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가혈당 측정결과기반 당뇨교육프로그램이 제2형 당뇨병환자의 혈당조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Based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on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9 no.2, 2013년, pp.127 - 136  

심강희 (삼성서울병원) ,  황문숙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SMBG)-based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DSME) on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changes in glycemic control over 12months in SMBG-based DSME grou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구혈당강하제를 복용하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혈당 측정결과기반 당뇨교육프로그램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자가혈당 측정결과기반 당뇨교육프로그램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목적은 경구혈당강하제를 복용하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혈당 측정결과기반 당뇨교육프로그램이 혈당조절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구혈당강하제로 혈당을 조절하는 제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당뇨교육 전 7일간 하루 6~7회 이상의 자가혈당 측정과 생활습관 점검일지를 작성하게 한 후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자가혈당 측정결과기반 당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혈당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실효성이 있고 재현 가능한 간호중재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인 “자가혈당 측정결과기반 당뇨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당화혈색소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낮아질 것이다.
  • 가설 2인 “자가혈당 측정결과기반 당뇨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당화혈색소에 대한 목표달성 정도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높아질 것이다.
  • 둘째 가설인 “자가혈당 측정결과기반 당뇨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당화혈색소에 대한 목표달성 정도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높아질 것이다.
  • 가설 2. 자가혈당 측정결과기반 당뇨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당화혈색소에 대한 목표달성 정도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높아질 것이다.
  • 첫째 “자가혈당 측정결과기반 당뇨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당화혈색소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낮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가혈당 측정이 당뇨병 치료의 중요한 교육적 도구로 쓰인 예는 무엇인가? Schwedes, Siebolds와 Mertes (2002)는 인슐린 치료를 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일요일과 주중 1일, 일주에 2일만 하루에 6회(식전, 식후 1시간) 자가혈당 측정과 식사일기를 병행하게 한 후 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구조화된 당뇨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군에서 6개월 후 당화혈색소가 1.0±1.08%로, 대조군 0.54±1.41%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떨어졌으며, 자가혈당 측정을 수행한 군의 87.0%가 연구가 종료되는 24주까지 여전히 자가혈당 측정과 식습관 기록일지를 유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자가혈당 측정결과와 식습관을 일지에 계속 기록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구조화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상담 프로그램은 당뇨병환자로 하여금 보다 자율적으로 당뇨병관리를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고 하였다. 이렇듯 자가혈당 측정은 당뇨병 치료의 중요한 교육적 도구이다.
자가혈당 측정이 교육적 도구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교육을 통해 자기관리에 필요한 동기유발과 의도적인 생활습관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기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이고 개별화된 당뇨교육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 자가혈당 측정은 환자와 건강관리자 모두에게 매일의 혈당조절에 관한 식사, 운동, 약물 등의 효과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교육적 도구가 되고 있다. 특히 자가혈당 측정은 즉시 혈당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가 당대사 조절을 위해 바람직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가간호 훈련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Kirk & Stegner, 2010).
당뇨병교육이란 무엇인가? 당뇨병교육은 당뇨병 치료의 일부로써 환자 스스로 자기 병을 관리하는 개념을 심어줌으로써 당뇨병 치료의 초석이 되고 있다(Graber, Christman, Alogna, & Davidson, 1977). 교육을 통해 자기관리에 필요한 동기유발과 의도적인 생활습관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기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이고 개별화된 당뇨교육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ampbell, E. M., Redman, S., Moffitt, P. S., & Sanson-Fisher, R. W. (1996).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and behavioral instruction programs for patients with NIDDM: A randomized trial. Diabetes Education, 22(4), 379-386. 

  2. Choi, Y. J. (2012). Differences in accuracy and utilization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type 2 Diabetes patients according to education provi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3. Coonrod, B. A., Betschart, J., & Harris, M. I. (1994). Frequency and determinants of diabetes patient education among adults in the U.S. population. Diabetes Care, 17(8), 852-858. 

  4. Davidson, J. (2005). Strategies for improving glycemic control: Effective use of glucose monitoring.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18 (Suppl 9A), 27s-32s. 

  5. Delamater, A. M., Davis, S. G., Bubb, J., Santiago, J. V., Smith, J. A., & White, N. H. (1989).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by adolescents with diabetes: Technical skills and utilization of data. Diabetes Educator, 15(1), 56-61. 

  6.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Research Group (1993). The effect of intensive treatment of diabetes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long-term complications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9(14), 977-986. 

