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배추즙 및 양배추 혼합즙의 인체위암세포(AGS) 성장 억제효과와 HCl-Ethanol로 유발된 흰쥐의 항위염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abbage Juice and Cabbage-Mixed Juice on the Growth of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and on HCl-Ethanol Induced Gastritis in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5, 2013년, pp.682 - 689  

홍예지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성윤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재갑 (대상(주) 중앙연구소) ,  임양이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양배추즙과 양배추 혼합즙의 항위염 효과를 검토하고자 in vitro에서 AGS 인체위암세포의 성장 억제율, 염증인자 발현, 항산화력, 제산력 결과를 바탕으로 SD-rat에 HCl-ethanol로 급성위염을 유도하여 이에 대한 위 손상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인체위암세포(AGS) 성장 억제율을 조사한 결과 클로렐라(Ch)가 20%, 케일(K)이 21%, 양배추(C) 42% 순으로 성장 억제율이 상승하였고, 양배추에 클로렐라나 케일을 7:3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양배추-클로렐라(CCh) 57%, 양배추-케일(CK) 65%로 성장 억제율이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염증인자 발현 또한 양배추(C) 단일로 처리했을 때보다 양배추-클로렐라 혼합(CCh), 양배추-케일 혼합(CK)에서 염증인자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DPPH radical 소거능에서도 2 mg 농도에서 양배추(C) 61.7%, 양배추-클로렐라(CCh) 87.3%, 양배추-케일(CK) 88.1%로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냈으며, 제산력 실험에서도 양배추 고농도(CH) 34.8%, 양배추-클로렐라 고농도(CChH) 40.1%, 양배추-케일 고농도(CKH) 44.9%로 양성대조약물인 cimetidine 41.8%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제산력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HCl-ethanol 위염모델에서 위 손상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 양배추를 기본으로 한 모든 저농도(CL, CChL, CKL), 고농도(CH, CChH, CKH) 투여군에서 보호 효과가 나타났으며 양배추 단일 고농도(CH) 46%보다 클로렐라와 케일을 혼합한 양배추-클로렐라 고농도(CChH) 71%, 양배추-케일 고농도(CKH) 74%에서 그 보호 효과가 유의적으로 높아져 양성 대조약물과 비슷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위액분비량과 위액 pH 또한 모든 투여군에서 보호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p<0.05), 특히 양배추-케일 혼합즙(CKH)이 대조약물보다 더 높은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양배추즙에 클로렐라나 케일을 7:3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위염예방효과가 시판 대조약물만큼 크게 상승하여 장기간 섭취 시 뛰어난 항위염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s of cabbage juice and cabbage-mixed juices on the growth of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and their anti-gastritic effects on HCl-ethanol induced gastritis in SD rats. Cabbage juice showed the highest growth inhibition on AGS gastric cancer cells in vitro (42%),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양배추즙과 양배추 혼합즙의 항위염 효과를 검토하고자 in vitro에서 AGS 인체위암세포의 성장 억제율, 염증인자 발현, 항산화력, 제산력 결과를 바탕으로 SDrat에 HCl-ethanol로 급성위염을 유도하여 이에 대한 위 손상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인체위암세포(AGS) 성장 억제율을 조사한 결과 클로렐라(Ch)가 20%, 케일(K)이 21%, 양배추(C) 42% 순으로 성장 억제율이 상승하였고, 양배추에 클로렐라나 케일을 7:3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양배추-클로렐라(CCh) 57%, 양배추-케일(CK) 65%로 성장 억제율이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양배추즙과 이에 클로렐라 또는 케일을 첨가하여 맛과 기능성을 증가시킨 양배추 혼합즙의 항 위염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양배추, 클로렐라, 케일, 양배추-클로렐라 혼합즙, 양배추-케일 혼합즙의 in vitro 인체위암세포(AGS) 성장 억제효과, 항산화력, 제산력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흰쥐를 이용한 in vivo HCl-ethanol 급성 위염모델에서 이들 녹즙의 위염에 대한 보호 효과를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채소즙이란? 채소즙(녹즙)은 가열하지 않은 생채소나 과일을 절단하여 즙을 낸 것으로 가열 조리된 채소와는 달리 효소, 비타민, 무기질, 엽록소, 기타 영양성분이 소화 흡수되기 좋은 형태로 가공된 식품이다(1).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녹즙의 원료는 명일엽, 케일, 양배추, 당근, 돌미나리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맛과 기능성을 보강한 혼합즙의 형태로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녹즙의 원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채소즙(녹즙)은 가열하지 않은 생채소나 과일을 절단하여 즙을 낸 것으로 가열 조리된 채소와는 달리 효소, 비타민, 무기질, 엽록소, 기타 영양성분이 소화 흡수되기 좋은 형태로 가공된 식품이다(1).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녹즙의 원료는 명일엽, 케일, 양배추, 당근, 돌미나리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맛과 기능성을 보강한 혼합즙의 형태로 많이 출시되고 있다.
glucosinolates는 myrosinase에 의해 무엇으로 전환되는가? 십자화과 채소는 glucosinolates(3), phenolics(4), 베타-카로틴, 비타민 C, lutein, zeaxanthin(5)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glucosinolates는 황(sulfur)을 함유하여 휘발성 있는 매운 향기를 가진다. 현재까지 약 100여종의 glucosinolate가 확인 되었으며, 이는 채소를 즙을 내거나 조리하는 과정에서 myrosinase에 의해 가수분해 되어 isothiocyanates, thiocyanates, nitriles, indole-3-carbinol, sulforaphane, butenyl isothiocyanate, allyl isothiocyanate로 전환되는데 이들은 높은 암발생 억제 효과를 가진다(6). 선행기능성 관련 연구로는 미생물 번식 저해효과(7), 항돌연변이(8), 항산화, 항암 효과 특히 위암과 같은 소화기계 질환 발생 감소(9), 실험적으로 유발된 위궤양의 회복효과(10), 위·십이지장 궤양 치료 효과(6)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hin CK. 2003. Present and prospect of fresh vegetable-extract juice industry. Food Industry and Nutrition 8(1): 1-7. 

