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탐색기 과학영재를 위한 동료교수법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 Based on Peer Instruction for Science Gifted Students of Start Period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3 no.2, 2013년, pp.237 - 256  

이지원 (한국교원대학교) ,  김중복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영역에 발을 들여놓은 초등과학영재에게 과학이라는 영역에 대해 진정한 재미와 흥미를 느끼고 계속 탐구해보고 싶도록 돕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것이다. 동료교수법은 개념이해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앎의 즐거움을 통해 과학영역의 평생 학습을 이끌어갈 동기를 주기에 적합하다. 이 연구에서는 '뜨고 가라앉음'이라는 소재를 적용한 동료교수법 중심의 초등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초등과학영재의 개념변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선개념을 선행연구에서 분석하였고, 이러한 선개념을 바탕으로 다루고자 하는 밀도와 부력 개념의 세부적인 단계를 결정하였다. 이 단계에 따라 개념검사문항을 개발하여 배치하였고 이렇게 개발된 동료교수법 중심의 초등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6학년 과학영재 26명에게 적용하였다. 개념변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의 정답률을 비교하고 Hake gain을 구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과학영재는 동료교수법 중심의 초등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올바른 과학개념으로의 변화를 보였으며 높은 성취수준에 도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이 프로그램에 대해 새롭고 유익하다고 평가했으며, 프로그램을 통해 후속학습에 대한 동기가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gram that take a genuine interest in science and motivate students to keep up their study for science gifted children of start period. In this study, we develop and apply the program about sinking and floating for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and an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료교수법이란? 동료교수법은 학생들에게 개념검사문항(ConcepTest)을 통해 자신의 개념구조와 맞지 않는 갈등 상황을 제공하고 이를 동료토론을 통해 해소하는 수업형태를 말한다(Mazur, 1997). 기존 소집단 토론학습이나 협동학습과 같이 동료 간 협업을 중시하는 다른 교수법과 비교하여 동료교수법의 가장 큰 특징은 개념검사문항(ConcepTest)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다른 교수법과 비교하였을때 동료교수법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동료교수법은 학생들에게 개념검사문항(ConcepTest)을 통해 자신의 개념구조와 맞지 않는 갈등 상황을 제공하고 이를 동료토론을 통해 해소하는 수업형태를 말한다(Mazur, 1997). 기존 소집단 토론학습이나 협동학습과 같이 동료 간 협업을 중시하는 다른 교수법과 비교하여 동료교수법의 가장 큰 특징은 개념검사문항(ConcepTest)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개념검사문항은 유의미한 인지갈등을 일으키며 이는 학생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념을 조절하도록 이끄는 역할을 한다.
초등과학영재의 수업모형으로 동료교수법이 적합한 이유는 무엇인가? 동료교수법이 초등과학영재의 수업모형으로 적합한 이유로 다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개념검사문항은 학생들의 개념구조를 바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과학적 성장의 기초를 닦는 탐색기 과학영재가 정확한 개념을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다. 동료교수법에서 자신의 수준에 맞는 사고중심(Brains-on) 활동, 즉 개념검사문항에 대한 동료 토론이 연쇄적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 과학 영역에 대한 정확한 개념의 습득은 영재의 재능 발달 단계 전반에 걸쳐 모두 중요하지만 특히 과학 영역을 선택하고 학문을 배우기 시작하는 초등학생 시기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며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모든 학문이 그러하지만 특히 과학은 기초적인 개념을 올바르게 익히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유의미하고 해결 가능한 문제를 단계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동기를 유발한다. 특정 영역에 대해 사랑에 빠지도록 하는 탐색기의 동기는 평생에 걸쳐 매우 중요하다. 동기는 탁월한 수준의 성취를 이끄는 핵심적 요소이다(Duckworth et al., 2010; Gagne, 2010). Eccles(2006)에 따르면 영재는 가치가 있고 해결 가능할 때 그 과제를 기꺼이 수행한다. 동료 교수법은 가치로운 문제를 단계적으로 나누어 풀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하나씩 알아가는 과정을 통해 다음 단계의 학습에 대한 동기를 지속적으로 부여해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재우, 오원근 (2002). 밀도 개념 학습의 제약 요인으로서 무게에 대한 범주적 사고. 새물리, 45(2), 123-127. 

  2. 김규환 (2012). 초등 과학수업에서 주제에 따른 Peer Instruction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 김종원, 김규환, 이지원, 황명수, 김중복 (2012). 과학 교사 연수에서의 동료 교수법의 효과 및 교사의 인식. 과학교육연구지, 36(1), 84-93. 

  4. 류은희, 김중복, 이정숙 (2012).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Peer Instruction을 통한 인지 갈등: 문항의 난이도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2(1), 117-139. 

  5. 박현덕 (2012). 대학 물리수업에서 Peer Instruction의 단계 및 구현 유형별 학생 인식.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6. 서혜애, 이윤호 (2003). 영재교육기관의 교수학습실태 분석. 중등교육연구, 51(2), 69-86. 

