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집단 활동에서 과학 영재들의 집단 내 의사소통 지위와 언어네트워크

Communication Status in Group and Semantic Network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mall Group Activity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2, 2013년, pp.148 - 161  

정덕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유대영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들의 소집단 활동에서 집단 내 의사소통 지위와 언어네트워크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5명을 한 단위로 하는 7개 소집단을 구성하고, 이들에게 지구의 밀도 구하기라는 주제로 토론활동을 하였다. KrKwic과 UCINET 6.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집단 내 의사소통 지위와 언어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단 내 선도자의 언어네트워크는 방관자들에 비해 높은 단어 사용 빈도, 낮은 컴포넌트 비율,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선도자들이 방관자들에 비해 응집된 지식을 소유하고 있으며, 문제해결을 위해 방관자들보다 많은 양의 지식을 인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런 결과는 과학영재들의 인지수준의 평가와 소집단 활동에서의 집단 구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status in group and the semantic network of science gifted students. Seven small groups, 5 members in each, participated in small group activities, in which they discussed the calculation of earth density. Both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본 연구는 과학영재 7개의 소집단의 특정 사례를 통해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나는 지위와 언어네트워크와의 관계를 살펴본 것이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있어서 제한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추후 많은 사례를 통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이러한 정보는 사회적 언어로 표현되며 그들이 특정 개념에 대해 인출해 놓은 정보는 연결 네트워크를 통해 인지구조라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활동 과정에서 과학영재들의 형성하는 언어네트워크의 특성을 알아보고, 집단내 지위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들이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난 언어네트워크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과학과 관련된 용어의 사용 빈도, 컴포넌트, 밀도 지표를 분석하였다(Table 3).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이고 가시적인 사회네트워크 분석 방법(Social Network Analysis)과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통하여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나는 집단 내의 지위를 찾아보고, 집단 내에서의 지위에 따라 그들이 지니고 있는 언어네트워크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로 ‘과학영재들의 소집단 활동에서 집단 내 지위와 언어네트워크와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정량적이고 가시적인 사회네트워크 분석방법(Social Network Analysis)과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통하여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나는 집단 내의 지위를 찾아보고, 집단 내에서의 지위에 따라 그들이 지니고 있는 언어네트워크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이 문제 해결에 관한 메타인지 능력이 뛰어나다는 근거를 바탕으로(Rogers, 1984) 최소한 단서만을 제공하는 토론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는 탐구 과정에서 과학영재들이 수업 목표에 따른 탐구 전략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집단 구성원들간의 활발한 의사소통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 표집된 연구대상에게 토론 주제로 ‘지구의 평균 밀도를 어떻게 구할 수 있는가?’를 제시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탐구 설계를 하도록 하였다. 이때 탐구 과정에서 필요한 준비물이 무엇이고, 그 준비물을 어떻게 사용하고, 그 준비물이 지구 평균 밀도를 구하는데 필요한 이유를 토론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준비물을 활용하여 지구의 평균 밀도를 구하는 탐구 방법을 설계하도록 하였다(Table 1).
  • 이러한 밀도는 각 단어를 네트워크 내에서 하나의 노드로 설정하고 이들 사이의 링크가 많고 적음으로 측정된다. 이런 네트워크의 전체 밀도는 선정된 단어 사이의 공동출현 빈도에 근거하여 네트워크가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지표이다. 네트워크의 밀도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단에서의 의사소통은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가? 이런 집단에서의 의사소통 과정에서는 구성원들 간에 집단 작업, 과제, 계획, 목표 등에 주로 초점을 둔 과제적 상호작용(task interaction)과 집단생활의 대인적이거나 사회적 측면에 초점을 둔 관계적 상호작용(relationship interaction)이 발생하기도 한다(Bales, 1999). 즉, 집단에서의 의사소통은 집단 구성원을 통제하고, 감정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을 움직이게 하며, 정보를 교환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구성원들의 성과, 활동, 사고 및 경험들이 다른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호의존적(interdependence)인 특성을 나타낸다(Wageman, 2001). 특히 구성원들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개인이 다른 사람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받아들임으로써 집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Huyn, 2010).
집단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한 구성원이 다른 구성원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는 두 가지 측면에 결정되는데 그 측면들은 무엇인가? 집단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한 구성원이 다른 구성원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가는 두 가지 측면에서 결정된다. 하나는 양적인 측면에서 집단의 한 사람이 다른 구성원들과 얼마나 많은 빈도로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가를 통하여 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질적인 측면에서 한 번의 상호작용이라도 얼마나 큰 강도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두 차원에서 정보교환의 중심적 위치에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큰 영향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Nam et al.
Driskell and Mullen(1990)은 무엇을 함으로써 지위 분화가 된다고 주장하였는가? , 1986). 많은 연구자들이 이런 지위 분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Driskell and Mullen(1990)은 먼저 집단 구성원 중 하나가 자신의 특정적 및 확산적 지위 특성을 보여주면 다른 구성원들은 그 하나의 역량에 대해 높은 기대감을 형성하며, 집단 성원들은 그 하나가 그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지위가 분화된다고 하였다. Berg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nderson, J.R., 1983, A spreading activation theory of memory.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22, 261-295. 

