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배방식에 따른 딸기의 부위별 세균 오염도 분석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s in strawberry parts according to their cultivation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3, 2013년, pp.323 - 329  

유용만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김진원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최인욱 (충남대학교 감염생물학교실) ,  윤영남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이영하 (충남대학교 감염생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딸기는 다양한 효능을 보일 뿐만아니라 맛과 영양까지 뛰어나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대표적인 즉석섭취 농산물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딸기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본 연구는 딸기의 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논산시내 12개 딸기 농장에서 채취한 1,020개의 표본(열매, 줄기, 잎 각각 340개씩)을 대상으로, 재배방식(양액재배, 무농약재배, 유기농재배) 및 딸기의 부위에 따른 총호기성균, 대장균군/대장균을 정량적 분석하였다. 또한 식중독 유발세균인황색포도상구균,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오염 여부를 정량 혹은 정성 분석하였다. 딸기 표본의 총호기성균 수는 2.3~6.8 ${\log}_{10}$ CFU/g 범위이었으며, 대장균군은 전체 표본의 14.2%에서 검출되었고 양성 표본의 대장균군 수는 2.1-4.5 ${\log}_{10}$ CFU/g 범위이었다. 대장균은 전체 표본중 1.0%에서 검출되었고, 양성 표본의 대장균 수는 2.1-2.8 ${\log}_{10}$ CFU/g 범위이었다. 딸기의 재배방식별로 분석시, 총호기성균 및 대장균군의 수는 양액재배 혹은 무농약재배에 비하여 유기농재배에서 더 많이 검출되었으나(p<0.05), 대장균은 무농약재배와 유기농재배에서 유사하게 검출되었고 영양재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딸기를 3개 부위(열매, 줄기 및 잎)로 나누어 호기성균 및 대장균군/대장균 수를 분석시, 이들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딸기에 부착되어 있는 식중독 유발 세균을 조사한 결과, 1,020개의 표본중에서 유기농재배 농가 표본 2개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며 그 외의 Salmonella spp., Listeria spp., E. coli 0157:H7은 모든 표본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딸기의 재배 방식에 따라 위생지표 미생물의 오염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재배 방식에 적합한 세균 오염 저감화 대책이 요구됨을 시사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awberries are among the leading ready-to-eat agricultural products that have superior taste and nutrition. Thus, consumer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eating strawberries are growing. To evaluate the contamination levels of strawberries according to their cultivation methods (nutriculture, pes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딸기는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등이 있을 뿐만 아니라(1,2) 매혹적인 색과 향기, 맛을 지니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나, 변질되기 쉽고 곰팡이 발생 등으로 저장유통 기간이 매우 짧은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적 즉석 과채류인 딸기를 대상으로 생산 단계에서 재배방식에 따른 딸기의 미생물 오염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양액재배, 무농약재배 및 유기농재배 농장에서 딸기를 부위별로 채취하여 위생지표세균(총호기성균, 대장균군, 대장균)과 병원성 미생물(황색포도상구균,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H7) 오염 정도를 조사하여 딸기의 생물학적 위해평가(microbial risk assessment)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딸기의 생산 단계에서부터 세심한 관리가 요구되는 이유는? 또한 딸기는 수용성 섬유가 풍부하여 비만 관련 질환에도 효능을 나타낸다고 한다(1,2). 그렇지만 딸기는 과육이 연하고 수분함량이 높아 취급 및 보관을 소홀히 할 경우 쉽게 변질 혹은 부패가 일어날 수 있어 생산 단계에서부터 세심한 관리가 요구된다.
딸기의 효능은 무엇인가? 딸기는 비타민, 미네랄, 엽산, 섬유소와 같은 중요한 식이성분을 가지고 있을 뿐만아니라 안토시아닌(anthocyan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와 같은 다양한 생체 활성 물질도 풍부한 것으로 알려 있어 심장 질환 및 노화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또한 딸기는 수용성 섬유가 풍부하여 비만 관련 질환에도 효능을 나타낸다고 한다(1,2). 그렇지만 딸기는 과육이 연하고 수분함량이 높아 취급 및 보관을 소홀히 할 경우 쉽게 변질 혹은 부패가 일어날 수 있어 생산 단계에서부터 세심한 관리가 요구된다.
딸기의 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측정 분석한 총호기성균 수와 대장균 수의 범위는 어떠하였는가? 딸기 표본의 총호기성균 수는 2.3∼6.8 log10 CFU/g 범위이었으며, 대장균군은 전체 표본의 14.2%에서 검출되었고 양성 표본의 대장균군 수는 2.1-4.5 log10 CFU/g 범위이었다. 대장균은 전체 표본중 1.0%에서 검출되었고, 양성 표본의 대장균 수는 2.1-2.8 log10 CFU/g 범위이었다. 딸기의 재배방식별로 분석시, 총호기성균 및 대장균군의 수는 양액재배 혹은 무농약재배에 비하여 유기농재배에서 더 많이 검출되었으나(p<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Giampieri F, Tulipani S, Alvarez-Suarez JM, Quiles JL, Mezzetti B, Battino M (2012) The strawberry: composition, nutritional quality, and impact on human health. Nutrition, 28, 9-19 

