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셀룰로오스-NMMO 수화물 용액의 압출가공 조건에 따른 셀룰로오스 분자량과 알파 셀룰로오스 함량 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Changes of Cellulose Molecular Weight and α-Cellulose Content by the Extrusion Conditions of Cellulose-NMMO Hydrate Solution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7 no.3, 2013년, pp.362 - 372  

김동복 (단국대학교 광에너지소재연구센터, 고분자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로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셀룰로오스-NMMO pre-dope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 및 필름 제조를 위한 압출가공 시 열분해 및 기계적 분해에 따른 셀룰로오스의 분자량 및 알파 셀룰로오스 함량 변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속분쇄에 의해 제조된 pre-dope를 압출기에 통과시켜 용액으로 제조할 때 가공온도, 셀룰로오스의 농도 및 체제시간에 따라 셀룰로오스의 분자량 및 알파 셀룰로오스 함량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셀룰로오스의 분자량과 알파 셀룰로오스 함량은 셀룰로오스의 농도가 낮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셀룰로오스 농도 15% 및 짧은 체제시간 영역에서 알파 셀룰로오스 함량은 높은 전단으로 인해 온도가 높을수록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다양한 가공조건으로부터 알파 셀룰로오스 함량변화 거동은 분자량 변화와 다른 거동을 보였으며 셀룰로오스 용액 제조를 위한 압출가공조건이 중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extruder processing to manufacture cellulose fiber and film using cellulose-NMMO pre-dope produced by a new method, it seems to occur the changes of molecular weight and ${\alpha}$-cellulose content of cellulose upon thermal and mechanical degradation. In an extruder making cellulo...

주제어

참고문헌 (37)

  1. A, F, Turbak, R. B. Hammer, R. E. Davies, and H. L. Hergert, CHEMTECH, 51 (1980). 

  2. A. S. Chegolya, D. D. Grinshpan, and E. Z. Burd, Textile Research J., 59, 501 (1989). 

  3. G. Audemars, Br. Patent 283 (1855). 

  4. H. B. Chardonnet, Fr. Patent 165,349 (1884). 

  5. C. F. Cross, E. J. Bevan, and C. Beadle, Br. Patent 8,700 (1892). 

  6. L. H. Despaissis, Fr. Patent 203,741 (1890). 

  7. M. Nicholson and D. C. Johnson, U.S. Patent 4,097,666 (1978). 

  8. R. B. Hammer, A. F. Turbak, R. E. Davies, and N. A. Portnoy, U.S. Patent 4,022,631 (1977). 

  9. D. C. Johnson, Cellulose Chemistry and Its Application, Northwood, N.Y., 1985. 

  10. D. L. Johnson, U.S. Patent 3,447,939 (1969). 

  11. D. Cole and A. Jones, Lenzinger Berichte, 69, 73 (1990). 

  12. S. Davies, Textile Horizones, Feb., 62 (1989). 

  13. S. W. Chun, W. S. Lee, S. M. Jo, and J. D. Kim, J. Korean Fiber Soc., 29, 44 (1992). 

  14. W. S. Lee, S. M. Jo, H. J. Kang, D. B. Kim, and J. S. Park, U.S. Patent 5,584,919 (1996). 

  15. H. Chanzy, S. Nawrot, A. Peguy, and P. Smith, J. Polym. Sci. Polym. Phys. Ed., 20, 1909 (1982). 

  16. H. Chanzy and A. Peguy, J. Polym. Sci. Polym. Lett. Ed., 17, 219 (1979). 

  17. E. Maia, and S. Perez, Acta Crystallogr., B38, 849 (1982). 

  18. C. C. McCorsley III and J. K. Varga U.S. Patent 4,211,574 (1980). 

  19. C. C. McCorsley III and J. K. Varga U.S. Patent 4,142,913 (1979). 

  20. C. C. McCorsley III, U.S. Patent 4,144,080 (1979). 

  21. H. Chanzy, P. Noe, M. Paillet, and P. Smith, J. Appl. Polym. Sci. Appl. Polym. Symp., 37, 239 (1983). 

  22. D. B. Kim, S. M. Jo, W. S. Lee, and J. J. Pak, J. Appl. Polym. Sci., 93, 1687 (2004). 

  23. D. B. Kim, W. S. Lee, and H. J. Kang, Polymer(Korea), 22, 770 (1998). 

  24. W. S. Lee. B. C. Kim, S. M. Jo, J. S. Park, S. J. Lee, Y. G. Park, S. L. Lee, and Y. S. Oh, U.S. Patent 6,153,003 (2000). 

  25. S. H. Park, Y. H. Jeong, W. S. Lee, and H. J. Kang, Polymer(Korea), 22, 779 (1998). 

  26. G. Raven, International Fiber J., 6, 10 (1993). 

  27. W. S. Lee and S. M. Jo, Chem. Fibers Int., 49, 46 (1999). 

  28. D. B. Kim, W. S. Lee, B. C. Kim, S. M. Jo, J. S. Park, and Y. M. Lee, Polymer(Korea), 22, 231 (1998). 

  29. L. D. Loubinoux, Lenzinger Berichte, 59, 105 (1985). 

  30. M. Mark, Macromol. Chem., 16, 157 (1955). 

  31. O. Conner, "X-ray Diffraction", in Instrumental Analysis of Cotton Cellulose and Modified Cotton Cellulose, Dekker, N. Y., Chap. 6, p 339 (1972). 

  32. P. Navard and J. M. Haudin, Brit. Polym. J., 12, 174 (1980). 

  33. W. S. Lee, S. M. Jo, D. B. Kim, Y. M. Lee, and B. C. Kim, Korean J. Rheol., 10, 44 (1998). 

  34. J. F. Blachot, N. Brunet. P. Navard, and J. Y. Cavaille, Rheol. Acta, 37, 107 (1998). 

  35. H. Zhang, Y. Zhang, H. Shao, and X. Hu, J. Appl. Polym. Sci., 94, 598 (2004). 

  36. H. Zhang, X. Liu, D. Li, and R. Li, Polym. Eng. Sci., 49, 554 (2009). 

  37. J. Eckelt, A. Knopf, T. Roder, H. K. Weber, H. Sixta, and B. A. Wolf, J. Appl. Polym. Sci., 119, 670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