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막걸리에서 분리한 효모균주를 이용한 막걸리 발효과정 중의 물성 및 미생물 군집의 변화
Variations of Properties and Microbial Community during Fermentation of Makgeollies by Isolated Yeasts from Traditional Makgeolli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6 = no.158, 2013년, pp.796 - 803  

전명제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공학과) ,  장민경 (신라대학교 제약공학과) ,  이솔지 (신라대학교 제약공학과) ,  박성환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공학과) ,  김미향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재학 (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소재학과) ,  이한승 (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소재학과) ,  이동근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공학과) ,  이상현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막걸리들에서 순수분리한 효모균주 5종을 이용하여 각각 막걸리를 제조하면서 발효 시일에 따른 막걸리의 물성 변화와 PCR-DGGE를 이용하여 미생물 군집구조 변화를 조사하였다. 막걸리의 pH는 0일째 pH 6에서 발효 2일째 pH 3 정도의 큰 감소를 보였고 이후 큰 변화가 없었다. 발효일별로는 차이를 보였지만(ANOVA, p<0.001) 균주별로는 차이가 없었다(p=0.60). 산도는 0.19~1.04% 범위였으며 발효 2일째부터 증가하였고 발효일자별(p<0.001) 및 균주별(p=0.006) 모두 차이가 있었다. C 균주의 산도 증가가 가장 컸으며 S 균주의 산도 증가가 가장 적었다. 아미노태 질소는 S 균주가 8일째 0.442%로 높은 값을 보였지만 다른 균주들은 모두 0.150% 이하를 나타내었다. 발효일자별(p=0.4558) 및 균주별(p=0.3513)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빵효모균주인 C가 발효 4일 째부터 다른 균주들에 비해 높았고 발효일자별(p<0.0001) 및 균주별(p=0.007)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알코올 함량은 모든 효모균주에서 발효 2일째 10%의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그 이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발효일자별(p<0.0001)로는 차이를 보였지만 균주별로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1464). DGGE 밴드로 검출된 우점세균은 산성물질을 생산하며 기능성을 보이는 Lactobacillus fermentum와 Pediococcus pentosaceus였고, 우점진균은 Saccharomyces cerevisiae였는데 이는 효모균주 첨가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perty changes and bacterial characterization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fermentation of Makgeollies by 5 isolated yeast strains. Changes of pH were large between day 0 (pH 6) and day 2 (pH 3) and showed less vari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막걸리로부터 분리한 저장성이 우수한 효모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막걸리들의 발효과정에서의 물성변화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막걸리가 발효되는 동안 막걸리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동태를 16S와 28S rRNA 유전자를 이용한 PCR-DGGE 기법을 이용하여 관찰함으로써 기존의 배양 의존적인 방법에서는 확인하지 못했던 미생물들의 변화추이와 미생물들의 다양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전 등[13]은 각 효모균주가 나타내는 막걸리의 보관과정에서 물성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막걸리들을 수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막걸리 발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빵효모인 C 균주와 전 등[13]이 전통막걸리에서 분리한 F, U, K, R, S 등 다섯 개의 S. cerevisiae 균주가 막걸리 발효과정에서 보이는 물성과 군집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란? 옛날부터 자가 생산되어 널리 이용되어 온 막걸리는 곡물을 원료로 하는 양조주의 하나로, 당화와 발효 공정을 통하여 생산되며 알코올 함량이 낮은 저도주의 일종이다. 막걸리는 원료 곡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각종 유기산, 아미노산, 비타민 등으로 영양학적 가치가 높다.
막걸리의 영양학적 특징은? 옛날부터 자가 생산되어 널리 이용되어 온 막걸리는 곡물을 원료로 하는 양조주의 하나로, 당화와 발효 공정을 통하여 생산되며 알코올 함량이 낮은 저도주의 일종이다. 막걸리는 원료 곡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각종 유기산, 아미노산, 비타민 등으로 영양학적 가치가 높다. 또한, 막걸리의 유기산과 aromatic flavors 등에 의한 독특한 맛과 향에 대한 특성이 보고되고 있다[7].
막걸리 발효 미생물에 대한 연구에 주로 사용되는 배양법의 한계점은? 막걸리 발효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주로 배양법으로 배지를 이용하여 미생물을 분리하고 특성을 파악하는 전통적인 방법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16]. 하지만 배양법은 시료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들을 배양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형태 및 생화학적 특성만으로는 정확한 분류와 동정에 있어 한계가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ann, R. I., Ludwig, W. and Schleiffer, K. H. 1995. Phylogenetic identification and in situ detection of individual microbial cells without cultivation. Microbiol Rev 59, 143-149. 

  2.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6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pp. 349, 10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Chang, H. W., Kim, K. H., Nam, Y. D., Roh, S. W., Kim, M. S., Jeon, C. O., Oh, H. M. and Bae, J. W. 2008. Analysis of yeast and archaeal population dynamics in kimchi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26, 159-166. 

  4. Cheon, C., Rhee, I. S., Lee, S. K. and Kang, S. A. 2008. A study on the qualitative properties of traditional sake using allbanggae. J Soc Food Sci Nutr 37, 784-791. 