  2. Hounsome N, Hounsome B, Tomos D, Edwards-Jones G. 2009. Changes in antioxidant compounds in white cabbage during winter storage. Postharvest Biol Technol 52: 173-179. 

  3. Hayes JD, Kelleher MO, Eggleston IM. 2008. The cancer chemopreventive action of phytochemicals derived from glucosinolate. Euro J Nutr 47: 73-88. 

  4. Harbaum B, Hubbermann EM, Wolff C, Herges R, Zhu Z, Schwarz K. 2007.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and hydroxycinnamic acids in pak choi varieties (Brassica campestris L. ssp. chinensis var. communis) by HPLC-ESI-MS and NMR and their quantification by HPLC-DAD. J Agric Food Chem 55: 8251-8260. 

  5. Kim MR, Kim JH, Wi DS, Na JH, Sok DE. 1999. Volatile sulfur compounds, proximate components, minerals, vitamin C conte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juices of kale and broccoli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201-1207. 

  6. Lee YS, Jang WS, Eui MJ, Lee SJ, Jang JJ. 1990. Inhibitory effect of Chinese cabbage extract on diethylnitrosamineinduced hepatic foci in Sprague-Dawley rats. J Korean Cancer Assoc 22: 355-359. 

  7. Han DC, Kyung KH. 1995. Antimicrobial activity of autoclaved cabbage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74-79. 

  8. Lee SM, Rhee SH, Park KY. 1997. Antimutagenic effect of various cruciferous vegetables in Salmonella assaying system. J Fd Hyg Safety 12: 321-327. 

  9. Hu JF, Zhang SF, Jia EM, Wang QQ, Lie SD, Liu YY, Wu YP, Cheng YT. 1988. Diet and cancer of the stomach: a case-control study in China. Int J Cancer 41: 331-336. 

  10. Murdock DH. 1996. The encyclopedia of foods.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p 221. 

  11. Hong YJ. 2013. Effects of cabbage-mixed juice on gastritis prevention and Angelica keiskei juice on hepatoprotection.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2. Hertog MGL, Hollman PCH, Katan MB. 1992. Content of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flavonoids of 28 vegetables and 9 fruits commonly consumed in the Netherland. J Agric Food Chem 40: 2379-2386. 

  13. Bilyk A, Sapera GM. 1985. Distribution of quercetin and kaempferol in lettuce, kale, chive, garlic chive, leek, horseradish, red radish and red cabbage tissues. J Agric Food Chem 33: 226-232. 

  14. Wattenberg LW. 1977. Inhibition of carcinogenic effects of polycyclic hydrocarbons by benzyl isothiocyanate and related compounds. J Natl Cancer Inst 58: 395-403. 

  15. Chung EJ, Kim SY, Nam YJ, Park JH, Hwang HJ. 2005. Effects of kale juice powder on serum lipids, folate and plasma homocysteine levels in growing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75-1181. 

