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미각인지역치, 타액분비량이 DMFT, OHIP-14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ult's Taste Recognition Threshold and Salivary Flow Amount on DMFT and OHIP-14 depending on Oral Health Behavio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5, 2013년, pp.2234 - 2243  

김기욱 (포항대학교 치위생과) ,  민경진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초록

이 연구는 대구지역 40대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6단계의 용액을 이용하여 미각인지역치(단맛, 짠맛, 신맛, 쓴맛), 흡습지를 사용하여 타액분비량을 측정하여 DMFT index와 OHIP-14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구강보건실천은 미각인지역치에, 식습관은 타액분비량에 영향을 주고, 미각인지역치 중 단맛과 신맛, 그리고 타액분비량은 DMFT index에 영향을 주어 구강건강상태가 좋으면 OHIP-14도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강보건실천도와 식습관이 좋은 사람이 미각과 타액분비량, DMFT index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OHIP-14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강보건실천도를 높여 미각인지역치 감수성을 높이고 식습관을 개선하여 타액분비량을 증가시켜 DMFT index를 감소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지금까지는 개인의 미각인지역치 수준의 평가 없이 일률적인 식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구강보건교육 시 대상자의 미각인지역치를 측정하여 알려줌으로써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using a six-step solution for taste recognition threshold and using a Wet-Test for salivary flow amount of the adults who reside in Daegu area and are more than their 40's ol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MFT index and OHIP-14. The study result rev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미각인지역치와 타액분비량이 치아우식증의 발병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상관성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구강건강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 사용되어지는 구강보건행태(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신념, 구강보건실천, 식습관)를 조사하고 타액분비량, 미각인지역치, 우식경험영구치지수(number of decayed missing and filled teeth: 이하 DMFT index라고 한다)를 검사하여 구강건강영향지수(Oral Health Impact Profile: 이하 OHIP-14라고 한다)와의 상관성을 연구함으로써 구강질병 및 구강건강증진프로그램개발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나 기존의 구강보건 분야의 연구는 구강보건행태와 구강질병에 관한 연구는 많았으나, 개인의 미각의 상태가 치아우식에 미치는 상관성 연구는 부족하였다. 미각인지역치가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주는 한 요인으로, 미각인지역치에 구강보건실천도가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주목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이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 이 연구는 대구지역 치과의원(3곳)에 방문한 40대 이상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미각인지역치와 타액분비량이 DMFT index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구강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에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모형의 분석결과를 보면 잠재변수 11개와 관측변수 20개는 서로 양(+)과 음(-)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극성 타액분비량 채취에 있어 단점은? 자극성 타액분비량이란 자극을 가해서 얻어진 타액의 량을 말하며, 파라핀 왁스나 무설탕 껌을 씹어 타액을 채취한다. 이 방법은 기구의 준비가 번거롭고, 타액을 모으는 시간이 5분 이상 소모되며, 대상자가 타액 채취 시 거부감이나 혐오감을 느낄 수 있다. 최근 이웅[32]의 연구에서 자극성 타액분비량과 흡습지를 이용한 측정치간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 연구에서는 흡습지를 이용하여 타액분비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김 재곤 등[14]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미각기능이 최고조에 이르는 시기는? 미각은 20∼30대 연령에서 미각기능이 최고점에 이르고[6], 40대 이후부터 미각 이상 유병률이 높아지며 특히 여성에서 더 두드러진다고 보고되고 있다[7]. 미각의 이상은 음식물의 섭취량과 선택의 변화를 가져와 영양장애나 질병유발을 일으키고[8], 감소된 미각 민감도를 보상 받기위해 특정 맛의 섭취가 많아져 치아우식증 등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9].
미각의 이상은 어떤 변화를 일으키나? 미각은 20∼30대 연령에서 미각기능이 최고점에 이르고[6], 40대 이후부터 미각 이상 유병률이 높아지며 특히 여성에서 더 두드러진다고 보고되고 있다[7]. 미각의 이상은 음식물의 섭취량과 선택의 변화를 가져와 영양장애나 질병유발을 일으키고[8], 감소된 미각 민감도를 보상 받기위해 특정 맛의 섭취가 많아져 치아우식증 등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9]. 특히, 노인에게 발생하는 미각장애는 영양상태의 불균형과 다른 전신질환이 생기면 회복이 어려워지므로 중요한 문제로 생각 되어져야하며[10], 미각은 개인의 건강유지와 특정질환의 증상으로도 나타날 수 있어 임상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Jong-Wook Baek, Aun-Mi No, The Effect of Oral Health of the Elderly on their Social Efficacy and Personal Relations, Clinical Social Work 7, no. 3, 1-16, 2010 

