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파스를 이용한 수지요법 침점(K-D2) 자극과 예방적 항구토제의 병용요법이 부인과 복강경 수술 후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
Combination Effects of Capsicum Plaster at the Korean Hand Acupuncture Points K-D2 with Prophylactic Antiemetic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fter Gynecologic Laparoscop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2, 2013년, pp.215 - 224  

정현정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박상연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combination effects of capsicum plaster at the Korean hand acupuncture points K-D2 with prophylactic antiemetic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Methods: An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a randomized, a double-blinded, and a placebo-control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수술 후 오심과 구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은 propofol을 사용한 마취유도를 하고 항구토제를 예방적으로 투여하는 것에 더하여 수지요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오심과 구토로 인한 환자들의 불편감을 완화시키는 가장 효율적인 중재로 확인되었다. 고추파스를 사용한 수지요법의 임상활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증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수지요법과 경락학설에 근거하여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한 수지요법 침점 2지의 K-D2에 4지의 K-D2를 추가하였다.
  • 이에 따라 수술환자의 통증관리 뿐만 아니라 오심과 구토를 확인하고 그 증상이 항구토제가 필요한 정도인지를 확인하는 등의 수술 후 오심과 구토에 대한 관리가 간호사의 주요업무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술 후 오심과 구토 발생의 고위험군에게 항구토제를 예방적으로 투여하는 것에 더하여 K-D2를 자극하는 수지요법을 추가적으로 병용하는 것이 수술환자의 오심과 구토 예방에 효과적인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부인과 복강경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고추파스를 이용한 수지요법이 수술 후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로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통제(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를 적용한 사후설계(posttest only design)이다.
  • 본 연구는 수술 후 오심과 구토 발생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항구토제만 투여한 군과 항구토제와 고추파스를 이용한 수지요법을 병용한 군이 수술 후 오심과 구토의 발생 및 항구토제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실험군이 propofol 마취유도와 항구토제 romosetron의 예방적 투여 상황에서도 수술 후 초기의 오심발생과 오심정도 및 항구토제 사용이 유의하게 낮았고 추가적인 항구토제 투여자 또한 한 명도 발생되지 않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후 오심과 구토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환자를 대상으로 항구토제만 투여한 군과 항구토제와 고추파스를 이용한 수지요법을 병용한 군이 수술 후 오심과 구토의 발생 및 항구토제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 수술 후 오심과 구토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관련 위험요인 및 수술과 마취관련 위험요인은 수술 하루전날 연구자가 직접 조사하였다. 환자관련 위험요인인 멀미 과거력, 수술 후 오심과 구토의 과거력 및 흡연 유무는 환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기록하였다.
  • 그러나 본 연구는 대상자를 여성, 마약제제 사용자, 비흡연자로 극히 제한하였으므로 수지요법이 모든 수술환자의 오심과 구토를 예방한다고 일반화 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연구대상을 제한한 것은 수술 후 오심과 구토가 마취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증상이기 때문에 사전측정이 불가능하여 사후설계를 실시하였던 설계상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주요요인 4가지 중 3가지(여성, 마약제제 사용자, 비흡연자)는 포함되도록 하고 나머지 1가지(수술 후 오심과 구토 및 멀미의 과거력)는 동질성을 검정하여 확인하였다.
  • 오심발생, 오심정도, 구토발생, 구토빈도는 Apfel 등(2002)의 권고대로 수술 후 초기(0-2h)와 후기(2-24h)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흡입마취제로 인해 발생하는 구토는 수술 후 초기에 발생하고 마약제제의 사용, 나이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구토는 수술 후 후기에 발생하므로(Apfel et al.)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오심과 구토에 대한 수지요법의 예방효과를 흡입 마취제에 대한 효과와 마약제제에 대한 효과로 구분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취회복실 및 해당 병동에서의 오심발생, 오심정도, 구토발생 및 구토빈도는 보조연구자를 희망하는 3명의 간호사를 선정하여 측정하도록 의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 후 오심과 구토는 신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 2006) 수술 환자들이 통증보다도 더 겪고 싶지 않은 부작용이라고 호소하고 있다(Kim, Choi, & Won, 2001). 수술 후 오심과 구토는 이러한 환자들의 주관적 호소뿐만 아니라 부정맥, 심장마비, 안압 증가, 두개내압 증가, 수술상처 파열, 식도파열,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 혈압 상승 등의 심각한 신체적인 합병증을 유발시킨다(Apfel, Läärä, Koivuranta, Greim, & Roewer, 1999; Gan et al.; Kim, 2004).
수술 후 오심과 구토의 주요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수술 후 오심과 구토의 발생 원인은 명백하지 않다. 그러나 수술 후 오심과 구토의 주요 위험요인은 여성, 비흡연자, 수술 후 오심과 구토 및 멀미 과거력, 마약성진통제 사용으로 보고되었다(Apfel et al., 1999).
항구토제로도 조절되지 않는 고위험군의 수술 후 오심과 구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약물요법을 보완할 수 있는 추가적 중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 2003). 그러나 항구토제를 복합투여해도 오심과 구토 발생이 30%정도 남아있으며(Kim, Ko, Kim, Lee, & Choi, 2007; White, O'Hara, Roberson, Wender, & Candiotti, 2008) 복합투여로 인해 각각의 약물의 부작용이 배가되어 나타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고려해 볼 때 항구토제로도 조절되지 않는 고위험군의 수술 후 오심과 구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약물요법을 보완할 수 있는 추가적 중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garwal, A., Dhiraaj, S., Tandon, M., Singh, P. K., Singh, U., & Pawar, S. (2005). Evaluation of capsaicin ointment at the Korean hand acupressure point K-D2 for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aesthesia, 60(12), 1185-1188. http://dx.doi.org/10.1111/j.1365- 2044. 2005.04402.x 

