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허약노인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허약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Frail Elderly Resident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Health Statu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2, 2013년, pp.194 - 206  

권상민 (계명대학교 평생교육원)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frail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Methods: The research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February 26, 2012,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허약노인을 위한 신체적인 기능향상과 질병 완화뿐만 아니라 정서적, 사회적 접근을 포함하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시설 거주 허약노인의 지속적인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궁극적으로 허약노인이 장애노인이 되는 것을 예방하여 국가적인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책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은 건강상태에 따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노인은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노인, 허약노인 및 장애노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건강노인은 일상생활활동이나 인지기능이 정상인 노인을 의미하고 장애노인은 신체적 ‧ 정신적 기능 감퇴로 제3자의 도움이 필요한 노인을 의미한다(Byun et al.
시설 거주 허약노인의 체력 저하와 건강 저하가 빨리 진행될 우려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등 취약계층의 자가관리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방문건강관리사업은 주로 재가노인을 비롯한 임산부,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허약정도가 심한 시설 거주노인은 사업 대상에서 제외된다(Kwon & Park, 2010). 시설 거주 허약노인은 대부분 열악한 환경에서 사회 정서적 지지가 부족한 생활을 하고 있으며 누워 있기, TV 감상, 낮잠 자기 등으로 보내는 시간이 많아서(Park, 2009) 체력저하와 건강 저하가 빨리 진행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단순한 보호와 질병치료 차원을 벗어나서 질병예방, 건강유지 ․증진의 관점에서 신체적, 심리사회적 및 기능적 건강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건강노인, 허약노인 및 장애노인은 각각 무엇인가? 노인은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노인, 허약노인 및 장애노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건강노인은 일상생활활동이나 인지기능이 정상인 노인을 의미하고 장애노인은 신체적 ‧ 정신적 기능 감퇴로 제3자의 도움이 필요한 노인을 의미한다(Byun et al., 2006). 건강노인과 장애노인의 중간단계에 있는 허약노인은 조직손상의 결과인 장애(disability)상태에 놓여 있지는 않지만, 건강한 노인과 비교하여 행동이 느리고, 근력, 균형, 지구력 등이 부족하여 쉽게 장애 상태로 변화할 수 있는 위험이 큰 노인을 의미한다(Sunwoo, Song, Lee, & Kim, 2004). 장애노인은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병원입원이나 요양기간이 길고 1인당 의료비가 높아서 노인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과 국가의 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키게 된다(Jeon & Kim,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C. S. (2011). Customized visiting health service for visit rehabilitation: Frail elderly. Daejeon: Eulji University. 

  2. Byun, Y, C., Kim, S. H., Yoon, S. Y., Kwon, S. J., Cho, H. S., Cho, S., Y., et al. (2006).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life cycle perspective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 Cho, M. J., Bae, J. N., Suh, G. H., Hahm, B. J., Kim, J, K., Lee, D. W., et al. (1999).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38, 48-63. 

  4. Daniels, R., Rossum, E., Witt, L., Kempen, G., & Heuvel, W. (2008). Interventions to prevent disability in frail community-dwelling elderly: A systemic review. BMC Health Service Research, 8, 278-286. 

  5. Fried, L. P., Tangen, C. M., Walston, J., Newman, A. B., Hirsch, C., Gottdiener, J., et al. (2001).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Th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6, 146-156. 

  6. Han, A. K., & Won, J. S. (2000). The effect of rhythmical exercise program period on physiological improvements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7, 301-315. 

  7. Han, Y. S., Choi, C. H., & Lee, P. Y. (2007).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customized health gymnastics program for the frail old.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6, 595- 606. 

  8. Hong, Y. A. (2003). The effect of health screen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9. Jeon, E. Y., & Kim, K. B. (2006). A study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motion of healthy behavior in the elderly according to types of reside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 ing, 36, 475-483. 

  10. Jung, Y. M. (2001). An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on health in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1. Kim, Y. J., Choi, Y. H., Kim, J. Y., & Lee, H. K. (2011). The effect of orophysical exercise for the elderly on oral function and nutrient inta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5, 414-422. 

  12.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The operating guild of health promotion for frail elderly in HUB Public Health Center. Seoul: Author. 

  1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December). 2011 Statistics on Korea-Census population. Retrieved November 24, 2012, from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bsite: http://www. kostat.go.kr 

  14. Kwon, S. M., & Park, J. S. (2010). A comparison on frailty,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y.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35, 1-12. 

  15. Lawston, M. P., Moss, M., Fulcomer, M., & Kleban, M. H. (1982).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37, 91-99. 

  16. Lee, K. R. (2012). Efficacy of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on performance ability, physical function, nutritional status in frail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7.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11). 2011 Customized visiting health service guidebook. Seoul: Author. 

  18. Park, J. S., & Oh, Y. J. (2005). The effect of a heath promotion program in rural elderl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943-954. 

  19. Park, M. H., Ha, J. C., Shin, I. H., Kim, H. G., Lee, S. Y., Cho, J. H., et al. (2009). 2008 Survey for the elderly-national living profiles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older persons in Korea's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eimyung University. 

  20. Park, S. K., Kwon, Y. C., & Kim, E. H. (2007).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self-reliance fitness, insulin resistance and blood pressure in frail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5, 369-380. 

  21. Park, Y. I. (2009). The effects of exercise in the frail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Daejeon: Daejeon University. 

  22. Rockwood, K., Song, X., MacKnight, C., Bergman, H., Hogan, D. B., McDowell, I., et al. (2005). A global clinical measure of fitness and frailty in elderly people.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73, 489-495. 

  23. Son, H. H., & Kim, K. (2011). Effects of elderly gymnastic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in hospitalized frail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 (1B), 123-134. 

  24. Sung, K. W. (2005). Comparison of Health Conservation for Elders in Assisted Living Facilities and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379-1389. 

  25. Sunwoo, D., Lee, S. H., Park, J. S., Bae, S. S., Cho, Y. H., Kim, C. B., et al. (2008). Analysis of the effects of muscle strength exercise o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frail elderly.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 (1), 39-53. 

  26. Sunwoo, D., Song, H. J., Lee, Y. H., & Kim, D. J. (2004). Study on development of health care service and coordinated system for frail elderly people.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7.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 76-81. 

  28. Winograd, C. H., Gerety, M. B., Chung, M., Goldstein, M. K., Dominguez, F. Jr., & Vallone, R. (1991). Screening for frailty: Criteria and predictors of outcome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9, 778-784. 

  29. Wood, N. F., LaCroix, A. Z., Gray, S. L., Aragaki, A., Cochrane, B. B., Brunner, R. L., et al. (2005). Frailty: Emergence and consequences in women aged 65 and older in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observational study.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3, 1321-1330. 

  30.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Lum, O., Huang, V., Adey, M., et al.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Psychiatric Research, 17, 37-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