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체감미료를 첨가한 오트밀쿠키의 품질 특성 및 혈당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lycemic Index of Oatmeal Cookies Made with Artificial Sweetene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6, 2013년, pp.877 - 884  

방선권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기초과학연구소 생명과학부 생명과학전공) ,  손은정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기초과학연구소 바이오산업학부 식품영양학전공) ,  김효진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기초과학연구소 바이오산업학부 식품영양학전공) ,  박선민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기초과학연구소 바이오산업학부 식품영양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공감미료인 수크랄로스와 스테비오사이드를 사용하여 쿠키를 만들 때 최적 배합비를 제시하고 품질 특성을 규명하며 제시된 최적의 배합비로 제조된 쿠키의 혈당 강하 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설탕 100%의 쿠키를 대조군으로 하고 실험군 쿠키는 설탕의 비율을 20%, 30%, 40%로 첨가하고 설탕 부족은 수크랄로스와 스테비오스와 한천으로 맞추어 쿠키를 만들어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쿠키 반죽의 밀도와 산도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쿠키의 설탕 첨가량에 따라 굽기 손실량은 수분 손실량으로 인한 것으로 설탕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손실량도 함께 증가하였다. 쿠키의 퍼짐성 지수는 설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설탕량이 많을수록 직경이 감소함에 따라 두께는 증가하였다. 쿠키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는 설탕을 30% 첨가한 쿠키의 명도가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는 100% 설탕 쿠키의 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경도에서는 설탕의 함량이 증가하고 한천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서 positive peak forces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 평가 결과는 외관에서는 30% 설탕 첨가 쿠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향, 맛, 질감에서는 40% 설탕 첨가 쿠키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여주었다. 전체적인 선호도 항목에서는 30% 설탕 첨가 쿠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설탕 대체 감미료와 한천을 첨가한 30~40% 설탕 쿠키가 외관, 향, 맛, 조직감, 선호도에서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실험 결과를 종합해서 볼 때 대체 감미료를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은 설탕을 30% 정도 함유한 쿠키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에 따라 30%의 설탕 첨가 쿠키와 대조군을 50 g 탄수화물로 환산하여 대학생들이 섭취한 후에 0, 1, 2시간 후에 혈당 실험을 실행하였을 때 100% 설탕 쿠키를 대조군으로 하여 실험한 결과 쿠키 섭취 후 1시간이 경과 후 대조군은 27.8 mg/dL, 실험군은 15.7 mg/dL가 증가하였다. 2시간 경과 후에는 대조군의 혈당 수치가 1시간과 비교하였을 때 급격하게 감소하였지만 설탕 30% 쿠키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설탕을 30% 첨가한 쿠키가 품질도 높고 관능검사 시 선호도도 높으며, 열량도 낮고 혈당지수에도 좋은 영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timal composition of sugar and artificial sweeteners in oatmeal cookies. Modified cookies were examined for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lycemic index in humans. Oatmeal cookies with various amounts of sugar (20, 30, or 40%) were made to the equivalent sweetnes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공감미료인 수크랄로스와 스테비오사이드를 사용하여 쿠키를 만들 때 최적 배합비를 제시하고 품질 특성을 규명하며 제시된 최적의 배합비로 제조된 쿠키의 혈당 강하 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설탕 100%의 쿠키를 대조군으로 하고 실험군 쿠키는 설탕의 비율을 20%, 30%, 40%로 첨가하고 설탕 부족은 수크랄로스와 스테비오스와 한천으로 맞추어 쿠키를 만들어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만증, 당뇨 등 성인병 환자들의 저열량 요구성, 기능성 및 품질 개선 요구성에 맞추어 모든 상업적인 과자류의 기본 모델이 되는 설탕 함유 쿠키에 대체 당으로서 수크랄로스, 스테비오사이드 감미료를 적용하여 최적 배합비와 물리적, 관능적 특징과 혈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저열량 기능성 쿠키를 개발하여 고감미료를 제과 산업에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쿠키에서 당과 지방함량이 높은 것에 의한 문제점은 무엇인가? 제과류 중 쿠키는 건과자에 속하고 미생물적인 변패가 적어 저장성이 우수하며, 감미가 높고 맛이 우수하여 현대인, 특히 어린이, 젊은 여성, 노인 등의 주된 간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쿠키의 성분 중 당과 지방은 쿠키의 물리적, 관능적 제조적성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성분이지만 쿠키에는 이들의 함량이 높아서 높은 열량으로 인한 비만, 당뇨병 등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므로 건강에 대한 관심과 함께 저열량 제과 제빵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대체 감미료는 쿠키에 첨가되는 당질계의 대표적 예인 설탕과 유사한 단맛을 지니면서 열량을 전혀 제공하지 않거나 감소시켜 체중 감소에 도움이 되고, 충치와 당뇨병을 예방하는데 이용된다(6).
비당질계 고감미도 감미료로 무엇이 있는가? 이와 때를 맞추어 일각에서는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과 건강의식이 고조되면서 당질 감미료의 기피현상이 일고 있고 사카린(saccharin), 아스파탐(aspartame), 스테비오사이드 (stevioside) 등 각종 비당질계의 고감미도 감미료가 사용되고 있다(3-5). 제과류 중 쿠키는 건과자에 속하고 미생물적인 변패가 적어 저장성이 우수하며, 감미가 높고 맛이 우수하여 현대인, 특히 어린이, 젊은 여성, 노인 등의 주된 간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정한 조건 하에서 쿠키의 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51로 가장 적은 값을 나타내었다. 쿠키의 색은 일정한 조건 하에서 주로 당에 의한 영향이 크고, 환원당에 의한 비효소적 갈변인 Maillard 반응, 열에 불안정한 당에 의한 카라멜화 반응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22). 20%, 30%의 설탕의 첨가한 쿠키의 L값이 100%의 설탕을 첨가한 쿠키의 L 값보다 높은 것은 한천과 설탕 첨가량에 의해서 보다 갈변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Popkin BM, Adair LS, Ng SW. 2012. Global nutrition transition and the pandemic of obesity in developing countries. Nutr Rev 70: 3-21. 