  2. Hye-Young Kim, Young-Min Park, Seungil Lee , Yongtak Lee, Do-Seon Lim. young-ho Jang, Man-duk Han, Yang-geum Han, Orai Physiology, Komoonsa, Seoul Korea, 2009 

  3. D. Locker, D. Matear, M. Stephens, A. Jokovic.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a population of medically compromised elderly people, Community Dental Health 19, 90-97, 2002 

  4. Myung-Suk Shi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bit of Eating between Meals and Their Dental Care Condition and Their Dental Caries' Bullletion of Dongnam Health College 21, no. 1, 133-143, 2009 

  5. D. A. Leopold, L. Bartoshuk, R. L. Doty, B. Jafek, D. V. Smith, J. B. Snow, Aging of the upper airway and the senses of taste and smell,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ary 100, 287-289, 1989 

  6. K. A. Seiberling, D. B. Conley. Aging and olfactory and taste function. Otolaryngologic Clinics of Narth America 37, 1209-1228, 2004 DOI: http://dx.doi.org/10.1016/j.otc.2004.06.006 

  7. M. Bergdahl, J. Bergdahl. Perceived taste disturbance in adults: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medication. Clinical Oral Investigations 6, 145-149, 2002 DOI: http://dx.doi.org/10.1007/s00784-002-0169-0 

  8. Yong-Han Lee, Jong-Mo Ahn, June-Sang Park, Myung-Yun Ko, Taste of Denture Wearers, ORAL MEDICINE 29, No 4, 311-319, 2004 

  9. A. M. Seiden, H. J. Duncan, D. V. Smith, Office management of taste and smell disorders, Otolaryngologic Clinics of Narthl America 25, 817-835, 1992 

  10. C. Murphy, Nutrition and chemosensory perception in the elderly,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33, 3-15, 1993 DOI: http://dx.doi.org/10.1080/10408399309527607 

  11. Young-Sik Kim, Chang-Lyuk Yoon, Jong-Mo Ahn, Hyun-Ju Lee, Nam-Lee Kim, Bok-Hoon Ahn, San Kim, Tast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28, no. 4, 401-412, 2003 

  12. Ju-Hee Hong, Astudy on Taste Detection Threshold and Taste Recognition Threshold in Normal,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3 

  13. Sung Keun Park, Sun Hee Kim, Kee Woo Cheon, Tae Kap Choi, Changes In Electrical Taste Threshold with Age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23, no. 4, 327-341, 1998 

  14. Jae-Gon Kim, Young-Shin Kim, Byeong-ju Baik, Yeon-Mi Yang, 'Relationship between salivary caries-related tests and Dental Caries', Journal of Korean Acad Pediatr Dent 32, no. 1, 67-74, 2005 

  15. L. M. Screebny, Saliva in health and disease: an appraisal and update,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50, 140-161, 2000 DOI: http://dx.doi.org/10.1111/j.1875-595X.2000.tb00554.x 

