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아동을 위한 작업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6, 2013년, pp.318 - 330  

홍은경 (신성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작업치료의 세부적인 치료 방법과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논문은 2003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출판된 논문이었고, 전자데이터 베이스인 PubMed를 이용하여 검색하였으며, 사용한 검색어는 'occupational therapy' OR 'exercise therapy' 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OR 'splints' OR 'self-help devices' OR 'early intervention(education)' OR 'parents/education' OR 'parents/psychology' OR 'professional family relations' OR 'play and playthings' OR 'upper extremity' AND 'cerebral palsy'이었다. 분석대상논문은 총 18개이었다.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작업치료 방법은 보조기 26.2%, 부모교육 26.2%, 환경조정 9.6%, 감각운동기능 훈련 19.0%, 일상생활활동 19.0%로 나타났다.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작업치료의 효과는 보조기 40.0%, 부모교육 42.9%, 환경조정 40.0%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뇌성마비 아동의 작업치료에 있어서 근거를 마련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results and method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sing systematic review. This study was searched form papers published from Jan, 2003 to Dec, 2012 using PubMed E-Data base. Key words using on the search were 'occupational therap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치료의 내용은 작업치료사가 가정에서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양육자를 교육, 상담하였고 양육자에 의해 가정 내에서 아동에게 작업치료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가정 프로그램 시행시 목표를 양육자와 함께 설정하여 실제 생활에서 적용이 가능한 목표를 성취하도록 계획하였다. 부모교육을 통한 치료 적용은 최소 21일에서 최대 6개월까지이었고, 모두 일상생활활동이나 감각운동기능 훈련과 함께 적용되었다[11][31-33].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작업치료의 세부적인 방법과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총 18개이었다.
  • 치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손 기능 평가도구인 QUEST, PMAL을 높은 빈도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임상가들에게 치료방법에 따라 효과적인 치료영역을 알려주고, 각 치료영역에서 진전을 측정하는데 많이 사용하는 평가도구를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작업치료의 세부적인 치료 방법과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세부 치료 방법과 그 효과를 알기 위하여 최근 10년간 출판된 자료를 수집하였고, 본 연구의 포함조건과 배제조건에 부합하는 총 18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의 유병률이 낮아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2명이었다[3]. 산모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의학기술은 높아졌지만, 조산과 초 저체중아로 출생하는 뇌성마비 고위험군의 생존률이 높아졌기 때문에 유병률은 낮아지지 않고 있다[4]. 뇌성마비는 운동뿐만 아니라 감각, 인지, 의사소통, 지각, 행동, 간질 등의 문제를 함께 동반한다[5].
작업치료를 통해 향상될 수 있는 영역에는 무엇이 있는가? 작업치료는 뇌성마비 아동이 의미 있는 활동에 최대한 독립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작업치료를 통해 향상될 수 있는 영역은 옷 입기, 먹기, 몸치장하기와 같은 일상생활활동, 글씨쓰기와 그림그리기와 같은 소 운동 과제, 시운동 과제, 보조기를 이용한 기능적 독립성을 촉진시키는 것이 포함된다[7].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작업치료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강제유도운동치료, 가정 프로그램, 양측 운동 치료, 감각치료, 전자게임 등 다양한 작업치료 접근이 있다.
뇌성마비는 무엇인가?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란 출산 전이나 출산 시, 출산 후 초기 몇 년 이내에 발생한 두뇌 손상으로 인해 자발적 움직임이나 자세의 손상을 나타내는 비진행성 장애이다[1][2]. 국내의 2004년~2008년 뇌성마비의 유병률은 소아 1,000명당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M. H. Beers, R. S. Porter, T. V. Jones, L. L. Kaplan, and M. Berkwits, "The merck manual of diagnosis and therapy," Merck & Co, 2006. 

  2. F. Miller, Cerebral palsy, Springer, 2005. 

  3. 강성현, 배영현,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서 수중 운동프로그램과 지상운동 프로그램이 운동기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비교",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0권, 제2호, pp.116-122, 2012. 