  5. Cocolin, L., Manzano, M., Cantoni, C. and Comi, G. 2000. Development of a rapid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spp. isolated from naturally fermented Italian sausages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temperature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Lett Appl Microbiol 30, 126-129. 

  6. Cocolin, L., Rantsiou, K., Iacumin, L., Urso, R., Cantoni, C. and Comi, G. 2004. Study of the ecology of fresh sausages and characterization of popula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by molecular methods. Appl Environ Microbiol 70, 1883-1894. 

  7. El-Baradei, G., Delacroix-Buchet, A. and Jean-Claude, O. 2007. Biodiversity of bacterial ecosystems in traditional Egyptian domiati cheese. Appl Environ Microbiol 73, 1248-1255. 

  8. Han, E. H., Lee, T. S., Noh, B. S. and Lee, D. S. 1997. Volatile flavor component in mash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9. Heuer, H. and Smalla, K. 1997. Application of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d temperature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TGGE) for studying soil microbial communities, pp. 353-373. In: van Elsas, J. D., Wellington, E. M. H. and Trevors, J. T. (eds.), Modern soil microbiology. Marcel Dekker, Inc., New York, USA. 

  10. http://genome.jgi-psf.org/finished_microbes/pedpe/pedpe.home.html 

  11. Hu, Y., Xia, W. and Ge, C. 2006. Effect of mixed starter cultures ferment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silver carp sausages.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3, 1021-1031. 

  12. Jeon, M. H. and Lee, W. J. 2011.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44-449. 

  13. Jeon, M. J., Kim, M., Lee, D. -G., Hwang, H. -J., Kang, M. S., Kim, B. K., Lee, S. W., Jang, H. and Lee, S. -H. 2012. Analysis of properties of Makgeollies made by isolated yeast strains from traditional Makgeollies. Korean Soc Biotech Bioeng J 27, 21-27. 

  14. Kim, M. J., Lee, S. Y., Kim, K. B., Song, W. R., Song, E. J., Kim, A. R., Kim, J. H., Ji, K. W., Ahn, I. S. and Ahn, D. H. 2007. Effect of chitosan of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J Chitin Chitosan 12, 198-204. 

  15. Kim, O. -S., Park, S. -S. and Sung, J. -M.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lack ric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93-1700. 

  16. Kim, S., Kim, E., Yoon, S., Jo, N., Jung, S. -K., Kwon, S., Chang, Y. H. and Jeon, Y. 2011.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ucumber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23-228. 

  17. Kwon, S. J., Ahn, T. -Y. and Sohn, J. H. 2012.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in Makgeolli fermentation using PCR-DGGE. J Life Sci 22, 232-238. 

  18. Lee, C. H., Tae, W. T., Kim, G. M. and Lee, H. D. 1991. Studies on the pasteurization conditions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94-200. 

  19. Lee, D. -G., Lee, J. -H. and Kim, S. -J. 2005. Diversity and dynamics of bacterial species in a biofilm at the end of the Seoul water distribution system.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1, 155-162. 

  20. Lee, D. P. 2006. Policy issue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liquer. Food Ind Nutr 11, 1-9. 

  21. Lee, J. S., Lee, T. S., Noh, B. S. and Park, S. O. 1996.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30-336. 

  22. Lim, S., Jwa, M. K., Mok, C., Park, Y. S. and Joo, G. J. 2004. Changes in microbial counts, enzyme activity and quality of foxtail millet Takju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33-238. 

  23. Muyzer, G., de Wall, E. C. and Uitterlinden, A. G. 1993. Profiling of complex microbial populations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amplified genes coding for 16S rRNA. Appl Environ Microbiol 59, 695-700. 

  24. Pan, D. D., Zeng, X. Q. and Yan, T. 2011.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fermentum SM-7 isolated from koumiss, a potential probiotic bacterium with cholesterol-lowering effects. J Sci Food Agric 91, 512-518. 

  25. Roling, W. F. M., van Breukelen, B. M., Braster, M., Goeltom, M. T., Groen, J. and van Verseveld, H. W. 2000.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ies in a landfill leachate polluted aquifer using a new method for anaerobic physiological profiling and 16S rDNA based fingerprinting. Microb Ecol 40, 177-188. 

  26. Seo, M. Y., Lee, J. K., Ahn, B. H. and Cha, S. K. 2005. The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and Yakju. Korean J Food Nutr 12, 427-432. 

  27. Shin, M. -O., Kang, D. -Y., Kim, M. -H. and Bae, S. -J. 2008.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Makgeoly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88-293. 

  28. Xia, S., Shi, Y., Fu, Y. and Ma, X. 2005. DGGE analysis of 16S rDNA of ammonia-oxidizing bacteria in chemical-biological flocculation and chemical coagulation systems. Appl Environ Microbiol 69, 99-105. 

  29. Yang, H. -S. and Eun, J. -B. 2011. Ferment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liquor (Makgeoll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38-445. 

  30. Yu, H., Ding, Y. S. and Mou, S. F. 2003. Direct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mino acids and sugars in rice wine by high performanc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with integrated pulsed amperometric detection. J Chromatogr 11, 721-7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