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테비아잎 분말로 설탕을 대체한 카스텔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stella Prepared by Substituting Sugar with Stevia Leaf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9 no.2, 2013년, pp.153 - 160  

최순남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정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주미경 (삼육대학교 미술컨테츠학) ,  정남용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stevia leaf powder on castella quality. Castellas were prepared by the addition of 0, 3, 6, 9 and 12% stevia leaf powder on sugar. The weight of castellas with stevia leaf powders ranged from 126.0~128.0 g and that of the control was 130.5 g.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각종 성인병과 비만의 원인이 되는 설탕의 함량을 감소시키면서 저칼로리 천연감미료로 안정성이 있고 인체에 무해하며, 또한 여러 가지 효능을 가진 스테비아잎 분말을 농도별로 첨가한 카스텔라의 품질변화와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여 스테비아 이용 확대 및 기능성 제빵 개발을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기능성 저칼로리 카스텔라의 보급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evioside의 감미도는 설탕의 몇 배인가?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는 파라과이와 브라질 국경지대에 인접한 고산지대의 국화과 다년생 초본식물로 줄기와 잎에 함유된 stevioside는 그 감미도가 설탕의 200-300배 정도이며(Hanson JR과 De Oliverira BH 1993), 무색, 무취의 새로운 천연감미물질이다. 스테비아는 저칼로리의 무독성 자연식품으로서 열에 매우 안정적인 스테비아의 감미성분인 스테비오사이드는 120℃에서 1시간 가열 후에도 pH나 단맛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Kroyer GT 1999; Toskulkao C 등 1997)당 대체 감미료로 각종 가공식품(Kim HI와 Lee BM 1996)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테비아잎과 스테비아의 추출물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Park JH 등 2003).
stevioside가 열에 안정적인 근거는?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는 파라과이와 브라질 국경지대에 인접한 고산지대의 국화과 다년생 초본식물로 줄기와 잎에 함유된 stevioside는 그 감미도가 설탕의 200-300배 정도이며(Hanson JR과 De Oliverira BH 1993), 무색, 무취의 새로운 천연감미물질이다. 스테비아는 저칼로리의 무독성 자연식품으로서 열에 매우 안정적인 스테비아의 감미성분인 스테비오사이드는 120℃에서 1시간 가열 후에도 pH나 단맛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Kroyer GT 1999; Toskulkao C 등 1997)당 대체 감미료로 각종 가공식품(Kim HI와 Lee BM 1996)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테비아잎과 스테비아의 추출물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Park JH 등 2003). 천연감미료인 스테비아가 인공감미료 대신 대체되기 시작하면서 스테비아의 기능성 및 식품분야에의 이용 등 다양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그에 관한 연구로는 항균 및 항암성(Tomita T 등 1997; Toyoda K 등 1997), 항당뇨(Dyrskog SE 등 2005), 항산화능(Tadhani MB 등 2007), 그리고 항비만 및 혈당조절 효과(Park JE 2007; Park JE 등 2010) 등의 기능성이 이들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카스텔라의 어원은? 카스텔라는 스펀지케이크의 일종으로 어원은 에스파냐의옛 지방 이름인 카스티야(Castilla)이다(Park SJ 등 2007). 15세기 카스티야 지방의 비스코초(Bizcocho)라는 과자를 포르투갈에서 카스티야 지방의 과자라는 뜻의 ‘가토 드 카스티유’가 일본에 전해져 castella라는 이름으로 정착한 것이며(월간 제과제빵 1992), 1880년에 정동구락부에서 카스텔라는 백설과 같이 희다하여 ‘설고’라고 하였고 이를 시작으로 고급 과자류가 수입, 판매되었다(Park SJ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월간제과제빵. 1992. 빵.과자 백과사전. 민문사. 서울, p401 

  2. AACC. 2000. Approved method of the AACC.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3. Ahn JM, Song YS. 1999.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ake added sea mustard and sea tangle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34-541 

  4. Back SE. 2008. Sensory properties of low calorie Ssanhwa beverages containing sweetener(I)-Relative sweetness and sensory properties of Ssanhwa beverages sweetened with glucosyl stevia, accesulfame-K and aspartame. Korean J Food Nutr 21(2): 190-196 

  5. Chabot JF. 1976. Preparation of food science sample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3: 279-286 

  6. Chen H, Rubenthaler GL, Schanus EG. 1982. Effect of apple fiber and cellulose on thephys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J Food Sci 47: 1472-1476 

  7. Cho EJ, Kim WJ, Yang MO. 2007. A study on quality properties of steamed cake added with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17(2): 219-226 

  8. Dyrskog SE, Jeppersen PB, Colombo M, Abudula R, Hermansen K. 2005. Preventive effects of a soy-based diet supplemented with stevioside on the develop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type 2 diabetes in Zucker diabetic fatty rats. Metabolism. 54: 1181-1188 

  9. Hanson JR, De Oliverira BH. 1993. Stevioside and related sweet diterpenoid glycosides. Nat Prod Prp 10: 301-309 

  10. Herbert A, Juel LS. 1993. Sensory evaluation practice, 2nd ed. Academic Press, pp 66-94 

  11. Hong HY. 2009. Sensory evalu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caloric muffin by the addition of stevia leaf powder. MS thesis, Sejong University of Korea. 

