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대학생 흡연자의 금연 생각과 금연의도가 건강증진행위와 우울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Pathway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HPB) and Depression Cognitive Scale(DCS) on Smoking Cessation Thoughts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of College Students who Smok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4, 2013년, pp.1830 - 1840  

김희정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주세진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김경숙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김미옥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유미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최정현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흡연 대학생의 금연 생각과 금연 의도, 건강증진행위와 우울인지를 파악하고 금연생각과 금연의도, 건강증진행위, 우울인지의 경로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2012년 4월 천안시 소재 N대학에 재학 중인 흡연 대학생 160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금연에 대한 관심/욕구는 금연생각, 금연의도,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전공에 따라 금연의도(p=.034)와 건강증진행위(p=.044)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대안 모형의 경로는 금연의도는 건강증진위를 매개로하여 우울인지에 영향을 주고 금연생각은 우울인지에 영향을 주는 경로 모형이다. 대안 모형의 적합도${\chi}^2$ 1.172, p.279로 GFI .996, RMSEA .033, CFI .998, NFI .987로 나타났고 금연의도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유의하게 높아지며 건강증진행위가 높을수록 우울인지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연생각이 높을수록 우울인지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set a pathway on smoking cessation behavior and to verify it by an analysis of the students who smoke.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an analysis of the data of 160 students at N universi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who desired to qui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금연을 통한 대학생의 건강증진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고, 자료 분석 결과에 따라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자료수집에 앞서 본 연구자와 연구 보조원이 대상자에게 연구 목적, 비밀유지, 그리고 설문과정동안 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철회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였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학생 대상자에 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참여 동의서에는 대상자의 익명성과 비밀보장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 흡연자에 대한 금연생각과 금연의도가 건강증진행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 모형을 설정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그러므로 금연생각, 금연의도, 건강증진행위, 우울이 서로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대학생 흡연자가 가지고 있는 금연생각과 금연의도를 확인하고, 금연생각과 금연의도, 건강증진행위, 우울인지가 어떠한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그 경로를 파악한 후 각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여 금연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흡연 대학생의 금연 생각과 금연 의도, 건강증진행위와 우울인지를 파악하고 금연생각과 금연의도, 건강증진행위, 우울인지의 경로를 검증하기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며 흡연예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금연생각 2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금연생각은 무엇인가? 그러나 이는 금연을 통해 많은 질병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1-3]. 금연생각은 금연을 하면 흡연으로부터 야기되는 질병들을 예방할 수 있다는 신념으로[4], 금연생각은 실제 금연행위로 이어져서 흡연과 관련된 질병을 예방하여 인간의 삶의 질을 증진할 것으로 추론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성인흡연율은 주춤하는 추세이나 청소년과 여성의 흡연율이 증가하고 있어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높은 흡연율을 나타내고 있다.
대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인간의 죽음과 질병, 불구를 초래하는 건강문제는 젊은 시절부터 흡연, 음주 등의 건강위해행위를 최소화하거나 식이조절과 같은 건강증진행위를 하는 것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11].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 초기 성인기에 있는 대학생들은 억압된 고등학교의 학습 환경으로 부터의 해방과 자유로운 삶에서 나태하고 유해로운 환경들을 받아들이며 건강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12]. 그리고 건강을 위협하는 뚜렷한 증상이 생기지 않는 청소년기의 특성으로 인해 건강관리에 대한 불감증을 가지고 있으며, 건강증진행위를 거의 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으므로[13] 이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중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흡연자는 비흡여자에 비해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흡연은 각종 암과 심혈관계 및 뇌혈관계 질환을 일으키고 사망률을 높이는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폐, 구강 등 여러 기관의 암뿐 아니라 만성 폐질환,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등 각종 질병의 발생빈도가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흡연과 관련된 폐암, 뇌졸중, 및 심혈관 질환 사망자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흡연에 의한 연간 사망자 수는 2005년의 540만명에서 2015년에는 83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H. R. Song, C. H. Kim, Epidemiology of the smoking-related disease in korea,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9, 563-571, 2008. 

  2. D. M. Burns. Nicotine addition(15th ed) in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New York: McGraw-Hill. 2001. 

  3. C. D. Mathers, D. Loncar, Projections of global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from 2002 to 2030, PLOS Medicine, 3, (11), e442, 2006. DOI: http://dx.doi.org/10.1371/journal.pmed.0030442 

  4. H. W. Lee, The effect of campaign message types and involvement on male college student' intention to quit smoking: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5. 

