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료 교수법 기반의 과학교사 연수를 위한 단계형 개념검사문항 개발 -바늘구멍 사진기의 원리 학습을 중심으로-
Developing Sequential ConcepTests for In-service Science Teachers' Training based on Peer Instruction: Focus on 'Principle of Pinhole Camera'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2, 2013년, pp.229 - 248  

이지원 (한국교원대학교) ,  김종원 (한국교원대학교) ,  김규환 (한국교원대학교) ,  황명수 (한국교원대학교) ,  김중복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료교수법개념변화에 효과적인 연수방법이다. 동료교수법의 성공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개념검사문항이다. 개념검사문항은 단순히 인지갈등 상황만을 주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개념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빛의 직진에 대한 교사들의 오개념을 올바른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단계적으로 교사들의 개념을 변화해 나가도록 돕는 단계형 개념검사문항을 개발하여 연수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개념검사문항을 5회에 걸친 연수에 투입하여 토론 전후 정답률과 연수 중 토론,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 수정이 이루어졌다. 수정의 방향은 단계를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유한크기 광원은 점광원의 집합'이라는 목표개념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최종 개념검사문항을 적용한 결과, 교사들은 각 문제에서 높은 Hake gain을 보였고 인지적 단계에 따라 목표개념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동료교수법에서 개념검사문항을 개발할 때, 각 개별 문제가 학습자에게 도전의식을 주는 유의미한 인지갈등 문제일 뿐만 아니라, 각각의 문제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단계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개념검사문항은 초등교원연수와 중등교원연수, 또는 예비교사교육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equential concept tests (ConcepTest) for teachers' conceptual change on the straight propagation of light through in-service training of science teachers by peer instruction. We revised the ConcepTests for attaining the goal concept by implementing similar t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리놓기 전략이란? Clement(1993)는 과학 학습에서 모순된 상황을 보여주어 자신의 생각과 직접 대비하는 전략 이후에 과학적 개념으로의 변화를 위해 다리놓기 전략을 제안하였다. 다리놓기 전략은 하나의 인지갈등 문항이 다음 단계를 위한 디딤돌이 되어 목표 개념에 단계 적으로 도달하도록 돕는 전략이다. 또한 Vosniadou et al.
동료 교수법이란? 동료 교수법(Peer Instruction)은 개념이해 측면에서 매우 효과가 큰 교수학습법이다. 동료 교수법은 Harvard 대학의 Eric Mazur에 의해 1991년 개발된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 상호작용을 통해 개념을 학습하는 교수법으로(Crouch, 1998; Crouch & Mazur, 2001; Mazur, 1997), 수많은 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검증되었다(김규환, 2012; 이은희, 2011; 이희진, 2011; Cortright et al., 2005; Fagen et al.
개념검사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개념검사문항의 개발과 배치 이후에는 이 문제들이 연수 대상인 교사들의 현재 개념구조와 인지 과정에 맞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문제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검토 뿐 아니라 학습 대상자의 직접적인 의견이 필요하다. Di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교육인적자원부 (2005).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5-1.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곽영순 (2009).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이 내용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11-625. 

  3. 김규환, 김중복 (2011). 빛의 직진 개념 지도를 위한 탐구 학습모듈의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35(2),173-192. 

  4. 김규환 (2012). 초등 과학수업에서 주제에 따른 Peer Instruction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종원, 김규환, 이지원, 황명수, 김중복 (2012). 과학교사 연수에서의 동료 교수법의 효과 및 교사의 인식. 과학교육연구지, 36(1), 84-93 

  6. 김중복, 김현아, 김수경 (2006). 과학교사를 위한 빛과파동. 서울: 홍릉과학출판사. 

  7. 백성혜, 정연경(2009).' 빛과상'에대한초등교사들의 이해와 학습 내용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초등과학교육, 28(3), 245-262. 

  8. 이건호 (1999). 빛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은희(2011).' Peer Instruction'을통한과학교사의자기 개념 변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이재봉, 남경운, 손정우, 이성묵 (2004). 광선추적과스펙트럼에 대한 교사와 중학생의 개념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189-1205. 

  11. 이희진 (2011). Peer Instruction을 통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과학개념변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12. 정재훈, 김영신 (2010). 과학 실험 연수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기대와 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316-325. 

  13. 조희형, 고영자 (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14. Chan, C., Burtis, J., & Bereiter, C. (1997). Knowledge building as a mediator of conflict in conceptual change. Cognition and Instruction, 15(1), 1-40. 

  15. Chi, M. T. H., Feltovich, P. J., & Glaser, R. (1981). Categorization and representation of physics problems by experts and novices. Cognitive Science, 5(2), 121-152. 

