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및 우즈베키스탄 감초(Glycyrrhiza glabra)를 이용하여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감초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1, 1-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각 3가지 원산지 중 한국 감초가 50% 에탄올 추출물(21.15 ${\mu}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29.15 ${\mu}g/mL$), 아글리콘 분획(3.26 ${\mu}g/mL$)에서 모두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루미놀-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감초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OSC_{50}$)은 중국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1.00 ${\mu}g/mL$)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34 ${\mu}g/mL$)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원산지별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아글리콘 분획 모두 농도범위(5 ~ 50 ${\mu}g/mL$)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아글리콘 분획(10 ${\mu}g/mL$)의 경우 한국 감초(${\tau}_{50}$ = 847.4 min)가 동일한 종인 중국 감초(${\tau}_{50}$ = 194.3 min)보다 약 4배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미백 소재로만 주로 사용되어오던 감초 추출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화장품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세포보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아 감초 추출물이 자외선으로 유도된 $^1O_2$와 외 ROS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work,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Glycyrrhiza uralensis (G. uralensis) produced in Korea and in China and Glycyrrhiza glabra (G. glabra) produced in Uzbekistan was conducted. Among three origins, 50% ethanol extracts (21.15 ${\mu}g/mL$), ethyl 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개시된 연쇄반응은 세포를 파괴시켜 피부노화를 촉진시킨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광증감제인 rose-bengal로 유도된 ROS에 대한 감초 추출물의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감초(G. uralensis from Korea), 중국 감초(G. uralensis from China) 및 우즈베키스탄 감초(G. glabra from Uzbekistan)를 이용하여 3가지 분획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을 제조하였고 이들의 항산화 활성, 1O2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 작용을 비교해 보았다. 이와 같은 감초의 원산지별, 분획별 비교 연구를 통해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이렇듯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보호 효과에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각 감초가 재배되는 지역의 토양 및 기온, 일조량, 강수량 등의 재배 환경 차이와 이들을 채취한 후의 가공, 유통, 보존하는 방법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노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음을 보고하는 바이다.
  • glabra from Uzbekistan)를 이용하여 3가지 분획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을 제조하였고 이들의 항산화 활성, 1O2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 작용을 비교해 보았다. 이와 같은 감초의 원산지별, 분획별 비교 연구를 통해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가 노화되는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 피부가 노화되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피부에 노출되는 자외선을 들 수 있다. 자외선으로 유도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피부의 광산화적 손상을 일으켜 피부노화를 가속화시킨다.
국내 화장품 법에 근거하여 기능성 화장품은 몇 가지로 한정되어 있는가? 오늘날 화장품의 개발방향은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와 관련 개발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기존 청결, 피부 미화 등의 단순한 효능을 갖는 화장품에서 다양한 효능⋅효과를 갖는 화장품 개발로 변화되고 있다. 국내 화장품 법에 근거하여 기능성 화장품은 자외선 차단제, 피부 미백제, 주름 개선제 등 3가지 종류로 한정되어 있다[1]. 이렇듯 기능성 화장품은 노화 방지와 미백 효능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활성산소종이란 무엇인가? 자외선으로 유도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피부의 광산화적 손상을 일으켜 피부노화를 가속화시킨다. ROS란 큰 산화력을 갖는 산소종으로서 superoxide anioin radical (O2⦁- ), hydroxyl radical (⦁OH) 과 같은 산소 중심의 라디칼뿐만 아니라 hydrogen peroxide (H2O2), singlet oxygen (1O2)와 같은 비라디칼 종 그리고 이들이 생체 성분과 반응하여 생성된 peroxyl radical (ROO⦁), alkoxyl radical (RO⦁) 등이 포함된다. ROS는 산소의 대사과정에서 생기는 자연적인 부산물이지만 자외선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생체 내 ROS의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 S. Song and Y. A. Kim, A study on the future market prospect of domestic functional cosmetics industry, J. Korean Soc. Design Culture., 15(4), 258 (2009). 