  16. Djousse L, Arnett DK, Coon H, Province MA, Moore LL, Ellison RC. 2004.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LDL cholesterol: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family heart study. Am J Clin Nutr 79: 213-217. 

  17. Park CU, Cho IH, Hwang HK. 1973. Nutrition value of chlorella (I). J Korean Soc Food Nutr 2: 35-40. 

  18. Hasegawa T, Kimura Y, Hiromatsu K, Kobayashi N, Yamada A, Makino M, Okuda M, Sano T, Nomoto K, Yoshikai Y. 1997. Effects of hot water extract of Chlorella vulgaris on cytokine expression patterns in mice with Listeria monocytogenes. Immunopharmacol 35: 273-282. 

  19. Lee YJ. 2011.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ngelica keiskei and Chlorella vulgaris extract mixed juices in rats.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0. Zhao X. 2011.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amboo salt and Rubus coreanus Miquel bamboo salt.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1. Jung HJ. 2012. Molecular mechanism of cell proliferation, dedifferentiation and inflammatory responses by sulforaphane in rabbit articular chdondrocyte.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Korea. 

  22. Cho SY, Lee SH, Choi JY, Myoung SE, Kang SS, Jeong JS, Jeong CS. 2007. Antigastritic effects of carbenoxolone disodium from Glycyrrhizae Radix. J Toxicol Pub Health 23: 165-172. 

  23. Mizui T, Doteuchi M. 1983. Effect of polyamines on acidified ethanol-induced gastric lesions in rats. Jpn J Pharmacol 33: 939-945. 

  24. Kim SJ. 2012. Preventive effects of Beopje ginger and Taemyeongcheong on in vivo gastritis and colitis.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5. Shay H, Komarov SA, Fels SS, Merance D, Gruenstein M, Siplet H. 1945. A simple method for the uniform production of gastric ulceration in the rats. Gastroenterol 4: 43-61. 

  26. Park KY, Lee KI, Rhee SH. 1992. Inhibitory effects of green-yellow vegetable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system and on the growth of AZ-52 human gastric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Nutr 21: 149-153. 

  27. Hwang ES, Hong EY, Kim GH. 2012. Determinati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cancer effect from extracts of Korean cabbage and cabbage. Korean J Food & Nutr 25:259-265. 

  28. Shew RL, Papka RE, McNeill DL, Yee JA. 1993. NADPHdiaphorase- positive nerves role of nitric oxide in CGRP relaxation of uterine contraction. Peptides 14: 637-641. 

  29. Kim MJ. 2009. Induction of apoptosis by sulforaphane analogues in human colon cancer cells. M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30. Min DR, Park SY, Chin KB. 2010. Evaluation of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arlic stem and red cabbage and their application to pork patti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 291-297. 

  31. Divisi D, Di-Tommaso S, Salvemini S, Garramone M, Crisci R. 2006. Diet and cancer. Acta Biomed 77: 118-123. 

  32. Vahle JL. 2002. Skeletal changes in rats given daily subcutaneous injections of recombinant human parathyroid hormone (1-34) for 2 years and relevance to human safety. Toxicologic Pathol 30: 312-321. 

  33. Henn RM, Isenberg JI, Maxwell V, Sturdevant RA. 1975. Inhibition of gastric acid secretion by cimetidine in patients with duodenal ulcer. N England J Med 293: 371-375. 

  34. Oates PJ, Hakkinen JP. 1988. Studies on the mechanism of ethanol-induced gastric damage in rats. Gastroenterol 94:10-21. 

  35. Ishii T, Fujii Y, Homma M. 1976. Gastric acid stimulating action of cysteamine in the rat. Eur J Pharmacol 36: 331-336. 

  36. Cho JY, Nam KH, Yoo ES, Yu YH, Park MH, Park JH. 1995. Pharmacokinetics and gastric adhesion of aceglutamide aluminium on the combination of antacid in rats. Yakhak Hoeji 39: 577-584. 

  37. Yang WK, Jung CS, Jung KW, Kim JW, Lee EB. 1992. Antigastritic and antiulcerative action of the extract of Zingiberis rhizoma. Yakhak Hoeji 36: 173-179. 

  38. Kim HY, Kyoung PY, Seok KT, Kang MH. 2006. The effect of green vegetable drink supplementation on cellular DNA damage and antioxidant status of Korean smokers. Korean J Nutr 39: 8-27. 

  39. Sciffers MJ, Segal HL, Miller LL. 1963. Separation of pepsinogen 1, pepsinogen 2 and pepsinogen 3 from human gastric mocosa. Am J Physiol 205: 1106-11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