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및 생명존중의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6 no.2, 2013년, pp.80 - 89  

강정화 (삼육대학교대학원) ,  한숙정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및 생명존중의지에 대해 조사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수도권 소재 10개 종합병원 중환자실 근무 간호사 중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서면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2009년 1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3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23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Inumiya(2002)가 개발한 사생관척도 중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생명존중의 4개요인 총 6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ANOVA, Pearson's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죽음의미 이해 정도는 7점 만점에 평균 4.27점이었고, 죽음의 긍정적 의미(평균 4.18점)보다 부정적 의미(평균 4.38점)에 대한 이해가 더 높았다. 죽음불안은 평균 4.43점, 죽음관여도는 평균 4.12점, 생명존중의지는 평균 4.18점이었다. 죽음의미는 죽음불안, 죽음관여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죽음의 긍정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 생명존중의지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불안은 죽음관여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생명존중의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관여도는 생명존중의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중환자실 신규간호사는 경력간호사에 비해 죽음의미 이해 정도가 낮고, 죽음불안과 죽음관여도가 높으며 생명존중의지가 낮으므로, 죽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정립하여 임종환자 및 가족을 간호하는 역할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investigated how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understand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Methods: From November 2009 through February 2010, a survey was conducted on 230 nurses working at the ICU of 10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중환자실 간호사가 가진 죽음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가에 따라 죽음을 대면한 환자가 적극적인 자세로 죽음의 의미를 추구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간호사가 죽음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느냐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그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Inumiya(23)가 개발한 사생관 척도(view of life and death scale)의 하위 변인인 죽음의미(죽음의 긍정적 의미, 죽음의 부정적 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죽음관심, 죽음수용), 생명존중의지(장기기증의도, 자살억제의지, 중절억제의지)를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사하고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립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음불안이란? 죽음이라는 사건과 죽어 가는 과정에 대해 인간이 보이는 공포, 혐오감, 파멸감, 거부, 부정 등의 부정적 감정을 유발하는 심리적 과정으로(23), 본 연구에서 Inumiya(23)가 개발한 죽음불안에 관한 10개의 문항으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개발 당시의 Cronbach’s α=0.
죽음의미란? 죽음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이해하는 것으로, 죽음의 긍정적 의미는 자신의 삶이 끝나는 것을 이해하고, 죽음을 준비하고 그것을 인정하는 것이며(24), 죽음의 부정적 의미는 생의 영속만을 원하며, 죽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죽음에 대해 언급하기를 원치 않고 자신이 언젠가 죽으리라는 것을 생각하지 않는 경향을 말한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Kang ES, Song HH, Suh YA. Attitude on death and hospice of hospital personnel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998;7:60-80. 

  2. Lee HJ. A study on nurse's attitude toward death and hospice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 2002. Korean. 

  3. Lee MY. Responses of nurses and patients about spiritual care. J Cathol Med Coll 1983;36:339-348. 

  4. Ro YJ, Han SS, Ahn SH, Kim CG. Hospice & death. Seoul: Hyunmoon;1997. 

  5. Pincus L. Death and the family. IB Lee, Trans. Seoul:Kohyangsungwon; 1979. 

  6. Chun SC, Kim CJ, Choi OS, Yoo JS, Jun KA. Attitudes of nursing student and nurses towards death and the dying patient. J Nurs Sci 1976;1:117-146. 

  7. Kim HR. A study on the attitudes toward the death of nurses who experienced nursing the dying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 1995. Korean. 

  8. Kim S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sive care unit nurses' death percep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 2011. Korean. 

  9. Lee KH, Kwon HJ. An analytical study on the major obstacles in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Off J Res Sci Korea 1983; 15:99-107. 

  10. Lee WH, Lee YJ. Hospice volunteer's perception of death. Korean J Hosp Palliat Care 1999;2:101-108. 

  11. Cha YR. A study on the nurses' attitude to death in Koreacentering on university hospital in Jeollabuckdo province [master's thesis]. Iksan: Wonkwang Univ.; 2006. Korean. 

  12. Ryoo KJ. A study on the attitudes toward death - for nursing care of the terminally III. J Nurs Acad Soc 1974;4:162-178. 

  13. Im DS. A study on nursing profession and attitudes toward death of nurses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 2004. Korean. 

  14. Eo DY. Nurse's death anxiety and attitude concerning hospice care [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v. of Busan.; 2010. Korean. 

  15. Park SJ. A study on the degree of death orienta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1996;3: 285-297. 

  16. Yoon YA. Clinical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end of life care stress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 2010. Korean. 

  17. Park Y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 to death in hospice nurses [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v. of Busan.; 2011. Korean. 

  18. Cho YC. 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 2011. Korean. 

  19. Noh SS. A study on death perception, terminal care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 2010. Korean. 

  20. Kim MJ. A study on intensive care unit nurses'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s death [master's thesis]. Seoul: Kyunghee Univ.; 2007. Korean. 

  21. Jeon MH. Recognition among nurses and doctors about the death in ER & ICU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08. Korean. 

  22. Ham KS.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dying children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Seoul: Hanyang Univ.; 2008. Korean. 

  23. Inumiya Y. A study on development of a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and relationships among its element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 2002. Korean. 

  24. Chang MR. Attitudes toward death in the aged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 1981. Korean. 

  25. Kim JW. Death and life (a study about christian death understanding) [master's thesis]. Seoul: Catholic Univ.; 1982. Korean. 

  26. Kim SY. A study on the leisur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the urban areas [master's thesis]. Seoul: Sookmyung Women's Univ.; 2000. Korean. 

  27. Ahn HR. Determinants of the attitude toward death in the aged of the C city and deat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999;8:44-68. 

  28. Park SC. A study on the death orientation of hospice volunteers. J Korean Acad Nurs 1992;22:68-80. 

  29. Chi KA. Influence of spiritual health, mental health and death orientation on the nurse's attitude toward hospice [master's thesis]. Daejeon: Daejeon Univ.; 2004. Korean. 

  30. Ryu HJ. Affect of spiritual health, mental health and perception of death on the nurse's quality of lif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07. Korean. 

  31. Choi YY.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paration for death in elderly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08. Korean. 

  32. Suh HK. The relationships among life satisfaction, locus of control, death anxiety as perceived by Korean and American older adults using selected personal demographic variables [dissertation]. Ohio: Ohio state Univ.; 1987. English. 

  33. Han MJ. Developmental study of death anxiety according to coping style, locus of control and self-esteem [dissertation]. Seoul: Seoul Women's Univ.; 2001. Korean. 

  34. Yang HC. A study on death anxiety of elderly according to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 1991. Korean. 

  35. Woo YW. A study on death anxiety,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ma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 2012. 

  36. Kim SN, Choi SO, Lee JJ, Shin KI.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05;22:141-153. 

  37. Park JE.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the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of the elderly. J Soc Work Pract 2009;8:79-109. 

  38. Kim SH, Kim DH. Nursing students' attitude to death, death-related educ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al need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1;17:407-415. 

  39. Han SO. The ethical attitude related to DNR and attitude to death in a tertiary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Ulsan: Ulsan Univ.; 2010. Korean. 

  40. Kim HK, Nam EM, Lee KE, Lee SN. Awareness and attitude change after end-of-life care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30-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