  2. Apfel, C. C., Kranke, P., Katz, M. H., Goepfert, C., Papenfuss, T., Rauch, S., et al. (2002). Volatile anaesthetics may be the main cause of early but not delayed postoperative vomit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factorial design.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88(5), 659-668. 

  3. Apfel, C. C., Laara, E., Koivuranta, M., Greim, C. A., & Roewer, N. (1999). A simplified risk score for predicting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Conclusions from cross-validations between two centers. Anesthesiology, 91(3), 693-700. 

  4. Bailey, P. L., Streisand, J. B., Pace, N. L., Bubbers, S. J., East, K. A., Mulder, S., et al. (1990). Transdermal scopolamine reduces nausea and vomiting after outpatient laparoscopy. Anesthesiology, 72(6), 977-980. 

  5. Berkley, K. J., Robbins, A., & Sato, Y. (1993). Functional differences between afferent fibers in the hypogastric and pelvic nerves innervating female reproductive organs in the rat. Journal of Neurophysiology, 69(2), 533-544. 

  6. Boehler, M., Mitterschiffthaler, G., & Schlager, A. (2002). Korean hand acupressure reduces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fter gynecological laparoscopic surgery. Anesthesia and Analgesia, 94(4), 872-875, table of contents. 

  7. Chi, J. G. (2006). Medical dictionary: English-Korean, Korean-English. Anyang: Academya 

  8. Dundee, J. W., Ghaly, R. G., Bill, K. M., Chestnutt, W. N., Fitzpatrick, K. T., & Lynas, A. G. (1989). Effect of stimulation of the P6 antiemetic point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63(5), 612-618. 

  9. Eo, H. J. (2010). The effect of oral cryotherapy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fter laparoscopic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0. Gan, T. J., Glass, P. S., Sigl, J., Sebel, P., Payne, F., Rosow, C., et al. (1999). Women emerge from general anesthesia with propofol/alfentanil/nitrous oxide faster than men. Anesthesiology, 90(5), 1283-1287. 