  2. Bales, R.F., 1999, Social interaction systems: Theory and measurement. New Brunswick, New Jersey, USA, 396 p. 

  3. Barsalou, L.W., 1983, Ad hoc categories. Memory and congnition, 11, 211-227. 

  4. Benne, K.D. and Sheats, P., 1948, Functional roles of group members. Journal of Social Issues, 4, 41-49. 

  5. Bennett, J., Hogrth, S., Lubben, F., Cambell, B., and Robinson, A., 2010, Talking Science: The Research Evidence on the Use of Small Group Discussions in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 69-95. 

  6. Berger, J., Wagner, D.G., and Zelditch, M.Jr., 1992, A working strategy for constructing theories: State organizing processes. In G. Ritzer (Ed.), Studies in metatheorizing in sociology. Thousand Oaks, California, USA, 39-53. 

  7. Chung, M.H. and Oh, H.S., 2007,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work group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15, 91-122. (in Korean) 

  8. Cohen, E.G., 1994, Restructuring the Classroom: Conditions for Productive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 1-35. 

  9. Collins, A.M. and Loftus, E.F., 1975, A spreading activation theory of semantic processing. Psychological Review, 82, 407-428. 

  10. Driskell, J.E. and Mullen, B., 1990, Status, expectations, and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and test of theor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6, 541-553. 

  11. Fiske, S.T. and Goodwin, S.A., 1994, Social cognition research and small group research, a West Side Story or ...? Small Group Research, 25, 147-171. 

  12. Godfrey, D.K., Jones, E.E., and Lord, C.G., 1986, Selfpromotion is not ingratiat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 106-115. 

  13. Granovetter, M.S.,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 1360-1380. 

  14. Hare, A.P., 1994, Types of roles in small groups: A bit of history and a current perspective. Small Group Research, 25, 433-448. 

  15. Huyn, Y.S., 2010, A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mong Social Networks, Knowledge Sharing and Learning Transfer in Community of Practices. Journal of Korean HRD Research, 5, 39-59. (in Korean) 

  16. Jeon, K.M., Yeo, K.H., and Noh, T.H., 2000, The relationships between verbal behaviors and chemistry problem solving ability in cooperativ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 234-243. (in Korean) 

  17. Jhun, Y.S. and Hwang, H.J., 2010, Analysis on student-tostudent verbal interaction during small group open inquiry activitie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1, 227-246. (in Korean) 

  18. Johnson, A.G., 1995, The Blackwell dictionary of sociology: A user's guide to sociological language. Malden, Massachusetts, USA, 125 p. 