  16. Clement, J. (1993). Using bridging analogies and anchoring intuitions to deal with students'preconceptions in phys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10), 1241-1257. 

  17. Clement, J. (2008). The role of explanatory models in teaching for conceptual change. In S. Vosniadou (Ed.),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on Conceptual Change. (pp. 417-451). NewYork: Routledge. 

  18. Cortright, R. N., Collins, H. L., & DiCarlo, S. E. (2005). Peer instruction enhanced meaningful learning: Ablilty to solve novel problems. Advanced Physiology Education, 29, 107-111. 

  19. Crouch, C. H. (1998). Peer instruction: An interactive approach for large lecture lasses. Optics & Photonics News, 9(9), 37-41. 

  20. Crouch, C. H., & Mazur, E. (2001). Peer instruction: Ten years of experience and result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9(9), 970-977. 

  21. Crouch, C. H., Watkins, J., Fagen, A., & Mazur, E. (2007). Peer instruction: Engaging students one-on one, all at once. Research-Based Reform of University Physics, 1, 1-55. 

  22. Ding, L., Reay, N. W., Lee, A., & Bao, L. (2009). Are we asking the right questions? Validating clicker question sequences by student interview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7(7), 643-650. 

  23. Fagen, A. P., Crouch, C. H., & Mazur, E. (2002). Peer instruction: Results from a range of classrooms. Physics Teacher, 40, 206-209. 

  24. Feher, E., & Rice, K. (1988). Shadows and anti-images: Children's conceptions of light and vision. II. Science Education, 72(5), 637-649. 

  25. Galili, I., & Hazan, A. (2000). Learners'knowledge in optics: Interpretation, structure and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1), 57-88. 

  26. Hake, R. R. (1998). Interactive-engagement vs traditional methods: A six-thousand-student survey of mechanics test data for introductory physics course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6(1), 64-74. 

  27. Hansen, J. B., & Feldhusen, J. F. (1994). Comparison of trained and untrained teachers of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3), 115-121. 

  28. Hecht, E. (2002). Optics, 4/E. New York: Wesley Longman. 

  29. Lasry, N., Watkins, J., & Mazur, E. (2008). Peer instruction: From Harvard to the two-year college.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6(11), 1066-1069. 

  30. Lee, A., Ding, L., Reay, N. W., & Bao, L. (2011). Singleconcept clicker question sequences. The Physics Teacher, 49, 385-389. 

  31. Limo、n, M. (2001). On the cognitive conflict as an instructional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A critical appraisal. Learning and Instruction, 11, 357-380. 

  32. Lorenzo, M., Crouch, C., & Mazur, E. (2006). Reducing the gender gap in the physics classroom.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4(2), 118-122. 

  33. Mazur, E. (1997). Peer Instruction: A user's manual. New Jersey: Prentice Hall. 

  34. McDermott, L. C. & Shaffer, P. S. (2002). Tutorial in introductory physics, 1/E. Prentice Hall. 

  35. Nicol, D. J., & Boyle, J. T. (2003). Peer instruction versus class-wide discussion in large classes: A comparison of two interaction methods in the wired classroom. Studies in Higher Education, 28(4), 457-473. 

  36. Posner, G. J., Strike, K. A., Hewson, P. W., & Getzog. W. A. (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2), 211-227. 

  37. Rao, S. P. & Dicarlo, S. E. (2000). Peer instruction improves performance on quizzes. Advanced Physiology Education, 24, 51-55. 

  38. Rice, K., & Feher, E. (1987). Pinholes and images: children's conceptions of light and vision. I. Science Education, 71(4), 629-639. 

  39. She, H. (2002). Concepts of a higher hierarchical level require more dual situated learning events for conceptual change: A study of air pressure and buoyancy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9), 981-996. 

  40.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41.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42. Turpen, C., & Finkeltein, N. (2009). Not all interactive engagement is the same: Variations in physics professors' implementation of peer instruction. Physical Review Special Topic Physics Education Research, 5(2), 020101-1-18. 

  43. Vosniadou, S., Ioannides, C., Dimitrakopoulou, A., &Papademetriou, E. (2001). Designing learning environments to promote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Learning and Instruction, 11, 381-419. 

  44. Weiss, I. R., Pasley, J. D., Banilower, E. R., & Heck, D. J. (2003). A study of K-12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North Carolina: Horizon Research. 

  45. Wosilait, K., Heron, P. L., Shaffer, P. S., & McDermott, L. C. (1998).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a researchbased tutorial on light and shadow.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6(10), 906-9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