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물용량계산 학습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 Drug Dosage Calculation Learning Smartphone Applic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5, 2013년, pp.2251 - 2261  

김명수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  박정하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들의 약물용량계산 능력을 개발, 증진하기 위해 학습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충분한 자료를 근거로 콘텐츠를 구성한 후에 교육용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과정으로 개발하였고, 전문가 집단에 의해 평가받았다. 간호대학생 37명을 대상으로 4주간의 중재 후, 참여도에 따른 자료를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정도에 따라 학습목표의 성취도(${\chi}^2$=10.90, p=.004), 업무 적용도(Z=2.86, p=.004), 수학적 자신감은 유의하게 증진(Z=3.07, p=.002)되었으나, 학업적 효능감에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은 간호 대학생들의 약물용량계산 능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용 프로그램이라 여겨지나, 보다 효과적으로 약물계산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업적 효능감을 높이고, 참여를 적극적으로 격려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learning smartphone application for improving drug dosage calculation ability of nursing students. We evaluated the contents based on the 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and developed the process for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기존의 약물용량계산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살펴보면 계산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단편적으로 개발[25]되었기 때문에 간호 대학생들의 약물용량계산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키는 교육적인 역할로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지식향상과 기술개발을 위해 개인의 수준과 능력에 맞추어 스스로 학습단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위한 약물계산 훈련용 콘텐츠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을 개발하고, 사용자들의 변화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약물계산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 적용한 연구의 2차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특성은 약물용량계산 학습용 콘텐츠를 충분한 자료를 근거로 개발하였다는 점과 이 콘텐츠를 학습자의 흥미도, 학습수준, 학습지속성 등을 고려한 교육용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는 두 가지 점에서 의의가 있으므로, 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현재 국내의 약물용량계산과 관련된 교육용 자료들은 구체적인 학습목표나 충분한 자료제시가 부족하다는 분석 하에 국내외의 약리학 및 간호학 교재, 문제집, 약물계산 학습 프로그램, 연구논문 등을 고찰한 뒤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량계산문제들을 교수자료 콘텐츠로 개발하였다[22].
  • 본 연구에서는 간호 대학생들의 약물용량계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수자료를 콘텐츠로 개발하고 학습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한 후 참여도에 따른 교육에 대한 반응도, 학습목표성취도, 업무 유익성, 업무의 적용도를 확인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정도에 따라 학습목표의 성취도, 업무 적용도, 업무의 유익성 중 수학적 자신감은 유의하게 증진되었으나, 업무의 유익성 중 학업적 효능감에는 차이가 없었다.
  • 이와 같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약물용 량계산문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시공간의 제약없는 자기주도적 학습환경을 조성한다면, 더 많은 학습기회를 부여할 수 있어 능률적으로 학생들의 약물계산역량을 높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간호 대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약물용량계산 기술을 개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임상에서 사용되는 실제적인 약물용량 계산 교수자료를 콘텐츠로 개발하고, 시공간의 제약없이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한 뒤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활용성과 효과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 대학생을 위한 약물계산 훈련용 콘텐츠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을 개발하고, 사용자들의 변화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1) 간호 대학생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 및 시스템을 개발한다. 2)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간호 대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반응도, 학습목표 성취도, 업무 유익성, 업무의 적용도의 변화를 평가한다.
안전한 투약을 위해 모든 간호사가 갖추어야할 핵심역량은? 정확한 약물용량계산 능력은 안전한 투약을 위해 모든 간호사가 갖추어야할 핵심역량이다. 투약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간호사와 간호 대학생의 약물계산기술 역량을 평가한 결과[1] 실제적인 약물계산역량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고[2] 이로 인해 실무에서의 투약오류 유발 위험은 상대적으로 높고, 환자에게 미칠 잠재적․실질적 위해 또한 작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3].
간호사와 간호 대학생의 약물계산기술 역량을 평가 결과는? 정확한 약물용량계산 능력은 안전한 투약을 위해 모든 간호사가 갖추어야할 핵심역량이다. 투약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간호사와 간호 대학생의 약물계산기술 역량을 평가한 결과[1] 실제적인 약물계산역량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고[2] 이로 인해 실무에서의 투약오류 유발 위험은 상대적으로 높고, 환자에게 미칠 잠재적․실질적 위해 또한 작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3]. 약물 용량계산 능력은 단기간의 성취가 어려워 간호교육기관은 정규교육과정에서부터 간호학생들이 약물계산지식과 기술을 갖추도록 교육과 훈련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Nursing Midwifery Council., "Guidelines for the Administration of Medication", NMC, London, 2004. 

  2. Grandell-Niemi, H., Hupli, M., Leino-Kilpi, H., & Puukka, P., "Medication calculation skills of nurses in Finland",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2, pp. 519-528, 2003. DOI: http://dx.doi.org/10.1046/j.1365-2702.2003.00742.x 

  3. McMullan, M., Jones, R., & Lea, S., "Patient safety: numerical skills and drug calculation 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and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pp. 891-899,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258.x 

  4. Brown, D., "Can you do the math? Mathematic competencies of baccalaureate degre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or, 31(3), pp. 198-100, 2006. 

