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강내과에 내원하는 노인 환자들의 임상 역학 연구
Clinical Epidemiology for Elderly Patients of Oral Medicine Clinic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8 no.1, 2013년, pp.19 - 28  

오현선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김혜경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박좋은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김기석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김미은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 사회의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 인구는 이미 사회적으로나 의료계에 중요 연령집단으로 자리매김했으며 그 중요도는 향후 더욱 증가할 것이다. 특히 만성의 비치성 구강안면통증질환과 구강건조증, 하악운동이상증, 구강연조직질환 등을 주로 다루는 구강내과의 특성상 노인 환자들의 비중이 증가할 것이나 구강내과에 내원하는 노인 환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난 10년 사이 치과대학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의 연령별 분포의 변화를 조사하고 특히 구강내과에 내원하는 노인 환자의 다양한 임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2001년과 2011년의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의 초진환자에 대한 병원전산자료와 2011년 구강내과 환자의 챠트와 설문지 자료를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지난 10년 사이에 치과병원과 구강내과의 노인환자 비율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구강내과의 노인환자는 2배 이상 증가하여 전체 치과병원 환자의 증가 (1.6배) 보다 뚜렷하였다 (p=0.000). 구강내과에 내원하는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의 13.5%는 노인환자였으며(남:녀=1:2.1), 이들 중 약 83%가 하나 이상의 전신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진단별로 볼 때 노인 환자들도 18~64세 사이의 일반 성인 환자들과 마찬가지로 턱관절장애의 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구강연조직질환, 구강건조증, 구강작열감증후군, 하악운동이상증의 발생이 성인 환자에 비해 많았다(0=0.000). 통증과 일상생활제한, 우울과 불안 역시 노인 환자들이 높았다 (p<0.05). 구강내과에 내원하는 노인환자들은 재발성 혹은 만성의 질환이 많고, 다양한 전신질환과 다수의 약물복용 등, 의사소통의 제한 등으로 인해 질병의 평가와 치료가 더욱 복잡해지고 제한되기 때문에 증가하는 노인환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평가법의 개선이나 특화된 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Korea's rapid entry to aged society, elderly population has become a major age group both in the whole society and medical field and its importance will be constantly stressed out. Elderly population is also important in the field of oral medicine which deals with chronic and recurrent disea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만성의 비치성 구강안면 통증질환과 구강건조증, 하악운동이상증 등을 주로 다루는 구강내과의 특성상 노인 환자들의 비중이 증가할 것이나 아직까지 구강내과에 내원하는 노인 환자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10년간 치과대학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의 연령별 비율의 변화를 조사하고 특히 구강내과에 내원 하는 노인 환자의 비율 변화를 포함한 다양한 임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 3%)의 순서였다고 보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인의 만성 구강안면통증 발생비율(42%)이 다른 서구의 연구(14~39%)에 비해 높다고 보고하고 그 이유로 서구인과 아시아인 사이의 사회문화적 차이와 한국인 연구에서 연구대상의 연령이 더 높다는 것 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정의는? 노인을 정의하는 명확한 법적 연령기준은 아직 없지만 1981년에 제정된 우리나라 노인복지법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성인’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 기준은 국제적으로도 통용되고 있다. 통계청의 2012년 통계결과에 따르면, 2012년 현재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11.
UN의 기준에서 고령화 사회란? 4%로 증가할 것이 예측된다.1) UN의 기준은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 비중이 7% 이상인 사회를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로 정의하며 노인인구 비중이 14% 이상인 사회를 고령사회(aged society), 20% 이상인 사회를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로 정의 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고 2018년이면 고령사회, 2030년이면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어, 선진국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고령인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UN의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어떤 사회인가? 1) UN의 기준은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 비중이 7% 이상인 사회를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로 정의하며 노인인구 비중이 14% 이상인 사회를 고령사회(aged society), 20% 이상인 사회를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로 정의 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고 2018년이면 고령사회, 2030년이면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어, 선진국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고령인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통계청: 2010 한국의 사회지표통계. http://kostat.go.kr/ 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 245834 

  2. 통계청:2010 고령자통계보고 http://kostat.go.kr/portal/ korea/kor_nw/2/1/index.board?bmode read&aSeq 180000 

  3. 이승우 외: 노인치과학. 서울, 지성출판사, 2001, pp.14. 

  4. 대한구강내과학회: 전신질환자 및 노인, 장애환자의 치 과치료. 서울, 신흥인터내셔날 2007, pp.314, 318-323. 

  5. Gibson SJ and Lussier D: Prevalence and relevance of pain in older persons. Pain Medicine 2012; 13:S23 -S26. 

  6. Chung JW, Kim JH, Kim HD et al: Chronic orofacial pain among Korean elders: prevalence, and impract using the graded chronic pain scale. Pain 2004;112: 164-170. 

  7. Radbruch L, Loick G, Kiencke P et al: Validation of the German version of the Brief Pain Inventory. J Pain Symptom Managel 1999;18:180-187. 

  8. Zigmond AS and Snaith RP: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 Scand 1983;67: 361-370 

  9.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8~2009년 진료비통계지표.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 45030000&cmsurl/cms/information/05/03/03/stats_su rface.html 

  1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9년 진료비통계 http://www. 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5030000&c msurl/cms/information/05/03/03/1206239_13609.html &subject2009%eb%85%84+%ec%a7%84%eb%a3%8c %eb%b9%84%ed%86%b5%ea%b3%84%ec%a7%80% ed%91%9c 

  11. Silverman S.: Mucosal lesions in older adults. JADA 2007;138:41S-46S. 

  12. Rhodus NL: Xerostomia and the geriatric patient. Dentistry 1988;8(2):12-17. 

  13. Von Bultzingslowen I, Sollecito TP, Fox PC et al.: Salivary dysfunction associated with systemic diseases: systematic review and clinical management recommendation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o Endod 2007;103(suppl S57):e1-15 

  14. Rhodus NL. Salivary gland dysfunction associated with systemic disease. In: Salivary Diagnostics. Wong DT eds. Wiley-Blackwell Singapore2008 

  15. Sankhla C, Lai E, Jankovic J: Peripherally induced oromandibular dystonia.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8;65:722-728. 

  16. Koller WC: Edentulous or OMD yskinesia. Ann Neurol 1983;12:97-99 

  17. Schrag A, Bhatia KP, Quinn NP, Marsden CD: Atypical and typical cranial dystonia following dental procedures. Mov Disord 1999;14:492-496. 

  18. Blanchet PJ, Popovici R, Guitard F, Rompre PH, Lamarche C, Lavigne GJ: Pain and denture condition in edentulous orOMDyskinesia: comparisons with tardive dyskinesia and control subjects 

  19. Thomas E, Dun K, Jinks C: The epidemiology of pain. In: Pain in older people. Crome P, Main CJ, Lally F (eds) 2007,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 Helme RD, Gibson SJ: The epidemiology of pain in elderly people. Clin Geriatric Med 2001;17:433 -456. 

  21. Scudds RJ, Ostbye T: Pain and pain-related interference with function in older Canadians: the Canadian study of health and aging. Disabil Rehabil 2001;23:654-664. 

  22. Closs SJ: Assessment of pain, mood and quality of life. In: Pain in older people. Crome P, Main CJ, Lally F (eds) 2007,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3. Harkins S: What is unique about the older adult's pain experience? In: Weiner Dk, Herr K, Rudy TE (eds). Persistent pain older adults. 2002 Springer Publishing Company. New York. pp4-17. 

  24. Jakobsson U, Klevsgard R, Westergren A, Hallberg IR: Old people in pain: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3;26:625-6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