. Kang WS, Kim SH, Park EJ, Yoon KR. 1998. Antioxidative property of turmeric (Curcumae Rhizoma) 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66-271. 

  18. Song EK, Cho H, Kim JS, Kim NY, An NH, Kim JA, Lee SH, Kim YC. 2001. Diarylheptanoids with free radical scavenging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in vitro from Curcuma longa. Planta Med 67: 876-877. 

  19. Masuda T, Isobe T, Jito A, Nakatani N. 1992. Antioxidative curcuminoids from rhizomes of Curcuma xanthorrhiza. J Phytochem 31: 3645-3649. 

  20. Russell LR. 198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separation and spectral characterization of the pigments in tumeric and anatto. J Food Sci 53: 1823-1826. 

  21. Reitman S, Frankel S. 1957.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blutamic oxalo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m J Clin Pathol 28: 56-63. 

  22.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nti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i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3. Lawrence RA, Burk RF. 1976.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selenium-deficient rat liver. Biochem Biophys Res Commun 71: 952-958. 

  24. Abei H, Wyss SR, Scherz B, Skvaril F. 1974. Heterogeneity of erythrocyte catalase II.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rmal and variant erythrocyte catalase and their subunits. Eur J Biochem 48: 137-145. 

  25. Habig WH, Pabst MJ, Jakoby WB. 1974. Glutathione Stransferase; the first enzymatic steps in mercapturic acid formation. J Biol Chem 249: 7130-7139 

  26. Gay C, Gebicki JM. 2000.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sorbitol on the ferric-xylenol orange hydroperoxide assay. Anal Biochem 284: 217-220. 

  27. Azzi A, Montecucco C, Richter C. 1975. The use of acetylated ferricytochrome c for the detection of superoxide radicals produced in biological membrane. Biochem Biophys Res Commun 65: 597-603. 

  28. Levine RL, Garland D, Oliver CN, Amici A, Climent I, Lenz AG, Ahn B, Shaliel S, Stadtment ER. 1990. Determination of carbonyl content in oxidatively modified proteins. Methods Enzymol 186: 464-478. 

  29. Uchiyama M, Mihara M. 1978. Determination of malondialdehyde precursor in tissues by TBA test. Anal Biochem 86: 271-278. 

  30.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31. Sreel RGD, Torrie JH. 1990.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Mcgrow Hill, New York, NY, USA. 

  32. Fu Y, Zheng S, Lin J, Ryerse J, Chen A. 2008. Curcumin protects the rat liver from CCI4-caused injury and fibrogenesis by attenuating oxidative stress and suppressing inflammation. Mol Pharmacol 73: 339-409. 

  33. Jones DP, Eklow L, Orrenius S. 1981. Metabolism of hydrogen peroxide in isolated hepatocytes: relative contribution of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in decomposition of endogenously generated H2O2. Arch Biochem Biophys 210: 505-516. 

  34. Liju VB, Jeena K, Kuttan R. 2011. An evaluation of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nociceptive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Curcuma longa. L. Indian J Pharmacol 43: 526-531. 

  35. Oh HI, Park HB, Ju MS, Jung SY, Oh MS. 2010.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between Curcumae longae Radix and Curcumae longae Rhizoma. Korean J Herbology 25: 83-91. 

  36. Jacoby WB. 1978. The glutathione S-transferases: a group of multifunctional detoxification proteins. Adv Enzymol Relat Areas Mol Biol 46: 383-414. 

  37. Adaramoye OA, Nwosu IO, Farombi EO. 2012. Sub-acute effect of NG-nitro-I arginine methyl-ester (L-NAME) on biochemical indices in rats: Protective effects of Kolaviron and extract of Curcuma longa L. Pharmacognosy Res 4: 127-133. 

  38. An BJ, Lee JY, Park TS, Pyeon JR, Bae HJ, Song MA, Baek EJ, Park JM, Con JH, Lee CE, Choi KI. 2006.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in Curcuma longa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168-172. 

  39. Bus JS, Aust SD, Gibson JE. 1975. Lipid peroxidation: a possible mechanism for paraquat toxicity. Res Commun Chem Pathol Pharmacol 11: 31-38. 

  40. Kim KB, Yoo KH, Park HY, Jeong JM. 2006.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mmercial edible plant extracts distributed in Kor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328-333. 

  41. Plaa GL, Witscri H. 1976. Chemicals, drugs and lipid peroxidation. Annu Rev Pharmacol Toxicol 16: 125-141. 

  42. Del Boccio GLD, Porreca EPA, Savini R, Feliciani P, Ricci G, Cuccurullo F. 1990. Aortic antioxidant defence mechanism time-related change in cholesterol-fed rabbits. Atherosclerosis 84: 127-135. 

  43. Mantha SV, Kalra J, Prasad K. 1996. Effects of probucol on hypercholesterolemia-induced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s. Life Sci 58: 503-509. 

  44. Akira A, Kiyotake N, Teruo N. 1999. Antioxidative effects of turmeric, rosemary and capsicum extracts on membrane phospholipid peroxidation and liver lipid metabolism in mice. Biosci Biotechnol Biochem 63: 2118-2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