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고성 뒤배재 화산암의 암석화학적 특성

Pe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Duibaejae Volcanic Rocks from Goseong, Gangwon-do, Korea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2, 2013년, pp.109 - 119  

김화성 (태백기계공업고등학교) ,  길영우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이문원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원도 고성 뒤배재 현무암은 산출상태, 구성광물, 주성분원소 및 미량원소의 특징에 의해 하부 현무암과 상부 현무암으로 구분된다. 하부 현무암은 집괴암의 특징을 보이고, 맨틀 및 지각기원의 포획암과 감람석, 휘석, 사장석 포획광물이 있다. 상부 현무암은 주상절리로 산출되며, 맨틀 포획암이 상대적으로 더 많고, 포획광물로는 감람석이 우세하다. 현무암의 주성분원소 및 미량원소 분석 결과 상부 현무암은 하부 현무암에 비하여 초생 마그마에 가까운 조성을 보인다. 원시맨틀로 표준화한 미량원소 및 희토류원소의 부화 및 결핍 패턴은 두 현무암이 매우 유사하나, 하부 현무암이 상부 현무암 보다 LREE의 부화 정도가 더 크다. 뒤배재 화산체의 하부 현무암은 약 0.8-1.2%, 상부 현무암은 약 3.7-4.0%의 동일한 맨틀 물질인 석류석 페리도타이트의 배취 용융으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하부 현무암내의 포획된 화강암, 포획광물의 반응연 및 사장석, 석영 등의 포획광물은 하부 현무암을 형성한 마그마와 지각물질과의 동화 가능성을 지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ibaejae basalts from Goseong, Gangwon-do, are divided into the lower basalt and the upper basalt depending on the properties, such as occurrence, mineral compositions, and major and trace compositions of the basalts. The lower basalts have characteristics of agglomerate rocks as well as contain,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오봉리 화산체군의 하나인 뒤배재 화산체를 중심으로 주성분, 미량성분 및 희토류 분석을 통하여 뒤배재 화산체를 형성한 마그마의 지화학적 특성과 기원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한반도에서의 신생대 화산활동의 암석화학적 특징을 밝히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이와 같이 고성 일대에 분포하는 화산들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뒤배재 화산체의 마그마 성인에 대한 암석화학적인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오봉리 화산체군의 하나인 뒤배재 화산체를 중심으로 주성분, 미량성분 및 희토류 분석을 통하여 뒤배재 화산체를 형성한 마그마의 지화학적 특성과 기원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한반도에서의 신생대 화산활동의 암석화학적 특징을 밝히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가설 설정

  • 이는 뒤배재 화산체에서 두 현무암의 마그마가 배취 부분용융에 의해 생성되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맨틀광물과 조성을 감람석 60%, 사방휘석 20%, 단사휘석 10%, 석류석 10%(Ol0.60+Opx0.20+Cpx0.10+Gt0.10)으로 가정하고, Halliday et al.(1995)의 분배계수를 이용하여 배취 부분용융 정도를 계산하면, 뒤배재 화산체의 하부 현무암은 약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원도 고성의 특징은 무엇인가? 강원도 고성에는 후기 마이오세에 분출한 8개의 크고 작은 화산체들이 기반암인 중생대 화강암위에 플러그 돔형으로 분포하고 있다. Kim et al.
고성 지역의 현무암을 연구한 사례에는 무엇이 있는가? , 2012). Park and Park(1996)은 오봉리 화산체군을 이루는 뒤배재, 갈미봉, 166 m 고지와 운봉산 화산체의 현무암에서 주성분의 차이가 있는 것을 근거로, 이 지역에서의 화산암을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이곳의 마그마 성인이 다양하였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뒤배재 화산체에서 Sr 동위원소비의 값을 근거로 현무암을 상부 현무암과 하부 현무암으로 구분하고, 이곳의 마그마가 서로 다른 모 마그마로부터 분화하였거나, 마그마가 성인과 관련된 맨틀에서의 과정이 단순하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Koh and Yun(2005)는 이곳의 화산체를 열점으로 보고, 마그마가 석류석 페리도타이트의 부분용융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해석하였다. 그리고 Kil et al.(2007)는 운봉산 화산체의 마그마가 깊이 약 160 km에서 결핍된 석류석 페리도타이트가 0.2-2%의 부분 용융되어 형성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Kim et al.(2012)는 오봉리 화산체군을 이루는 화산들을 화성쇄 설층의 유무에 따라 다시 나누었다.
오봉리 화산체군은 무엇을 일컫는 것인가? Kim et al.(2012)는 고성군 죽왕면 오봉리 일대에 타원형으로 밀집되어 분포하는 뒤배재, 갈미봉, 102 m 고지, 166 m 고지, 오음산 및 249 m 고지의 화산체들을 오봉리 화산체군 이라 명명하였다(Fig.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en, C.Y. and Frey, F.A., 1985, Trace element and isotopic geochemistry of lavas from Haleakala volcano, East Maui, Hawaii: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Hawaiian basal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0, 8743-8768. 