  11. Gan, T. J., Meyer, T., Apfel, C. C., Chung, F., Davis, P. J., Eubanks, S., et al. (2003). Consensus guidelines for managing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esthesia and Analgesia, 97(1), 62-71. 

  12. Iitomi, T., Toriumi, S., Kondo, A., Akazawa, T., & Nakahara, T. (1995). Incidence of nausea and vomiting after cholecystectomy performed via laparotomy or laparoscopy. Masui. Japanese Journal of Anesthesiology, 44(12), 1627-1631 

  13. Jung, S. H., & Jeon, Y. H. (2006). Antiemetic effect of midazolam added to patient-controlled analgesia after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51(5), 591-597. 

  14. Kim, E. J., Ko, J. S., Kim, C. S., Lee, S. M., & Choi, D. H. (2007). Combination of antiemetics for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high-risk patient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2(5), 878-882. 

  15. Kim, K. S., Koo, M. S., Jeon, J. W., Park, H. S., & Seung, I. S. (2002). Capsicum plaster at the Korean hand acupuncture point reduces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fter abdominal hysterectomy. Anesthesia and Analgesia, 95(4), 1103-1107. 

  16. Kim, M. W. (2004).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Dongguk Journal of Medicine, 11(1), 151-156. 

  17. Kim, N. C., Yoo, J. B., Cho, M. S., Shin, E. J., & Hahm, T. S. (2010). Effects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and level of satisfaction for gynecological surgery patients who are using 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3), 423-432. http:// dx.doi.org/10.4040/jkan.2010.40.3.423 

  18. Kim, T. S., Choi, S. E., & Won, R. S. (2001). Undesirable symptoms of patients in the postanesthesia recovery situations.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0(5), 619-624. 

  19. Kovac, A. L. (2000).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Drugs, 59(2), 213-243. 

  20. Marston, A. (1977). Responses of the splanchnic circulation to ischaemia.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Supplement (Royal College of Pathologists), 11, 59-67. 

  21. Namsan S?im. (1999). Plaster therapy of miracle. Seoul: Myung Sang 

  22. Ogata, A., Yamada, Y., Sugiura, M., Takayanagi, R., Sawada, Y., & Iga, T. (2001). Analysis of 5-HT3 receptor antagonist, ramosetron hydrochloride, based on receptor occupancy considering its active metabolite. Yakugaku Zasshi. Journal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121(11), 793-798 

  23. Oh, S. Y., Park, K. S., & Hwang, Y. Y. (2009). The effect of ethanol inhalation on postoperative nausea in patients using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4), 379-390. 

  24. Park, H. H., Park, K. S., Lee, S. Y., Cho, O. G., Kim, J. H., Kim, J. S., et al. (2006). The effects of prophylactic metoclopramide and induction with propofol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50(2), 179-183. 

  25. Schlager, A., Boehler, M., & Puhringer, F. (2000). Korean hand acupressure reduces postoperative vomiting in children after strabismus surgery.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85(2), 267-270. 

  26. Suh, J. K., Bae, D. J., Cho, S. Y., & Jeon, W. J. (2008). The assessment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using rhodes index in PONV high risk group.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54(3), 278-282. http://dx.doi.org/10.4097/kjae.2008.54.3.278 

  27. Watcha, M. F., & White, P. F. (1992).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ts etiology, treatment, and prevention. Anesthesiology, 77(1), 162-184. 

  28. White, P. F., O'Hara, J. F., Roberson, C. R., Wender, R. H., & Candiotti, K. A. (2008). The impact of current antiemetic practices on patient outcomes: A prospective study on high-risk patients. Anesthesia and Analgesia, 107(2), 452-458. http://dx.doi.org/10.1213/ane.0b013e31817b842c 

  29. Yang, S. Y., Kim, Y. H., Kang, P. S., & Yoon, S. H. (2003). The effect of anaesthetic technique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undergoing gynecologic laparoscop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5(3), 332-338. 

  30. Yoo, T. W. (2008). Seokeum therapy lecture. Seoul: Koryo Sooji Chi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