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육성 배 신품종의 과실 부위별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Pyrus pyrifolia 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Par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2, 2013년, pp.222 - 226  

최장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임순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최진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박장현 (전남농업기술원 곤충잠업연구소) ,  남승희 (전남농업기술원 식품연구소) ,  이한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육성 배 신품종과 신고 품종의 부위별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총 폴리페놀 화합물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품종별로는 추황배와 한아름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높았으며, 과피, 과육, 과심이 각각 178~235, 95~113, 177~229 mg/100 g으로, 과피>과심>과육의 순으로 높아 부위별로 차이가 있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품종별로 추황배와 감천배가 높았으며, 과피, 과육, 과심이 각각 29.2~40.2, 24.3~34.3, 26.9~38.8 mg/100 g으로 과피가 과육과 과심에 비해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품종별로는 추황배와 감천배가, 부위별로는 과육(7.6~17.7%)이나 과심(29.1~38.2%)보다 과피(29.7~57.7%)에서 더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아질산소거능은 추황배와 한아름이 18.0, 17.9%로 가장 높았으며, 부위별로는 과피(21.0~49.8%)>과심(11.8~16.2%)>과육(7.8~9.7%)의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과피의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physiological activities according to parts of new pear cultivars (Gamcheonbae, Manpungbae, Chuwhangbae, Hanareum) and Niitaka pear. The total polyphenol compound contents of pear peel, flesh and core were 178~235, 95~113, 177~229 mg/100 g as tannic acid equival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배의 품종별 부위에 따른 페놀성 물질과 생리활성 효과를 분석하여 가공 및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배의 소비 촉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의 단백질, 지방질의 함량은 어떠한가? 배는 85~88%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주성분은 탄수화물이고, 단맛을 내는 당분은 10~13%로 품종에 따라 차이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sucrose의 함량이 가장 많고, fructose, glucose, sorbitol 순이다. 다른 과실과 비교해 볼 때 단백질 함량은 0.3%로 비슷하며, 지방질은 0.2%로 다소 적은 편이다. 식이섬유의 함량은 100 g당 1~2 g 정도로 과실류 중에서는 함량이 높은 편으로 다이어트와 장내 유해균을 억제하는 정장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배의 원산지는? 배는 장미과 배나무속에 속하는 과수로 인도 북서부, 아프카니스탄, 중국 서부, 남동 유럽이 원산지이며, 배의 종류에는 우리나라와 일본이 원산지인 남방형 동양배(Pyrus pyrifolia Nakai)와 중국이 원산지인 북방형 동양배(Pyrus ussuriensis Maxim), 그리고 유럽 및 아시아가 원산지인 서양배(Pyrus communis Linn) 등이 있다(1).
배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배는 장미과 배나무속에 속하는 과수로 인도 북서부, 아프카니스탄, 중국 서부, 남동 유럽이 원산지이며, 배의 종류에는 우리나라와 일본이 원산지인 남방형 동양배(Pyrus pyrifolia Nakai)와 중국이 원산지인 북방형 동양배(Pyrus ussuriensis Maxim), 그리고 유럽 및 아시아가 원산지인 서양배(Pyrus communis Linn) 등이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Feron G, Bonnarme P, Durand A (1996) Prospects for the microbial production of food flavours. Trends Food Sci Technol, 7, 285-293 

  2. Son DS, Kang SJ, Jeong SB, Kim JK, Cho KS, Choi YM, Hong KJ, Choi JJ, Kang SS (2004) Phytochemical and health effect of pear. RDA Semyung Press, Suwon, Korea, p 1-37 

  3. RDA (2003) Anniversary of fifty year in horticulture reasearch institute. Scientific Horticulture Press, Seoul, Korea, p 270-360 

  4. Hasimoto F, Nonaka GI. Nishioka I, (1989) Tannins and related compound from Oolong tea. Chem Pharm Bull, 37, 3255-3263. 

  5. Choi HJ, Han HS, Park JH, Bae JH, Woo HS., An BJ, Bae MJ, Kim HG, Choi C (2003)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Korean pear on immunofunctional activity. Korean J Food Cult, 18, 303-310 

  6. Choi HJ, Park JH, Han HS, Son JH, Choi C (2004)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Korean pear on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99-304 

  7. Ahn BJ, Lee JT, Gwag JH, Park JM, Lee JY, Shom JH, Bae JH, Chung C (2004) Biological activity of polyphenol group fraction from Korean pear peel. J Korean Soc Appl Bio Chem, 47, 92-95 

  8.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9. Lister, CE, Lancaster JE, Sutton KH, Walker JRL (1994)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of flavonoids in skin of a red and a green apple cultivar. J Sci Food Agric, 64, 155-161 

  1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8-1204 

  11. Gray JI, Dugan JLR (1975) Inhibition of N-nitroso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78-985. 

  12. Park YO, Choi JJ, Choi JH, Kim MS, Yim SH, Lee HC (2012) antioxidant activities of young and mature fruit in several asian pear cultivars. Korean J Hort Sci Technol, 30, 1-6 

  13. Zhang X, Lee FZ, Eun JB (2007)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and pectin in Asian pear fruit during growth.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7-13. 

  14. Choi JH, Lee EY, Kim JS, Choi GB, Jung SG, Ham YS, Seo DC, Heo JS (2006) Physiological activities according to cultivars and parts of Ulsan pear.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43-48 

  15. Choi HS, Li X, Kim WS, Lee Y (2010) Comparison of fruit quality and antioxidant compound of 'Niitaka' pear trees grown in the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managed systems. Korean J Enriron Agric, 29, 367-373 

  16. Kim JB (1998) Changes of major components during growth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Eucommia ulmoides leaves. Ph D. Thesis, Yeungnam University, Korea 

  17. Choi HJ, Park JH, Han HS, Son JH, Son GM, Bae JH, Choi C (2004)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 from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on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99-304 

  18. Cao GHM, Culter RG (1993)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for antioxidants. Free Radical Bio Med, 14, 303 

  19. Choi JH, Oh SK (1985) Studies on the anti-agent action of Korean gins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506-515. 

  20.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21.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2. Crosby NT, Sawyer R (1976) N-nitrosoamines, a review of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and their estimation in food stuffs. Adv Food Res Academic press, 21, 1-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