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취(Aster scaber Thunb.)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의 지방분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3, 2013년, pp.356 - 363  

최준혁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전공) ,  박윤희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전공) ,  이인선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전공) ,  이삼빈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전공) ,  유미희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연구에서 활성 산소 및 비만에 대한 유전자 발현이 비만과 노화를 촉진시키는 원인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화와 비만의 억제 체계를 규명하려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산야지에 자생하며 농가에서 재배하기도 하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인 참취(Aster scaber Thunb.)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력과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참취 메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7.07{\pm}2.17$, $54.62{\pm}2.24{\mu}g/mg$으로 나타났다. 시료의 DPPH, ABTS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RC_{50}$값이 각각 $22.24{\pm}0.40$, $53.19{\pm}1.61{\mu}g/mL$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참취의 메탄올 추출물이 3T3-L1 전구지방세포에서 분화유도 물질(IBMX, DEXA, Insulin)과 함께 처리했을 때 지방구의 형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이들은 지방세포의 증식 및 분화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및 관련 유전자의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참취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비만에 우수한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nical and preclinical trials of involving drugs with anti-obesity effects have focused on screening for herbal medicines suspected to have anti-obesity activities. In this study, an extract of Aster scaver Thunb., which was prepared in 80% methanol (ASE), was assessed for its total phenol cont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참취 추출물이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Preadipocyte에서 분화를 유도와 동시에 참취 추출물을 0, 10, 50, 100 μg/mL 농도로 처리하고 FBS와 insulin 배지로 갈아 줄 때마다 시료를 같이 처리하여 분화 종료 후 단백질 발현을 조사한 결과는 Fig.
  • 최근 연구에서 활성 산소 및 비만에 대한 유전자 발현이 비만과 노화를 촉진시키는 원인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화와 비만의 억제 체계를 규명하려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산야지에 자생하며 농가에서 재배하기도 하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인 참취(Aster scaber Thunb.)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력과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참취 메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7.
  • 이상의 결과로부터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재배된 참취는 지역별, 품종별로 DPPH, ABTS radical을 제거하는 능력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의 차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고, 참취의 뛰어난 항산화 효과와 더불어 비만 세포 분화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지 확인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Visscher TLS, Seidell JC. The public health impact of obesity. Annu. Rev. Publ. Health 22: 355-375 (2001) 

  2. Spiegelman BM, Flier JS. Obesity and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Cell 104: 531-543 (2001) 

  3. Park MJ. Recent advances in regulating energy homeostasis and obesity. Korean J. Pediatr. 48: 126-137 (2005) 

  4. Ward PA. Mechanisms of endothelian cell injury. J. Lab. Clin. Med. 118: 421-425 (1991) 

  5. Park SJ, Choi JH, Jung YS, Yu MH. Inhibitory effect of Rumex Crispus L. fractio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90-96 (2013) 

  6. Lee YJ, Han OT, Choi HS, Lee BY, Chung HJ, Lee OH.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PineXol^{(R)}$ .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97-103 (2013) 

  7. Wang YW, Jones PJ.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obesity control: efficacy and mechanism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8: 941-955 (2004) 

  8. Darlington GJ, Ross SE, MacDougald OA. The role of C/EBP genes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J. Biol. Chem. 273: 30057-30060 (1998) 

  9. Rosen ED, Hsu CH, Wang X, Sakai S, Freeman MW, Gonzalez FJ, Spiegelman BM. C/EBP $\alpha$ induces adipogenesis through PPAR $\gamma$ : A unified pathway. Genes Dev. 16: 22-26 (2002) 

  10. Rosen ED, Macdougald OA.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inside out. Net. Rev. Mol. Cell Bio. 7: 885-896 (2006) 

  11. Green H, Kehinde O. Spontaneous heritable changes leading to increased adipose conversion in 3T3 cell. Cell 7: 105-113 (1976) 

  12. Kim TJ. Korea Resources Plants IV.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230 (1996) 

  13. Ham SS, Hwangbo HJ, Cui CB, Lee EY, Cho MA, Lee DS. Suppress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ster scaber root on genotoxici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446-471 (2001) 

  14. Kim JH, Kim MK. Effect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Aster scaber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ive capacity in rats. Korean J. Nutr. 32: 540-551 (1999) 

  15. Lim SS, Lee JH. Effect of Aster scaber and Ixeris dentata on contractility and vasodilation of cardiovascular and endothelial cell in hyperlipidemic r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00-307 (1997) 

  16.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stic-phosoho-molybdic compounds as colou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912) 

  17.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000) 

  18. Benzie IF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96) 

  19.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e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2006) 

  20. Roberfroid MB, Van Loo JA, Gibson GR. The bifidogenic nature of chicory insulin and its hydrolysis products. J. Nutr. 128: 11-19 (1998) 

  21. Park CK, Cha JY, Jeon BS, Kim NM, Shim KH. Effects of chicory root water extracts on serum triglyceride and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 (MTP) activit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18-524 (2000) 

  22. Yoo MY, Kim SK, Yang JY. Characterization of an antioxidant from sporophyll of Undaria pinnatifid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2: 307-311 (2004) 

  23. Jeon SM, Lee JY, Kim HW, Lee YM, Jang HH, Hwang KA, Kim HR, Park DS.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Aster scab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197-1204 (2012) 

  24. Yi MA, Kwon TW, Kim JS. Changes in isoflavone contents during maturation of soybean seed. J. Food. Sci. Nutr. 2: 255-258 (1997) 

  25. Shin SO, Shin SH, Ha TJ, Lim SG, Choi KJ, Baek IY, Lee SC, Park KY. Soybean ecological response and seed quality according to altitude and seeding dates. Korean J. Crop. Sci. 54: 143-158 (2009) 

  26. Woo KS, Lee JS, Kang JR, Ko JY, Song SB, Oh BG, Seo MC, Kwak DY, Nam MH. Effects of cultivated area on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rghum (Sorghum bivoor L. Mien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12-1517 (2011) 

  27. Kim SG, Choi JW, Park HJ, Lee SM, Jung HJ.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the flavonoid-rich fraction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Orostachy japonicas in rats. Kor. J. Pharmacogn. 40: 51-58 (2009) 

  28. Graf E, Eaton JW. Antioxidant functions of phytic acid. Free Radical Bio. Med. 8: 61-69 (1990) 

  29. An BJ, Lee JT, Lee SA, Kwak JH, Park JM, Lee JY, Son JH. Antioxidant effects and application as natural ingredients of Korean sanguisorbae officinalis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44-250 (2004) 

  30.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from vegetable produced in Ullung I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 240 (2005) 

  31. Lim MR, Kang SM. The effect of functional foods on the abdominal obesity. J. Cosmetological Sci. 6: 95-104 (2010) 

  32. Cornelius P, MacDougald OA, Lane MD. Regulation of adipocyte development. Annu. Rev. Nutr. 14: 99-129 (1994) 

  33. Rosen ED, Spiegelman BM. Molecular regulation of adipogenesis. Annu. Rev. Cell Dev. Bi. 16: 145-171 (2000) 

  34. Wang ND, Finegold MJ, Bradley A, Ou CN, Abdelsayed SV, Wilde MD, Taylor LR, Wilson DR, Darlington GJ. Impaired energy homeostasis in C/EBP alpha knockout mice. Science 269: 1108-1112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