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투여 방법에 따른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혈중 농도 변화와 항산화 효과 변화

Effect of Administration Method on Blood Garcinia cambogia Concentr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6, 2013년, pp.856 - 860  

박은정 (관동의대 제일병원 가정의학과) ,  김상호 (관동의대 제일병원 가정의학과) ,  김경수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  오한진 (관동의대 제일병원 가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Ca^{2+}/K^+$가 결합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HCA 63%)을 이용하여 투여방법에 따른 혈중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농도 변화와 이에 따른 혈중 항산화 효과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정상군(G1),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2,800 mg/kg b.w.를 단회 투여한 군(G2)과 6시간 간격으로 750, 850, 1,200 mg/kg b.w의 농도로 높여가면서 3회 투여한 군(G3)으로 분리를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단회 고농도 투여한 경우에는 10시간 이후에 혈중에 가르시니아 캄보지아가 분석되지 않은 반면, 3회로 나누어 투여한 경우에는 18시간 후에도 일정 농도 이상으로 지속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6시간 간격으로 3회 투여한 그룹의 동물에서 과산화지질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변화는 없었으나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단회로 고용량 투여한 경우보다 3회로 저용량 투여한 경우에 혈중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일정 농도 이상으로 유지 시켰으며 부분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ministration methods for on Garcinia cambogia on blood Garcinia cambogia concentration and antioxidative levels.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1 (normal group), G2 (one administration of Garcinia cambogia extract 2,800 mg/kg b.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Ca2+/K+이 결합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이용하여 투여방법에 따른 혈중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농 도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농도 변화가 혈중 항산화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과산화지질과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및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을 통하여 확 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는 동남아시아에서 어떤 용도로 사용되어 왔는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는 Cuttiferae 과(科)에 속하는 관목으로 인도와 남부아시아에서 자생하는 열대식물이다. 오래전부터 음식의 신맛을 내는 양념류로 사용되어 왔으며 식품 보존료, 향신료, 그리고 구풍제로서 동남아시아에서 사용되어 왔다(1,2). 특히 과실 껍질에 10~30% 정도 함유되어 있는 hydroxycitric acid(HCA)에 의한 항비만 및 항산화 효능에 대해 기능성이 입증이 되어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3,4).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는 어느 지역에서 자생하는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는 Cuttiferae 과(科)에 속하는 관목으로 인도와 남부아시아에서 자생하는 열대식물이다. 오래전부터 음식의 신맛을 내는 양념류로 사용되어 왔으며 식품 보존료, 향신료, 그리고 구풍제로서 동남아시아에서 사용되어 왔다(1,2).
HCA는 어떤 물질과 화학적 구조가 유사한가? 특히 과실 껍질에 10~30% 정도 함유되어 있는 hydroxycitric acid(HCA)에 의한 항비만 및 항산화 효능에 대해 기능성이 입증이 되어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3,4). HCA는 오렌지 등의 신맛의 과일에 함유되어 있는 citric acid와 화학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물질로서 미토콘드리아 내부에서 pyruvate로부터 생성된 citrate가 oxaloacetate와 acetyl-CoA로 분해되는 것을 촉매 하는 효소인 adenosine 5'-triphosphate(ATP) citrate lyase 의 경쟁적 억제자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HCA의 작용으로 acetyl-CoA pool이 감소하므로 결과적으로 세포에서 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의 합성이 제한되어 체내 지방 축적을 억제시킨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ullivan AC, Triscari J, Spiegel JE. 1977. Metabolic regulation as a control for lipid disorders. II. Influence of (-)-hydroxycitrate on genetically and experimentally induced hypertriglyceridemia in the rat. Am J Clin Nutr 30:777-784. 

  2. Ohia SE, Opere CA, LeDay AM, Bagchi M, Bagchi D, Stohs SJ. 2002. Safety and mechanism of appetite suppression by a novel hydroxycitric acid extract (HCA-SX). Mol Cell Biochem 238: 89-103. 

  3. Kolodziejczyk J, Masullo M, Olas B, Piacente S, Wachowicz B. 2009. Effects of garcinol and guttiferone K isolated from Garcinia cambogia on oxidative/nitrative modifications in blood platelets and plasma. Platelets 20: 487-492. 

  4. Amin KA, Kamel HH, Abd Eltawab MA. 2011. Protective effect of Garcinia against renal oxidative stress and biomarkers induced by high fat and sucrose diet. Lipids Health Dis 13: 6. 

  5. Jena BS, Jayaprakasha GK, Singh RP, Sakariah KK. 2002.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hydroxycitric acid from Garcinia. J Agric Food Chem 50: 10-22. 

  6. Sullivan AC, Singh M, Srere PA, Glusker JP. 1977. Reactivity and inhibitor potential of hydroxycitrate isomers with citrate synthase, citrate lyase, and ATP citrate lyase. J Biol Chem 252: 7583-7590. 

  7. Sterling GH, McCafferty MR, O'Neill JJ. 1981. ${\beta}$ -Hydroxybutyrate as a precursor to the acetyl moiety of acetylcholine. J Neurochem 37: 1250-1259. 

  8. Ricny J, Tucek S. 1982. Acetylcoenzyme A and acetylcholine in slices of rat caudate nuclei incubated with (-)-hydroxycitrate, citrate, and EGTA. J Neurochem 39: 668-673. 

  9. Downs BW, Bagchi M, Subbaraju GV, Shara MA, Preuss HG, Bagchi D. 2005. Bioefficacy of a novel calcium-potassium salt of (-)-hydroxycitric acid. Mutat Res 579: 149-162. 

  10. Halliwell B, Gutteridge JM. 1984. Oxygen toxicity, oxygen radicals, transition metals and disease. Biochem J 219: 1-14. 

  11. Gutierrez RM, Mitchell S, Solis RV. 2008. Psidium guajava: a review of its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J Ethnopharmacol 117: 1-27. 

  12. Masteikova R, Muselik J, Bernatoniene J, Majiene D, Savickas A, Malinauskas F, Bernatoniene R, Peciura R, Chalupova Z, Dvorackova K.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tinctures prepared from hawthorn fruits and motherwort herb. Ceska Slov Farm 57: 35-38. 

  13. Fraga CG, Leibovitz BE, Tappel AL. 1988. Lipid peroxidation measured as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in tissue slices: characterization and comparison with homogenates and microsomes. Free Radic Biol Med 4: 155-161. 

  1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5.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6. Asberg M, Cronholm B, Sjoqvist F, Tuck D. 1971. Relationship between plasma level and therapeutic effect of nortriptyline. Br Med J 3: 331-334. 

  17. Cho SH, Choi YJ, Rho CW, Choi CY, Kim DS, Cho SH. 2008.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ytotoxicity of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sap. Korean J Food Preserv 15:105-110. 

  18. Sanchez-Moreno C. 2002. Review: methods used to evaluat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foods and biological systems. Food Sci Technol Int 8: 121-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