  5. Korean Association of Smoking & Health, List of Korean youth smoking and actual condition. Retrieved December 10, 2009, From: http://www.kash.or.kr/user_new/psd_wiew.asp.(accessed Sep., 10, 2012) 

  6. H. Y. Ahn, A study of the smoking cess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self efficacy, health locus of contr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7, 371-382, 2001. 

  7. D. J. Hennrikus, R. W. Jeffery, H. A. Lando, The smoking cessation process: Logitudinal observation in a working population, Preventive Medicine, 24, 235-244, 1995. DOI: http://dx.doi.org/10.1006/pmed.1995.1039 

  8. J. D. Sargent, L. A. Mott, M. Stevens,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in adolescent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s Medicine, 152, 388-393, 1988. 

  9. H. R. Choi, J. Y. Kim, K. B. Kim, S. S. Hwang, The smoking patterns in the family physicians.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6, 347-361, 1995. 

  10. S. N. Walker, K. R. Sechrist,, N. J. Pender,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 (2), 76-78, 1987.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School health and young health promotion, Retrieved December 23, 2008, from http://www.who.int/school_youth_health/en/ 

  12. M. R. Song, K. A. Park, An effect of the health education for health promotion o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 (2), 298-307, 2001. 

  13. Y. H. Kim, M. S. Jong, J. A. Lee, Stud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determinant of nursing students.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16, 285-303, 2002. 

  14. Y. J. Park, S. J. Lee, E. S. Park, H. S. Ryu, J. W. Lee, S. O. Chaun, A meta analysis of explonatory variabl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4), 836-846, 2000. 

  15. K. L. Preston, G. W. Greene, P. A. Irwin, An assessment of college health nursing practice: A wellness perspective, 7, (2), 97-104, 1990. 

  16. E. Y. Do, I. S. Cho, Comparison of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depression between korean and foreign students at a women's university,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 161-168, 2009. 

  17. J. S. Kim, S. O. Lee, Differences in processe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situational temptation and commitment to quitting smoking across the smoking cessation stag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 825-838, 2010. 

  18. T. S. Kim, D. J. Kim,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8, 393-398, 2007. 

  19. N. H. Park,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smoking drinking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 123-136, 2005. 

  20. J. P. Yu,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cept and understanding, Seoul: Hannarae Academy, 2012. 

  21. I. Ajzen.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J. kuhl & J. Beckman (Eds), Action 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Heidelberg: Springer, 1985. 

  22. S. N. Walker, D. M. Hill - Polerrcky,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1996. 

  23. S. Y. Yeun, J. H. Kim,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oring industry: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Korean Journal of Ocupational Health nursing, 8, 130-140, 1999. 

  24. J. A. Zauszniewski. The depressive cognition scale: Further psychometric evaluation, 1997 

  25. E. J. Yeun, Y. M. Kwon. J. A. Kim, Psychometric Testing of the Depressive Cognition Scale in Korean adults, Applied Nursing Research, 25, (4), 264-270, 2011 DOI: http://dx.doi.org/10.1016/j.apnr.2011.04.003 

  26. M. Reuben,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a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6), 1173-1182, 1986.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51.6.1173 

  27. J. S. Yoo, A diagnostic study on the variables related to smok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based the PRECEDE model,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 (2), 266-276, 2007 

  28. T. Y. Hwang, J. J. Lee, K. S. Kang, S. K. Kim, Drinking and its relationship with smo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2, (2), 97-105, 2007. DOI: http://dx.doi.org/10.5393/JAMCH.2007.32.2.097 

  29. B. Thompson, G. D. Coronado, L. Chen, L. A. Thompson, J. C. Hymer, A. K. Peterson, Preferred smoking policies at 30 Pacific northwest colleges, Public Health Reports, 121, (5), 586-593, 2006. 

  30. M. S. Kim, A stud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moking knowledge, smoking attitude,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344-352, 2005. 

  31. N. H. Park,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Nicotine Dependency, Temptation, Self-esteem, Depression in Adolescents Who Sm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8, (1), 1-8, 2012. DOI: http://dx.doi.org/10.4094/jkachn.2012.18.1.1 

  32. S. A. Kang, S. E. Kim, J. M. Kim, M. H. Lee, S. Y. Lee, Y. L. Lee. et al., The article about actual state of smoking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depression: some universities in Seoul, Journal of Nursing, Ewha, 43, 61-73,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