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폴리스의 구강구취균에 대한 항균성
Antimicrobial Effects of Propolis against Oral Microorganism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3, 2013년, pp.370 - 375  

김상아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현정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강구취균 4종을 국내산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프로폴리스의 농도, 열처리, pH의 변화를 통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P. gingivalis KCTC 5352가 다소 프로폴리스에 저항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그 외의 구강구취균에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프로폴리스의 농도를 조절하여 구강구치균의 민감도를 조사한 결과, 프로폴리스의 농도가 진할 수록 더 빠른 시간에 큰 활성을 보였으며 일반적으로 $0.22mg/{\mu}L$ 농도의 프로폴리스를 첨가하였을 경우 4-6시간 안에 대부분의 균이 사멸하였다. TEM을 통해 프로폴리스가 균의 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살펴보았으며 프로폴리스를 첨가한 균의 세포막이 얇아지면서 붕괴되고 안의 내부물질이 유출되면서 세포가 분해됨을 확인하였다. $0.56mg/{\mu}L$ 농도의 프로폴리스를 사용하여 열처리 후와 pH 조절 후의 프로폴리스의 항균활성을 시험한 결과 열에 안정하지 않고, pH가 높아질수록 활성이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polis is a resinous mixture found in the tree buds, sap flows, and other botanical sources, which is used by honey bees in the construction of their hives. Antimicrobial effects of propolis were evaluated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 S. sobrinus KCTC 3308, S. sobrinus KCTC 5134, and 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인 프로폴리스를 사용하여 구강구취균에 대한 항균능력을 알아보고, 구강구취균의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프로폴리스를 열 처리하거나 pH를 조절함으로써 가공 조건에서의 안정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 mutans에 대해 억제효과가 크다고 보고하였다(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인 프로폴리스를 사용하여 구강구취균에 대한 항균능력을 알아보고, 구강구취균의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프로폴리스를 열 처리하거나 pH를 조절함으로써 가공 조건에서의 안정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폴리스의 일반 성분 중에 어떤 것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어떤 것이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는가? 프로폴리스의 생산은 벌들에 의해 채집되기 때문에 채집 조건에 따라 다르며 프로폴리스의 조성 또한 산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수지 50-55%, 밀랍 30%, 정유 8-10%, 회분 5%, 각종 유기성분, 미네랄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져있으며, 구성성분은 약 150-180여 개의 휘발성 물질과 페놀계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일반 성분 중에는 조지방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섬유가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다(1). 프로폴리스 내에는 각종 유기물과 플라보노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성분 중 플라보노이드는 강력한 항균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프로폴리스는 어떤 물질인가? 프로폴리스(propolis)는 우리나라에서 1995년 식품공전에 등재된 천연물질로 벌집에서 얻어지는 지용성 복합체이며, 식물이 꽃봉오리와 생장점을 보호하기 위해 분비하는 왁스와 수지물질을 모아 벌 자신의 침샘 분비물과 혼합하여 만든 수지성, 점착성, 고무상의 물질이다. 꿀벌은 프로폴리스를 벌집 출입구에 발라 외부로부터 균의 유입을 막기 위해 사용하며, 주로 벌통 내의 표면 틈새에 발라 빗물과 냉기를 막았으며 벌집 전체 구조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한다.
프로폴리스의 조성은 일반적으로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꿀벌은 프로폴리스를 벌집 출입구에 발라 외부로부터 균의 유입을 막기 위해 사용하며, 주로 벌통 내의 표면 틈새에 발라 빗물과 냉기를 막았으며 벌집 전체 구조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한다. 프로폴리스의 생산은 벌들에 의해 채집되기 때문에 채집 조건에 따라 다르며 프로폴리스의 조성 또한 산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수지 50-55%, 밀랍 30%, 정유 8-10%, 회분 5%, 각종 유기성분, 미네랄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져있으며, 구성성분은 약 150-180여 개의 휘발성 물질과 페놀계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일반 성분 중에는 조지방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섬유가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eong CH, Shin CS, Bae YI, Shim KH.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propo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25-1730 (2010) 

  2. Salomao K, Dantas AP, Borba CM, Campos LC, Machado DG, Aquino Neto FR, de Castro SL.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bicidal activity of extracts from Brazilian and Bulgarian propolis. Lett. Appl. Microbiol. 38: 87-92 (2004) 

  3. Kujumgiev A, Tsvetkova I, Serkedjieva Y, Bankova V, Christov R, Popov S.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viral activity of propolis of different geographic origin. J. Ethnopharmacol. 64: 235-240 (1999) 

  4. Jang IW, Park JS, Kwon HC, Jung MY, Choi DS. Antimutagen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Korean and American propoli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694-699 (2009) 

  5. Kim HJ, Hwangbo S, Lee SW. Studies on the antioxidant effect of Korean propoli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77-80 (2002) 