  19. Kang, B.M., 2010, Constructing Networks of Related Concepts Based on Co-occurring Nouns. Korean Semantics, 32, 1-28. (in Korea) 

  20. Kim, K.J. and Chung, B.K., 2008,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ation system characteristic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5, 1-18. (in Korean) 

  21. Kim, Y.H., 2011, Social Network Analysis. Parkyoungsa, Seoul, Korea, 281 p. (in Korean) 

  22. Lee, H.J., Lee, D.I., and Lee, J.H., 2010, Development of franchise education program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Management Education Review, 14, 105-128. (in Korea) 

  23. Lee, J.K. and Ha, J.S., 2012,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fact, hypothesis, theory, law, and scientificn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 823-840. 

  24. Lee, S.Y., Kim, C.J., Choe, S.U., Yoo, J.H., Park, H.J., Kang, E.H., and Kim, H.B., 2012, Exploring the patterns of group model development about blood flow in the heart and reasoning process by small group intera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 805-822. (in Korean) 

  25. Leffler, A., Gillespie, D.L., and Conaty, J.C., 1982, The effects of status differentiation on nonverbal behavior. Social Psychology Quarterly, 45, 153-161. 

  26. Lim, H.J. and Noh, T.H., 2001, Verbal interactions in heterogeneous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1, 668-676. (in Korean) 

  27. Lim, C.I., Yoon, S.K., and Yeon, E.K., 2007, A study of group size for learners' active online discussion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89-118. (in Korean) 

  28. Linn, M.C., and Burbules, N.C., 1993,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Group Learning. In K. Tobin (Ed.), The Practice of Constructivism in Science Education,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Washington DC, USA, 91-119. 

  2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 p. (in Korean) 

  30. Nam, K.D., An, M.Y., Lee, J.T., Lee, J.H., Choi, H.S., and Hong, K.W., 2008, Group Dynamics. In D. R. Forsyth (Ed.), Group Dynamics 4th Eds. Nelson Education: Canada, Sigmapress, Seoul, Korea, 14 p. 

  31. Nye, J.L., 1994, Discussion: The social perceiver as a social being. Small Group Research, 25, 316-322. 

  32. Park, H.W. and Leydesdorff, L., 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 1377-1388. 

  33. Park, J.Y. and Lee K.Y., 2012, The impact of grouping methods on free inquiry implementation: The case of two middle schools adopting different grouping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 686-702. (in Korea) 

  34. Portner, P. and Partee, B.H., 2002, Formal semantics: The essential readings. Blackwell Publishing, Oxford, UK, 486 p. 

  35. Qin, Z., Johnson, D.W., and Johnson, R.T., 1995, Cooperative versus competitive efforts and problem solv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5, 129-143. 

  36. Rogers, R., 1984, Do the gifted think and learn differently? Airview of recent research and its implications of instruction.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0, 17-39. 

  37. Sabella, M.S., 1999,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Using the context of physics problem solving to evaluate the coherence of student knowledge. http://www.physics.umd.edu/ (November 3rd 2012). 

  38. Shaw, M.E., 1964, Communication network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 111-147. 

  39. Sherif, M. and Sherif, C.W., 1956, An outline of social psychology. Harper and Row, New York, USA, 144 p. 

  40. Stryker, S. and Burke, P.J., 2000,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an identity theory.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3, 284-297. 

  41. Turner, J.C., 1982, Towards a cognitive redefinition of the social group. In H. Tajfel (Ed.), Social identity and intergroup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5-40. 

  42. Wageman, R., 2001, The meaning of interdependence. In M. E. Turner (Ed.), Groups at work: Theory and research. Mahwah, New Jersey, USA, 197-217. 

  43. You, J.Y. and Noh, T.H., 2012, An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among science-gifted students in inquiry learning based on analogical experimental design strategy emphasizing understanding and checking stag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 671-68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