  7. 이승희, 최선영 (2012).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생 동료 멘토링 활동이 과학 탐구 능력, 학업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1(3), 311-320. 

  8. 이재봉, 김용진, 백성혜, 이기영 (2010). 과학과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관련 쟁점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140-154. 

  9. 이지원, 김종원, 김규환, 황명수, 김중복 (2013). 동료 교수법 기반의 과학교사 연수를 위한 단계형 개념검사문항 개발-바늘구멍 사진기의 원리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229-248. 

  10. 이희진 (2011). Peer Instruction을 통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과학 개념 변화.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1. 정영란, 손대희 (2000). 협동학습 전략이 중학교 생물학습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11-623. 

  12. 황명수 (2013). 파동 전파속도에 관한 Peer Instruction에서 예비 물리교사의 정신모델 변화.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3. Bloom, B. S. (1982). The role of figts and markers in the development of talent. Exceptional Children, 48(6), 510-522. 

  14. Clement, J., Brown, D., & Zietsman, A. (1989). Not all preconceptions are misconception: Finding anchoring conceptions for grounding instruction on students' intui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5), 554-565. 

  15. Crouch, C. H. (1998). Peer instruction: An interactive approach for large lecture lasses. Optics & Photonics News, 9(9), 37-41. 

  16. Crouch, C. H., & Mazur, E. (2001). Peer Instruction: Ten years of experience and result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9(9), 970-977. 

  17. Driver, R., Guesne, E., & Tiberghien, A. (1985). Children's ideas in science.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18. Duckworth, A. L., Berstein, H., Kirby, T. A., & Ericsson, K. A. (2011). Deliberate practice spells success: Why grittier competitors triumph at the national spelling bee. Social Psychology and Personality Science, 2(2), 174-181. 

  19. Eccles, J. S. (2006). A motivational perspective on school achievement: Taking responsibility for learning, teaching, and supporting. In R. J. Sternberg & R. F. Subotnik (Eds.), Malleable minds, Translating insights from psychology and neuroscience to gifted education. CT: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Giftedness and Talent. 

  20. Ericsson, K. A., & Lehmann, A. C. (1996). Expert and exceptional performance: Evidence of maximal adaptation to task constrain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7, 273-305. 

  21. Fagen, A. P., & Mazur, E. (2004). Classroom demonstrations: Learning tools or entertainment?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2(6), 835. 

  22. Feynman, R. P. (1999). The pleasure of finding things out. NY: Basic Books. 

  23. Finkelstein, N., & Mazur, E. (2009). Are most people too dumb for physics? The Physics Teacher, 47(8), 418-421. 

  24. Gagne. F. (2010). Motivation within the DMGT 2.0. framework. High Ablity Studies, 21(2), 81-99. 

  25. Hake, R. R. (1998). Interactive-engagement versus traditional methods: A six-thousand-student survey of mechanics test data for introductory physics course.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6(1), 64-74. 

  26. Havu. S. (2005). Examining young children's conceptual change process in floating and sinking from a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3), 259-279. 

  27. Hewson, M. G. (1986). The acquisit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alysis and representation of student conceptions concerning density. Science Education, 70(2), 159-170. 

  28. Lasry, N., Watkins, J., & Mazur, E. (2008). Peer instruction: From Harvard to the two-year college.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6(11), 1066-1069. 

  29. Lorenzo, M., Crouch, C., & Mazur, E. (2006). Reducing the gender gap in the physics classroo.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4(2), 118-122. 

  30. Loverude, M. E. (2009). A research-based interactive lecture demonstration on sinking and floating.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7(10), 897-901. 

  31. Mazur, E. (1997). Peer Instruction: A User's Manual. NJ: Prentice Hall. 

  32. Novak, G. M., Patterson. E. T., Gavrin, A. D., & Christian, W. (1999). Just-in-time Teaching: Blending active learning with web technology. NJ: Prentice Hall. 

  33. Redish. E. F. (2003). Teaching physics with the physics suite. NJ: John Wiley & Sons. 

  34. Renzulli. J. S. (2005).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 model for promoting creative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2nd ed., pp. 246-279).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Skoumios, M. (2009). The effect of sociocognitive conflict on students' dialogic argumentaion about flouting and sin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inmental & Science Education, 4(4), 381-399. 

  36. Sokoloff, D. R., & Thornton, R. K. (2001). Interactive Lecture Demonstrations. NJ: John Wiley & Sons. 

  37. Stanley, J. C. (1976). The case for extreme educational acceleration of intellectually brilliant youths. Gifted Child Quarterly, 20(1), 66-75. 

  38. Subotnik, R. F., Olszewski-Kubilius. P., & Worrell, F. C. (2011). Rethinking Giftedness and Gifted Education: A Proposed Direction Forward Based On Psychological Science.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12(1), 3-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