  6. Lee HJ, Bae YI, Jeong CH, Shim KH. B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propo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7 (2005) 

  7. Gozde G, Baydar T, Ledochowski M, Schennach H, Bolukbasi DN, Sorkun K, Salih B, Sahin G, Fuchs 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Turkish propolis: Changes in neopterin release and tryptophan degradation. Immunobiol. 214: 129-134 (2009) 

  8. Haffajee AD, Socransky SS. Microbial etiological agents of destructive periodontal diseases. Periodontol. 2000 5: 78-111 (1994) 

  9. Park JH, Kum KY, Lee JH, Yu JY, Lee SJ. The inhibitory effect of taurine and alendronate on the osteoclast differentiation mediated by sonicated extracts of Porphyromonas gingivalis in vitro. J. Korean Acad. Cons. Dent. 26: 285-295 (2001) 

  10. Lee SL, Kim JG. Inhibitory effects of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and soybean extracts on the growth of KB cells. Kor. J. Env. Hlth. 31: 444-450 (2005) 

  11. Jo MJ, Min KJ.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oral microbes and growth-inhibitory effect on oral tumor cell of extracts of perilla and mugwort. Kor. J. Env. Hlth. 33: 115-122 (2007) 

  12. Yeo SG, Ahn CW, Kim IS, Park YB, Park YH, Kim SB. Antimicrobial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293-298 (1995) 

  13. Lee SL, Kim JG.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Doen-jang) against oral microbes. J. Env. Hlth. Sci. 34: 207-212 (2008) 

  14. Lim DK, Choi U, Shin DH, Jeong YS. Antioxidative effect of propolis extract on palm oil and lard.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22-626 (1994) 

  15. Han SK. Antioxidative effect of different kinds of propolis on the oxidation of edible oil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168-171 (2003) 

  16. Cho JS, Kim YH, Kwon MS. Antibacterial effects of propolis extracts on microorganismic bacteri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457-464 (2005) 

  17. Gibbons RJ, Houte JV. Bacterial adherence in oral microbial ecology. Annu. Rev. Microbiol. 29: 19-44 (1975) 

  18. Song YH, Seo YS, Kim DS, Jung SR, Chang KW. Inhibitory effect of acid phenethyl ester on the growth and glucosyltransferase activity of Streptococcus mutans. J. Korean. Acad. Dent. Health 25: 299-306 (2001) 

  19. Gebara ECE, Lima LA, Mayer MPA. Propoli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erodontopathic bacteria. Braz. J. Microbiol. 33: 365-369 (2002) 

  20. Yoo YK, RO JS, Kim JS, Chang KW.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some propolis constituents against S. mutans, Lactobacilli and Actinomyce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 65-74 (1996) 

  21. Kim YH, Chung HJ. The effects of Korean propoli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New Biotechnol. 28: 713-718 (2011) 

  22. Kim DB, Ju H, Baik BJ, Song WY, Song YH. Effects of propolis to the cariogenic activity of Streptococcus mutans. J. Korean Acad. Pediatr. Dent. 22: 231-238 (1995) 

  23. Amoros M, Simoes CM, Girre L, Sauvager F, Cormier M. Synergistic effect of flavones and flavonols against herpes simplex virus type 1 in cell culture. Comparison with the antiviral activity of propolis. J. Nat. Prod. 55: 1732-1740 (1992) 

  24. Bonvehi JS, Coll FV, Jorda RE. The composition active compounents and bacteriostatic activity of propolis in dieteties. J. Am. Oil Chem. Soc. 71: 529-538 (1994) 

  25. Song YH, Kim DS, Jung SR, Seo YS, Chang KW. Inhibitory effect of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on the growth and glucosyltransferase activity of Streptococcus mutans. J. Korean Acad. Dent. Health 25: 299-306 (2001) 

  26. Kim SQ, Shin MK, Auh QS, Lee JY, Hong JP, Chun YH. Effect of phytoncide on Porphyromonas gingivalis. Oral Medicine 32: 137-150 (2007) 

  27. Chung KS, Kim JY, Kim YM.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arlic juice and heat-treated garlic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40-543 (2003) 

  28. Park SK, Park JR, Lee SW, Seo KI, Kang SK, Shim KH. Antimicrobial activity and heat stability of water-pretreated extract of leaf mustard dolsan(Brassica juncea). J. Korean Soc. Food Nutr. 24: 707-712 (1995) 

  29. Chung KH, Lee SH, Lee YC, Kim JT.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27-132 (2001) 

  30. Yoon SY, Lee SY, Kim KBWR, Song EJ, Lee SJ, Lee CJ, Park NB, Jung JY, Kwak JH, Nam KW, Ahn DH.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argassum fulvellum ethanol extract and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ir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55-159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