  7. Fisher, J. D., & Fisher, W. A. (1992). Changing AIDS risk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111(3), 455-474. 

  8. Graber, A. L., Christman, B. G., Alogna, M. T., & Davidson, J. K. (1977). Evaluation of diabetes patient-education programs. Diabetes, 26(1), 61-64. 

  9. Gerich, J. E., Odawara, M., & Terauchi, Y. (2007). The rationale for paired pre- and postprandial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The role of glycemic variability in micro- and macro-vascular risk.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23(8), 1791-1798. 

  10. Ha, J. M., & Kim, D. H. (2010).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utilization of results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type II diabe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6(2), 330-337. 

  11. IDF Clinical Guidelines Task Force (2006). Global guideline for type 2 diabetes: Recommendations for standard, comprehensive, and minimal care. Diabetes Medicine, 23(6), 579-593. 

  12. Jones, H., Edwards, L., Vallis, T. M., Ruggiero, L., Rossi, S. R., Rossi, J., & Zinman, B. (2003). Changes in diabetes self care behaviors make a difference in glycemic control: The Diabetes stages of change study. Diabetes Care, 26(3), 732-737. 

  13. Karter, A. J., Ackerson, L. M., Darbinian, J. A., D'Aqostino, R. B. Jr., Ferrara, A., Liu, J., & Selby, J. V. (2001).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levels and glycemic control: The northern california kaiser permanent diabetes registry.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11(1), 1-9. 

  14. Kirk, J. K., & Stegner, J. (2010).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Practical aspects. Journal of Diabetes Science and Technology, 4(2), 435-439. 

  15.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1).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12(supple. 1), 10-14. 

  16. Lee, H. S. (2010). Self-management and accuracy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between patients with diabetic melli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7. Lee, Y. R., Kang, M. A., & Kim, P. G. (2008). The effects of an admission-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self-care and glucose contro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4(1), 12-19. 

  18. Lee, Y. W., Hwang, W. S., Choe, S. J., Lee, D. H., Kim, D. H., Lee, E. H., Hong, E. G., Noh, H. L., Chung, Y. S., Lee, K. W., & Kim, H. M. (2003). The effect of intensive education on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18(1), 63-72. 

  19. Lewis, S. M., Heikemper, M. M., Dirksen, S. R., O'brien, P. G., Giddens, J. F., & Bucher, L. (2004). Medical-surgical nursing: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linical problems (6th ed.), St. Louis: Mosby. 

  20. Locke, E .A. (1968). Toward a theory of task motivation and incentiv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 157-89. 

  21. Mayfield, J., & Havas, S. (2007). For the AAFP panel on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self control: A physician's guide to blood glucose monitoring in the management of Diabetes. An American Family Physician Monograph. Retrieved December 29, 2007. from http://www.aafp.org. 

  22. Moon, M. Y., & Kim, M. A.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educational program on prevention of foot lesion in adults with Diabet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2), 154-167. 

  23. Park, M. S., Park, K. S., Kim, K. A., Cha, Y. J., Jun, M. H., Kim, T. I., Lee, T. S., & Cha, E. J. (2006). Puncture depths in vacuum assisted auto lancing technique for blood glucose t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2(2), 265-271. 

  24. Park, S. W., Kim, D. J., Min, K. W., Baik, S. H., Choi, K. M., Park, I. B., Park, J. H., Son, H. S., Ahn, C. W., Oh, J. Y., Lee, J., Chung, C. H., Kim, J., & Kim, H. (2007). Current status of diabetes management in Korea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31, 362-367. 

  25. Poolsup, N., Suksomboon, N., & Rattanasookchit, S. (2009). Meta-analysis of the benefits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on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An update. Diabetes Technology and Therapeutics, 11(12), 775-784. 

  26. Sarol, J. N., Nicodemus, N. A., Tan, K. M., & Grava, M. B. (2005).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as part of a multi-component therapy among non-insulin requiring type 2 diabetes patients: A meta-analysis (1966-2004).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21(2), 173-184. 

  27. Schwedes, U., Siebolds, M., & Mertes, G. (2002). Meal-related structured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Diabetes Care, 25(11), 1928-1932. 

  28.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Group (1998). Effect of intensive blood-glucose control with metformin on complications in overweight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UKPDS 34). Lancet, 352, 854-865.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Adherence to long term therapies: Evidence for ac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