  12. Hong Y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prepared with different species of natural sweet leaves. MS thesis, Sejong University of Korea. 

  13. Jan MCG, Patrick A, Raf M, Johan GB, Bert D. 2003 Metabolism of stevioside in pigs and intestinal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stevioside, rebaudioside A and steviol.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16th June 

  14. Jeong HC, Yoo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by black soybean powder of different ratio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6): 909-915 

  15. Joung HS. 1991. The physical properties of castella in Kyushu on the market. Korean J Soc Food Sci 7: 7-12 

  16. Kim BR, Choi YS, Lee SY. 2000. Study on bread-making quality with mixture of buck-wheat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2): 241-247 

  17. Kim HI, Lee BM. 1996. Stevioside, a natural sweeteners. J Food Hyg Safety 11: 323-327 

  18. Kim JH, Lee HG, Park JH, Ryu JD. 2004. Effect of dill and stevia hot-water extracts on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Nutr 17(1): 25-31 

  19. Kim YA. 2005. Effects of Lycium chinense powd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3): 403-407 

  20. Kim YS, Lee SK, Jeong DY, Yang EJ, Shin DH. 2007. Effect of powder of Stevia rebaudiana leaves against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alting of rice bran Danmooji. Korean J Food Preserv 14(5): 497-503 

  21. Kroyer GT. 1999. The low calorie sweetener stevioside: stability and interaction with food ingredients. Institute of Food Chemistry and Technology, University of Technology Vienna Academic Press, 15th July 

  22. Kwhak SH, Moon SW. 2002. Effect of pine needle powder on the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team cak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4): 399-406 

  23. Lee JU. 2008. Past, present and future of tea culture industry. 1th Symposium of the world's tea. Convention Center, Seoul, Korea pp 85-93 

  24. Lee SW, Kang CS. 2005. Effect of high molecular weight water soluble chitosan on quality attributes of sponge cake. Korean J Food Nutr 18: 309-315 

  25. Mizukoshi M. 1983. Model studies of cake baking. III. Effect of silicone on foam stability of cake batter. Cereal Chem 60: 396-400 

  26. Noh MH. 2005. The quality properties of Seolgiddeok added with stevia leaf powder.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27. Park GS, An SH, Choi MA.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concentrations of Paecilomyces japonic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2): 112-120 

  28. Park JE. 2007. Effect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extract supplementation on antiobesity and glycemic control.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29. Park JE, Kee HJ, Cha YS. 2010. Effect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leaf extract on antiobesity in C57BL/6J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5): 586-592 

  30. Park JH, Ryu MS, Kwon JT, Kim SH, Sang SB, Shin WJ, Ryu KS. 2003. A feeding value of stevia by product chickens. Korean J Poult Sci 30(4): 219-228 

  31. Park SJ. 2003. A study on consumer's selection factor of bakery shop. Kyunggi University. pp 10-11 

  32. Park SJ, Lee KS, An HL. 2007. Effects of dropwort powder on the quality of castell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6): 834-839 

  33. Pyler EJ. 1979. Physical and chemical test method.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Sosland Pub. Co, Merrian Kansas 2: 891-895 

  34. Tadhani MB, Patel VH, Subhash R. 2007.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Stevia rebaudiana leaves and callus. J Food Compost Anal 20: 323-329 

  35. Tomita T, Sato N, Arai T, Shiraishi H, Sato M, Takeuchi M, Kamio Y. 1997. Bactericidal activity of a fermented hot-water extract from Stevia rebaudiana Bertoni toward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and other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Microbiol Immunol 41: 1005-1009 

  36. Toskulkao C, Chaturat L, Temcharoen P and Glinsukon T. 1997. Acute toxicity of stevioside, a natural sweetener, and its metabolite, steviol, in several animal species. Drug Chem Toxicol 20: 31-44 

  37. Toyoda K, Matsui H, Shoda T, Uneyama C, Takada K, Takahashi M. 1997. Assessment of the carcinogenicity of stevioside in F344 rats. Food Chem Toxicol 35: 597-603 

  38. Yamanoto N, Mizue S, Sano K, Takano N, Miyamoto A, Ueno Y, Kudo K, Mochizuki S. 2001. Characterization of food composition and functionality of herbs cultivated in Oita. Report 36 Oita Japan 144-149 

  39. Yoon KH. 2002.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containing stevioside and maltitol. J Commu Devol. Sangji Youngseo College 9: 57-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