  16. A. F. P. Temmel, C. Quint, B. Schickinger-Fischer, T. Hummel, Taste function in xerostomia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a saliva substitute containing carboxymethyl cellulose. Journal of Otolaryngology 34, 116-120, 2005 DOI: http://dx.doi.org/10.2310/7070.2005.04008 

  17. O. Hershkovich, R. M. Nagler, Biochemical analysis of saliva taste acuity evaluation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xerostomia and/or gustatory dusturbances, Archives of Oral Biology 49, 515-522, 2004 DOI: http://dx.doi.org/10.1016/j.archoralbio.2004.01.012 

  18. A. H. Friedlander, The physiology, medical management and oral implications of menopause. Journal of American Dental Association 133, 73-81, 2002 

  19. Sang-chul Yoon, Yun-Kyung Hur, Jae Kap Choi, Suprathreshold Taste Intensities for Salt, Sucrose, Citric Acid, and Quinine HCl in Elderly Korean Wom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32, no. 4, 383-396, 2007 

  20. Sun Hee Kim, Yun-Kyung Hur, Jae-Kap Choi, Suprathreshold Taste Intensities for Sucrose, NaCl, Citric Acid, and Quinine HCl in Young Koreans and the Influence of Sex, Taste Preference, and Smok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30, no. 2, 149-162. 2005 

  21. Jeong Kyu Oh,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es of patients with Dry Mouth,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2 

  22. Jae-Kap Choi, Yun-Kyung Hur, Taste Detection Thresholds in Burning Mouth Syndrom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29, no. 2, 127-133, 2004 

  23. Sun Hee Kim Sung-Yong Jang, Jae-Kap Choi, Taste Preference and Whole-mouth Taste Threshold in a Korean Population in the Age of the 3rd Decad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28, no 4, 413-425, 2003 

  24. Jeong-Hee Choi, Relation between food in take and self-recognition of major oral disease on the Korean adults,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2008 

  25. G. D. Slade,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short-form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5, 284-290, 1997 DOI: http://dx.doi.org/10.1111/j.1600-0528.1997.tb00941.x 

  26. Gi-Ug Kim, Kyong-Jin Min., The impact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Level on Degree of Patients' Knowledge about Dental Hygien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 no. 4, 717-721, 2009 DOI: http://dx.doi.org/10.5762/KAIS.2009.10.4.717 

  27. Ji-Hwa Kim, Kyong-Jin Min, Research about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life, Oral Health and Total Health of adults, Journal of Korean Soc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 no. 2, 31-46, 2008 

  28. R. P. Warren, C. Pfaffmann, Early experience and taste aversion, Journal of Comparative and Physiological Psychology 52, 263-271, 1959 DOI: http://dx.doi.org/10.1037/h0047655 

  29. Jong Yun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habits of parents of students and children's dental carie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2004 

  30. Bok Yeon Won, Daejeon City elementory school children's eating habits and the twwth caries regarding research,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23, no. 5, 43-44, 1999 

  31. T. A. Marshall, B. Broffitt, J. Eichenberger-Gilmore, J. J. Warren, M. A. Cunningham, S. M. Levy, The roles of meal, snack, and daily total food and beverage exposures on caries experience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istry 65, 166-173,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752-7325.2005.tb02807.x 

  32. Woong Lee, A clinical study on measuring method of the salivary flow,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2010 

  33. Young Sik Cho, Soon Ryun Lim, Hye Rim Hwang, Original :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OHQoL) and Oral Health Outcome in Adults over 50 Years Old,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1, no. 4, 305-310, 2011 

  34. B. J. Cowart, Relationship between taste and smell across the adilt life span,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561, 39-55, 1989 DOI: http://dx.doi.org/10.1111/j.1749-6632.1989.tb20968.x 

  35. Geun Hye Lim, Clinical Investigations in Patients with Taste Disorder, Department of Medicine Th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09 

  36. Gi-wook Kim, Effect of Adults' Oral Health Behavior on Taste Recognition Threshold, Salivary Flow, and OHIP-14,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