  5. Wright, K., "An investigation to find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nurses' maths skills", British Journal of Nursing, 13(21), pp. 1280-1284, 2004. 

  6. Kelly, L. & Colby, N.,"Teaching medication calculation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2, pp. 431-432, 2003. 

  7. Kinney, S. & Henderson, D., "Comparison of low fidelity simulation learning strategy with traditional lecture",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4(2), pp. 15-18, 2008. DOI: http://dx.doi.org/10.1016/j.ecns.2008.06.005 

  8. McMullan, M., Jones, R., & Lea, S., "The effect of an interactive e-drug calculations package on nursing students' drug calcul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80, pp. 421-430, 2011. DOI: http://dx.doi.org/10.1016/j.ijmedinf.2010.10.021 

  9. Walsh, K. A., "The relationship among mathematics anxiety, beliefs about mathematics,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performance in associate degree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9, pp. 226-229, 2008. 

  10. Kim, J. H., Kim, K. W., Kim, K. S., Kim, I. O., Kim. J. H., Park, K. H. et al., "Introduction to clinical pharmacology", Kyonggi: Jungmoongak, 2008. 

  11. Andrew, S., Salamonson, Y., & Halcomb, E. J. "Nursing students' confidence in medication calculations predicts math exam performance," Nurse Education Today, 29, pp. 217-223, 2009.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08.08.005 

  12. Shockley, J. S., McGurn, W. C., Gunning, C., Graveley, E., & Tillotson, D., "Effects of calculator use on arithmetic and conceptual skill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8, pp. 402-405, 1989. 

  13. Calliari, D., "The relationship between a calculation test given in nursing orientation and medication errors",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26, pp. 11-14, 1995. 

  14. Kim, M. J., & Hwang, J. H., "Study on the Edutainment Contents of Mobile-focused on domestic and foreign cas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15, pp. 79-87, 2007. DOI: http://dx.doi.org/10.3938/jkps.50.79 

  15. Lee, S. H., "Smartphone and engineering education : Smartphone and university education : 2.0",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17(2), pp. 10-13. 2010. 

  16. Pyo, M. Y., Kim, J. Y., Sohn, J. O., Lee, E. S., Kim, H. S., Kim, K. O. et al., "The effects of an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training via smartphone's simulation application on nurses' knowledge and learning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2), pp. 228-238, 2012. 

  17. Kirkpatric, D. L., & Kirkpatric, J. D., "Evaluating training program", Berrett-Koehler, 1998. 

  18. Nguyen, T. D., Attkison, C. C., & Stegner, B. L. "Assessment of patient satisfaction: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a service evaluation questionnaire,"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6, pp. 299-314, 1983. DOI: http://dx.doi.org/10.1016/0149-7189(83)90010-1 

  19.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pp. 663-671, 1982. DOI: http://dx.doi.org/10.2466/pr0.1982.51.2.663 

  20. Jung, T. H., "Analysis of the effects of commitment and motivational factors of class time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987. 

  21. Hanna, D., Shevlin, M., & Dempster, M., "The structure of the statistics anxiety rating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UK psychology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5, pp. 68-74, 2008. DOI: http://dx.doi.org/10.1016/j.paid.2008.02.021 

  22. Kim, M. S., Kim, Y. H., Kim. J. S., Park, K. Y., & Park. J. H., "Application of clinical medicine", Kyonggi: Soomoonsa, 2012. 

  23. Wright K., "Resources to help solve drug calculation problems". British Journal of Nursing. 18(14), pp. 878-880, 2009. 

  24. Franko, O. I, & Tirrell, T. F., "Smartphone app use among medical providers in ACGME training programs". Journal of Medical Systems, 36, pp. 3135- 3139, 2012. DOI: http://dx.doi.org/10.1007/s10916-011-9798-7 

  25. Brooks, Deborah., "Smart phone applications reviews". Nephrology Nursing Journal, 39(2), pp. 147-149, 2012. 

  26. Black, R. L., "Pharmacology instruction: A game approach for student". Nurse Educator, 17(2), pp. 7-8, 1992. DOI: http://dx.doi.org/10.1097/00006223-199203000-00006 

  27. Kim. S. J., & Kim. K. S., "Design and implementation learning English words smart-phone appli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android platform by focus on form",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6(2), pp. 223-231, 2012. 

  28. Lee, C. J., "A study on the smart phone user : focused on acceptance factors and usage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011. 

  29. Lee, S. S. "Effects of a smart phone based English study program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11. 

  30. Choi, H. J,.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learning system to improve arithmetical operations for low achiev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2012. 

  31.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Advances in 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1, pp. 139-161, 1978. DOI: http://dx.doi.org/10.1016/0146-6402(78)90002-4 

  32. Kim, B. M. "Analysis of mathematical learning based the ICT-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16, pp. 657-687, 2012. 

  33. Bayne, T., & Bindler, R.,. "Medication calculation skills of registered nurses",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19, pp. 258-262, 19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