  2. Stanhope KL. 2012. Role of fructose-containing sugars in the epidemics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nnu Rev Med 63: 329-343. 

  3. Miller WC, Niederpruem MG, Wallace JP, Nelson AL. 2000. Sweeteners Alternative. Nelson AL, ed. An Eagan Press, MN, USA. p 25-34. 

  4. Anton SD, Martin CK, Han H, Coulon S, Cefalu WT, Geiselman P, Williamson DA. 2010. Effects of stevia, aspartame, and sucrose on food intake, satiety, and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levels. Appetite 55: 37-43. 

  5. Ministry of Public Health.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Ministry of Public Health, Seoul, Korea. 

  6. Kim SY, Oh DG, Kim SS, Kim CJ. 1996. New artificial sweeteners using free sugar cookies-sugar alcohol and new saccharides. Food Science and Industry 29: 53-61. 

  7. Maersk M, Belza A, Stodkilde-Jorgensen H, Ringgaard S, Chabanova E, Thomsen H, Pedersen SB, Astrup A, Richelsen B. 2012. Sucrose-sweetened beverages increase fat storage in the liver, muscle, and visceral fat depot: a 6-mo randomized intervention study. Am J Clin Nutr 95: 283-289. 

  8. Wiebe N, Padwal R, Field C, Marks S, Jacobs R, Tonelli M. 2011.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 of sweeteners on glycemic response and clinically relevant outcomes. BMC Med 9: 123. 

  9. Zhang F, Klebansky B, Fine RM, Liu H, Xu H, Servant G, Zoller M, Tachdjian C, Li X. 2010. Molecular mechanism of the sweet taste enhancers. Proc Natl Acad Sci U S A 107: 4752-4757. 

  10. Wolf PA, Bridges JR, Wicklund R. 2010. Application of agonist- receptor modeling to the sweetness synergy between high fructose corn syrup and sucralose, and between high-potency sweeteners. J Food Sci 75: S95-S102. 

  11. Choi SY, Jang EG, Hwang YG. 2005.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estimation of shelf-life by Q10 values with mixtures of high-intensity sweeteners for beverag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235-242. 

  12. Kim GS, Park G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98-404. 

  13. Jung EG, Kim KP, Bang B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guava (Psidium guajava L.) leaf powder. Korean J Food & Nutr 25: 317-323. 

  14.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1986. Approved Method of the American Association Cereal Chemists (Method 10-52, First approval 2-24-75; Revised 10-28-81). St. Paul, MN, USA. 

  15. Koh WB, Noh WS. 1997. Effect of sugar particle size and level on cookie sprea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7:159-165. 

  16.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Antioxidant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 541-549. 

  17. Chabot JF. 1976. Preparation of food science sample for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3: 279-283. 

  18. Park BH, Cho HS, Park SY. 2005.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94-102. 

  19. Choi HY, Oh SY, Lee YS.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cook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521-530. 

  20. Miller RA, Hoseney RC, Morris CF. 1997. Effect of formula water content on the spread of sugar-snap cookies. Cereal Chem 74: 669-671. 

  21. Curley LP, Hoseney RC. 1984. Effects of corn sweeteners on cookie quality. Cereal Chem 61: 274-278. 

  22. Bertran GL. 1953. Studies on crust color. The importance of browning reaction in determining the crust color of bread. Cereal Chem 30: 127-132. 

  23. Han YS, Choi W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Dasik containing sugar alcohol and aga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146-154. 

  24. Lee JY, Ju JC, Park HJ, Heu ES, Choi SY, Shin J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amboo leaves powder. Korean J Food & Nutr 19: 1-7. 

  25. Kim JY. 1998. Quality of wet noodle prepared with wheat flour and mushroom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73-1380. 

  26. Lim EJ, Huh CO, Kwon SH, Yi BS, Cho KR, Shin SG, Kim SY, Kim JY. 2009.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leek (Allium tuberosum Rottler) powder. Korean J Food & Nutr 22: 1-7. 

  27. Coulston AM, Hollenbeck CB. 1988. Source and amount of dietary carbohydrate in patien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op Clin Nutr 3: 17-24. 

  28. Alberti KG, Zimment PZ. 1998.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s. Part 1: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provisional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Diabet Med 15:539-553. 

  29. Brand-Miller J, Buyken AE. 2012. The glycemic index issue. Curr Opin Lipidol 23: 62-67. 

  30. Hazan A, Madar Z. 1993. Preparation of a dietary fiber mixture derived from different sources and its metabolic effects in rats. J Am Coll Nutr 12: 661-668. 

  31. Sanaka M, Yamamoto T, Anjiki H, Nagasawa K, Kuyama Y. 2007. Effects of agar and pectin on gastric emptying and post-prandial glycemic profiles in healthy human volunteers. Clin Exp Pharmacol Physiol 34: 1151-11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