  4. J. E. Brown and N. J. O'Hare, "A review of the different methods for assessing standing balance," Physiotherapy, Vol.87, No.9, pp.489-495, 2001. 

  5. M. Bax, M. Goldstein, P. Rosenbaum, A. Leviton, N. Paneth, B. Dan, B. Jacobsson, and D. Damiano, "Propos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ol.47, No.8, pp.571-576, 2005. 

  6. P. Rosenbaum, "Cerebral palsy: What parents and doctors want to know," British Medical Journal, Vol.326, No.7396, pp.670-674, 2003. 

  7. E. M. J. Steultjens, J. Dekker, L. M. Bouter, J. C. M. van de Nes, B. L. M. Lambregts, and C. H. M. van den Ende,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Clinical Rehabilitation, Vol.18, pp.1-14, 2004. 

  8. 임애진, 한승협, 김성례, 한윤희, 김지영, 감경윤, "안구운동프로그램이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자세조절과 시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9권, 제2호, pp.85-96, 2011. 

  9. 황기철, 정지심, "의도적인 다감각환경(스노즐렌)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눈-손 협응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9권, 제1호, pp.69-81, 2011. 

  10. M. de Brito Brandao, A. M. Gordon and M. C. Mancini, "Functional impact of constraint therapy and bimanual train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66, No.6, pp.672-681, 2012. 

  11. J. Novak, A. Cusick, and K. Lowe, "Brief report-pilot study on the impact of occupational therapy home programming for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61, No.4, pp.463-468, 2007. 

  12. 한지혜, 고주연, "전자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아동의 균형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480-488, 2010. 

  13. J. Case-Simtih and J. C. O'Brie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MOSBY, 2010. 

  14. J. C. Rogers and M. B. Holm, "Accepting the challenge of outcome research: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48, No.10, pp.871-876, 1994. 

  15. 김시원, 김정연, 황지현, "국내 뇌성마비 아동 연구 동향 분석 : 특수교육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2001-2010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55권, 제2호, pp.115-143, 2012. 

  16. O. Verschuren, M. Ketelaar, T. Takken, P. J. M. Helders, and J. W. Gorter, "Exercise program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Vol.87, No.5, pp.404-417, 2008. 

  17. M. Arbesman, J. Scheer, and D. Lieberman,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CAT) and ciritically appraised paper(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Vol.13, No.5, pp.18-22, 2008. 

  18. http://www.otseeker.com. 

  19. H. J. Polatajko and N. Cantin,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dyspraxia): An overview of the state of the art," Seminar Pediatric Neurology, Vol.12, No.4, pp.250-258, 2006. 

  20. C. E. Naylor and E. Bower,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r young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ol.47, No.6, pp.365-369, 2005. 

  21. I. Y. Sung, J. S. Ryu, S. B. Pyun, S. D. Yoo, W. H. Song, and M. J. Park, "Efficacy of forced-use therapy in hemiplegic cerebral pals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6, No.11, pp.2195-2198, 2005. 

  22. J. R Charles, S. L. Wolf, J. A. Schneider, and A. M. Gordon, "Efficacy of a child-friendly form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hemiplegic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 trial.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ol.48, No.8, pp.635-642, 2006. 

  23. Q. Qiu, D. A. Ramirez, S. Saleh, G. G. Fluet, H. D. Parikh, D. Kelly, and S. V. "Adamovich, The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Robot-Assisted Virtual Rehabilitation (NJIT-RAVR) system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feasibility study,"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Vol.16, No.6, pp.1-10, 2009. 

  24. M. de Brito Brandao, M. C. Mancini, D. V. Vaz, A. P. Pereira de Melo, and S. T. Fonseca, "Adapted version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promotes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Vol.24, No.7, pp.639-647, 2010. 

  25. P. Facchin, M. Rosa-Rizzotto, L. Visona Dalla Pozza, A. C. Turconi, E. Pagliano, S. Signorini, L. Tornetta, A. Trabacca, E. Fedrizzi, and GIPCI Study Group, "Multisite trial comparing the efficacy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with that of bimanual intensive training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Postintervention resul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90, No.7, pp.539-553, 2011. 