  2. Chen, C.Y., Frey, F.A., and Garcia, M.O., 1990, Evolution of alkalic lavas at Haleakala volcano, east Maui, Hawaii major, trace element and isotopic constraints. Contributi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105, 197-218. 

  3. Cho, D.L., Hong, S.H., Chwae, U.C., Lee, B.J., and Choi, P.Y., 1998, Geological report of the Goseong-Ganseong sheet.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59 p. (in Korean) 

  4. Choi, S.H., 2012, Lithospheric mantle beneath the Korean Peninsula: Implications from peridotite xenoliths in alkali basalts.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 235-247. (in Korean) 

  5. Frey, F.A., Green, D.H., and Roy, S.D., 1978, Integrated models of basalt petrogenesis: A study of quartz tholeiites to olivine melilitiets from south eastern Australia utilizing geochemical and experimental petrological data. Journal petrology, 19, 463-513. 

  6. Garcia, M.O., Pietruszka, A.J., and Rhodes, J.M., 2003, A petrologic perspective of Kilauea volcano's summit magma reservoir. Journal petrology, 44-12, 2313-2339. 

  7. Green, T.H., 1980, Island arc and continent-building magmatism: A review of petrogenetic models based on experimental petrology and geochemistry. Tectonophysics, 63, 367-385. 

  8. Halliday, A.N., Lee, D.C., Tommasini, S., Davies, G.R., Paslick, C.R., Fitton, J.G., and James, D.E., 1995, Incompatible trace elements in OIB and MORB and source enrichment in the sub-oceanic mantle.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33, 379-395. 

  9. Hildreth, W., 1981, Gradients in silicic magma chambers: Implications for lithospheric magmatis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6, 10153-10192. 

  10. Kil, Y.W., Shin, H.J., and Ko, B.K., 2007, Magma pathway of alkali volcanic rocks in Goseong, Gangwon-do, Korea.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6, 196-207. (in Korean) 

  11. Kim, H.S., Kil, Y.W., and Lee, M.W., 2012, The formation of the cenozoic volcanic edifice in the Goseong-Ganseong area, Gangwondo,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627-636. (in Korean) 

  12. Kim, Y.B., Chwae, U.C., and Hwang, S.K., 2010, Geological report of the Changamjeom shee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80 p. (in Korean) 

  13. Koh, J.S., Yun, S.H., and Jeong, E.J., 2007, Petrology of the basalts in the Seongsan-Ilchulbong area,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324-342. (in Korean) 

  14. Koh, J.S. and Yun, S.H., 2005, Petrology on the late miocene basalts in Goseong-gun, Gangwon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78-79. (in Korean) 

  15. Kushiro, I., Yoder, H.S., and Mysen, B.O., 1976, Viscosities of basalt and andesite melts at high pressur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1, 6351-6356. 

  16. Lee, H.Y., 1995, Petrochemical study on the mantle xenoliths in alkali basalts from S. Korea: P-T Regime of upper mantl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4, 104-123. (in Korean) 

  17. Lee, H.Y., Kim, Y.K., Koh, S.M., and Hong, S.S., 1993, Study on the mantle xenoliths for the calculation of heat flow.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KR-93(B)-10, 98 p. (in Korean) 

  18. Macdonald, B.R., 1980, Trace element evidence for mantle heterogeneity beneath the Scottish Midland Vally in the Carboniferous and Permia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A 297, 245-257. 

  19. McDonough, W.F., 1994, Chemical and isotopic systematics of continental lithospheric mantle. In (Meyer, H.O.A. and Leonardos, O., editors)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kimberlite conference, 478-485. CPRM, Brasilia. 

  20. Park, J.B. and Park, K.H., 1996, Petrology and petrogenesis of the Cenozoic alkali volcanic rocks in the middle part of Korean Peninsula (I): Petrography, mineral chemistry and whole rock major element chemistry.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2, 223-249. (in Korean) 

  21. Rollinson, H.R., 1993, Using geochemical data: Evaluation, presentation, interpretation. Pearson Education Limited, Edinburgh, 352 p. 

  22. Shaw, D.M., 1979, Trace element melting models.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11, 577-586. 

  23. Song, K.Y., Park, S.I., and Cho, D.L., 2011, Geological report of the Sokcho-Yangyang shee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81 p. (in Korean) 

  24. Sun, S.S. and Hanson, G.N., 1975, Origin of Ross island basanitoids and limitations upon the heterogeneity of mantle sources for alkali basalts and nephelinites. Contributi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52, 77-106. 

  25. Sun, S.S. and McDonough, W.F., 1989, Chemical and isotopic systematics of oceanic basalt: Implications for mantle composition and processes.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42, 313-345. 

  26. Taylor, S.R. and M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Oxford, 312 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