  2. G. E. Rhie, M. H. Shin, J. Y. Seo, W. W. Choi, K. H. Cho, K. H. Kim, K. C. Park, H. C. Eun, and J. H. Chung, Aging- and photoaing-dependent changes of enzymic and nonenzymic antioxidants in the epidermis and dermis of human skin in vivo, J. Invest. Dermatol., 117(5), 1212 (2011). 

  3. M. G. Kosmadaki and B. A. Gilchrest, The role of telomeres in skin aging/photoaging, J. Micron., 35(3), 155 (2004). 

  4. S. Pillai, C. Oresajo and J. Hayward, Ultraviolet radication and skin aging: roles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flammation and protease activation, and strategies for prevention of inflammation-induced matrix degradation-a review, Int. J. Cosmet, Science, 27(1), 17 (2005). 

  5. J. L. Mccullough and K. M. Kelly,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kin aging,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 1067, 323 (2006). 

  6. M. Berneburg, H. Plettenberg, and J. Krutmann, Photoaging of human skin,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16, 239 (2000). 

  7. J. C. Tilak, K. K. Boloor, S. Sane Ketaki, S. Ghaskadbi Saroj, and R. D. Lele, Free raical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ths: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J. Association of Physicians of India, 52, 796 (2004). 

  8. T. F. Slater, Free-radical mechanisms in tissue injury, J. Biochem., 222(1), 15 (1984). 

  9. L. L. Ji, Antioxidants and oxidative stress in exercise, Exp. Biol. Mel., 222(3), 283 (1999). 

  10. M. Valko, D. Leibfritz, J. Moncol, M. T. D. Cronin, M. Mazur, and J. Telser,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1), 44 (2007). 

  11. A. R. Kim, J. E. Kim, and S. N. Park,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hellinus liteus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7(4), 309 (2011). 

  12. H. J. Lee and S. N. Park, Antioxidative effect and active component analysis of Quercus salicina blume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7(2), 143 (2011). 

  13. B. Halliwell, Reactive species and antioxidants. Redox biology is a fundamental theme of aerobic life, American Society of Plant Biologists., 141(2), 312 (2006). 

  14. D. H. Won, S. B. Han, J. P. Hwang, S. J. Kim, J. N. Park, and S. N. Park, Antioxidative effec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8(4), 297 (2012). 

  15. B. Uttara, A. V. Singh, P. Zamboni, and R. T. Mahajan, Oxidative stress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A review of upstream and downstream antioxidants therapeutic options, Curr Neurophamacol., 7(1), 65 (2009). 

  16. V. Lobo, A. Patil, and N. Chandra,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functional foods: Impact on human health, Pharmacogn Rev., 4(8), 118 (2010). 

  17. J. H. Park, Q. Wu, K. H. Yoo, H. I. Yong, S. M. Cho, I. S. Chung, and N. I. Back, Cytotoxic effect of flavonoids from the roots of Glycyrrhiza uralensis on human cancer cell lines, J. Appl. Biol. Chem., 54(1), 67 (2011). 

  18. T. S. Yoon, M. S. Cheon, S. J. Kim, A. Y. Lee, B. C. Moon, J. M. Chun, B. K. Choo, and H. K. Kim, Evaluation of solvent extraction on the anti-inflammatory efficac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1), 28 (2010). 

  19. E. Y. Ahn, D. H. Shin, N. I. Back, and J. A. O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Glycyrrhiza uralensis, Korea J. Food Sci. Technol., 30(3), 680 (1998). 

  20. K. S. Woo, I. G. Hwang, Y. H. Noh, and H. S. Jeong,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6), 689 (2007). 

  21. S. J. Kim, D. H. Kweon, and J. H. Lee,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s (Glycyrrhiza glabra), Koream J. Food Sci. Technol., 38(4), 584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