  26. K. C. Lin, T. N. Wang, C. Y. Wu, C. L. Chen, K. C. Chang, Y. C. Lin, and Y. J. Chen, "Effects of home-based constraint-induced therapy versus dose-matched control intervention on functional outcomes and caregiver well-be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y, Vol.32, No.5, pp.1483-1491, 2011. 

  27. A. Louwers, A. Meester-Delver, K. Folmer, F. Nollet, and A. Beelen, "Immediate effect of a wrist and thumb brace on bimanual activities in children with hemipegic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ol.53, No.4, pp.321-326, 2011. 

  28. M. Wallen, J. Ziviani, O. Naylor, R. Evans, I. Novak, and R. D. Herbert,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 for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A randomized trial,"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ol.53, No.12, pp.1091-1099, 2011. 

  29. J. Case-Smith, S. C. DeLuca, R. Stevenson, and S. L. Ramey,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ediatric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6-month follow-up,"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66, No.1, pp.15-23, 2012. 

  30. S. C. DeLuca, J. Case-Smith, R. Stevenson, and S. L. Ramey,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 for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Effects of therapeutic dosage," Journal of Pediatric Rehabilitation Medicine, Vol.5, No.2, pp.133-142, 2012. 

  31. B. M. Lammi and M. Law, "The effects of family-centered functional therapy o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70, No.5, pp.285-297, 2003. 

  32. H. R. Rostami and R. A. Malamiri, "Effect of treatment environment on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results in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c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34, No.1, pp.40-44, 2012. 

  33. I. Novak, A. Cusick, and N. Lannin, "Occupational therapy home programs for cerebral palsy: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ediatrics, Vol.124, No.4, pp.606-614, 2009. 

  34. S. E. Ryan, K. A. Campbell, P. J. Rigby, B. Fishbein-Germon, D. Hubley, and B. Chan, "The impact of adaptive seating devices on the lives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heir famili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90, No.1, pp.27-33, 2009. 

  35. F. A. Costigan and J. Light, "Effect of seated position on upper-extremity access to augmentative communica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relimina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64, No.4, pp.596-604, 2010. 

  36. S. E. Ryan, P. J. Rigby, and K. A. Campbell, "Randomis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two school furniture configurations in the printing performance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Vol.57, No.4, pp.239-245, 2010. 

  37. 유은영,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기능 분류체계와 기능적 수행도 평가간의 상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248-256, 2009. 

  38. M. E. Msall, B. T. Rogers, H. Ripstein, N. Lyon, and F. Wllczenski, "Measurements of functional outcom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 Vol.3, No.2, pp.194-203, 1997. 

  39. http://www.ucpa.org 

  40. P. McCabe, C. Lippert, M. Weiser, M. Hilditch, C. Hartridge, J. Villamere, and Erabi Group, "Community reintegration following acquired brain injury," Brain Injury, Vol.21, No.2, pp.231-257, 2007. 

  41. R. Teasell, N. Bayona, S. Marshall, N. Cullen, M. Bayley, J. Chundamala, J. Villamere, D. Mackie, L. Rees, C. Hartridge, C. Lippert, M. Hiditch, P. Welch-West, M. Weiser, D. Ferri, P. McCabe, A. McCormick, J. A. Aubut, P. Comper, K. Salter, R. Van Reekum, D. Collins, N. Foley, J. Nowak, J. Jutai, M. Speechley, C. Hellings, and L. Tu, "A systematic review of the rehabilitation of moderate to severe acquired brain injury," Brain Injury, Vol.21, No.2, pp.107-112, 2007. 

  42. I. InNovak and A. Cusick, "Home programmes in pa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ere to start?,"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Vol.53, No.4, pp.251-264, 2006. 

  43. M.Howison, Willard and Spackma n's occupational therapy, Lippincott, 1988. 

  44. 유은영, 정민예, 박소연, 최은희, "한국 작업치료사의 영역별 평가도구 사용 동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4권, 제3호, pp.27-37,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