  2. Goulas V, Manganaris GA (2011) The effect of postharvest ripening on strawberry bioactive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otential. J Sci Food Agric, 91, 1907-1914 

  3. Berger CN, Sodha SV, Shaw RK, Griffin PM, Pink D, Hand P, Frankel G (2010) Fresh fruit and vegetables as vehicles for the transmission of human pathogens. Environ Microbiol, 12, 2385-2397 

  4. Choi JW, Park SY, Yeon JH, Lee MJ, Chung DH, Lee KH, Kim MG, Lee DH, Kim KS, Ha SD (2005)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fresh vegetables distributed in markets. J Food Hyg Safety 20, 43-47 

  5. Jung SH, Hur MJ, Ju JH, Kim KA, Oh SS, Go JM, Kim YH, Im JS (2006)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vegetables. J Food Hyg Safety 21, 250-257 

  6. Kim SR, Lee JY, Lee SH, Kim WI, Park KH, Yun HJ, Kim BS, Chung DH, Yun JC, Ryu KY (2011)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and cultivation area. J Food Hyg Safety, 26, 289-295 

  7. Hong CK, Seo YH, Choi Cm, Kwang IS, Kim MS (2012) Microbial quality of fresh vegetables and fruits in Seoul, Korea. J Food Hyg Safety, 27, 24-29 

  8. Lee SH, Lee MS, Sun NK, Song KB (2004) Effects of storage condition on the quality and microbiological change of strawberry: Minyubong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1, 7-11 

  9. Jeong JW, Kim JH, Kwon KH, Park KJ (2006) Disinfection effects of electrolyzed water on strawberry and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3, 316-321 

  10. Yu YM, Youn YN, Hua QJ, Cha GH, Lee YH (2009) 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paprikas, strawberries and tomatoes in the markets. J Food Hyg Safety, 24, 174-181 

  11. Ingham SC, Becker KL, Fanslau MA (2003) Comparison of the Baird-Parker agar and 3M Petrifilm Staph Express Count plate methods for enumer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 naturally and artificially contaminated foods. J Food Prot, 66, 2151-2155 

  12. Jay JM (1992) Foodborne gastroenteritis caused by Salmonella, Shigella and Escherichia. in Modern food Microbiology AVI Book, New York, USA, p 553-582 

  13. Pianetti A, Sabatini L, Citterio B, Pierfelici L, Ninfali P, Bruscolini F (2008) Changes in microbial populations in ready-to-eat vegetable salads during shelf-life. Italian J Food Sci, 20, 245-254 

  1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1) Surveillance for foodborne disease outbreaks-United States, 2008. Morbidity Mortality Weekly Report, 60, 1197-1202 

  15. Bahk GJ, Ha SD, Oh DH (2013) Ranking determination of foods and foodborne pathogens for impact of climate change on microbiological food safety. J Food Hyg Safety 28, 36-40 

  16. Oliveira M, Usall J, Vinas I, Anguera M, Gatius F, Abadias M (2010)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 lettuce from organic and conventional production. Food Microbiol, 27, 679-684 

  17. Song MR, Park IH, Lee JK (2011) Microbial hazard reduction policies of US to control fresh produce. Safe Food, 6, 42-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