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인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종단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f Korean Vowel Production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5 no.2, 2013년, pp.71 - 79  

김주연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vided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of the Korean vowels. Specifically the author examined whether Korean monophthongs are acquired rapidly in early stages of learning (Flege, Munro and Skelton, 1992; Munro and Derwing, 2008) or they develop rather gra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모음의 F2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1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학습자의 발화가 한국어 원어민 수준에 도달했는지 평가하였다. 첫 번째 그룹은 /e, o, u, ɨ/ 모음으로 1개월 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12개월 시점까지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F2에 있어서는 학습 초기부터 한국어 원어민과 유사하게 조음할 수 없었으며 1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한국어 원어민에 가깝게 발음이 향상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 이를 위해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1년 동안 2~3달 간격으로 한국어 모음 산출에 대한 종단 연구를 실시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목표 언어에 대한 습득 패턴이 학습 초기에 빠른 변화를 보이고 그 이후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지, 아니면 점진적으로 경험에 비례해서 습득 패턴이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 한편, 중국어 /a, ə/는 변이음이 많고 한국어 모음 ‘에, 으’는 중국어에 없는 모음이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습득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1년간의 종단 연구를 통해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떻게 한국어 모음 습득하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은 종단 연구로는 제2언어 학습 초기의 습득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한 시점부터 총 1년간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습득에 대한 경로를 밝히는 종단 연구를 실시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구체적으로 한국어 단모음을 어떻게 습득해 나가는지 학습 초기의 산출 패턴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1년 동안 2~3달 간격으로 한국어 모음 산출에 대한 종단 연구를 실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1년 동안 2~3개월 간격으로 단모음 /i, e, ɨ, ʌ, a, u, o/의 산출 실험을 하여 그 산출 결과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에 대한 초기 습득 패턴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어 후설원순모음과 비교했을 때 중국어는 어떠한가? 한국어와 중국어의 모음 체계를 비교해 보면 한국어 /i/의 경우는 중국어와 유사하게 대응이 되어 습득에 큰 어려움이 없을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반면 한국어 후설원순모음에는 /u, o/가 존재하지만 중국어에는 /u/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어 모음 /o/는 중모음이지만 최근에는 혀의 위치가 상승되어 /u/에 가깝게 조음되는 경향이 있다(성철재, 2004; 장혜진・신지영, 2006; 문승재, 2007).
일본인 영어 학습자의 경우 어떤 발음을 습득할 때 더 어려움을 겪나요? 지금까지 대부분의 제2언어와 관련된 소리 습득 연구는 모국어와 목표 언어의 소리들을 대응시키면서 설명해 왔다. 예를 들어 일본인 영어 학습자의 경우 다른 자음에 비해 영어의 /r/과 /l/을 습득할 때 더 어려움을 겪는다. 왜냐하면 영어의 두 유음에 대응되는 소리가 일본어에는 /r/ 하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영어와 일본어 유음의 세부적인 음성적 속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Riney & Flege, 1998; Bradlow et al.
일본인 영어 학습자가 r과 l의 습득할 때 더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예를 들어 일본인 영어 학습자의 경우 다른 자음에 비해 영어의 /r/과 /l/을 습득할 때 더 어려움을 겪는다. 왜냐하면 영어의 두 유음에 대응되는 소리가 일본어에는 /r/ 하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영어와 일본어 유음의 세부적인 음성적 속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Riney & Flege, 1998; Bradlow et al., 1999; Aoyam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oyama, K., Flege, J. E., Guion, S. G., Akahane-Yamada., & Yamada, T. (2004). Perceived phonetic dissimilarity and L2 speech learning: The case of Japanese /r/ and English /l/ and /r/. Journal of Phonetics, 32(2), 223-250. 

  2. Bae, J. (2003). Hangugeoui baleum. Seoul: Samgyeongmunhwasa. (배주채 (2003). 한국어의 발음. 서울: 삼경문화사.) 

  3. Bradlow, A. R., Akahane-Yamada, R., Pisoni, D. B., & Tohkura, Y. (1999). Training Japanese listeners to identify English /r/ and /l/: Long-term retention of learning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61(5), 977-985. 

  4. Bybee, J. (2001). Phonology and language use. Cambridge: University of Cambridge Press. 

  5. Ellis, N. C. (2006). Cognitive perspectives on SLA; The Associative-Cognitive CREED. AILA Review, 19, 100-121. 

  6. Flege, J. E., & Eefting, W. (1988). Imitation of a VOT continuum by 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Spanish: Evidence for phonetic category formation.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3-2, 729-740. 

  7. Flege, J., Munro, M., & L. Skelton. (1992). Production of the word-final /t/-/d/ contrast by native speakers of English, Mandarin, and Spanish.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2, 128-143. 

  8. Flege, J. E. (1995). Second language speech learning theory, findings, and problems. In W. Strange (Ed.), Speech Perception and Linguistic Experience: Issues in cross-language research (pp. 233-277). Timonium, MD: York Press. 

  9. Flege, J. E., Munro, M. J., & MacKay, I. R. A. (1995). Factors affecting strength of perceived foreign accent in a second languag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7, 3125-3134. 

  10. Han, J., Hwang, J., & Choi, T. (2011). The acquisition of phonetic details: Evidence from the production of English reduced vowels by Korean learners. Second Language Research, 27(4), 535-557. 

  11. Han, J., & Kim, J. (2011). A one-year longitudinal study of Korean vowel productions by Chinese Learners. The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36(4), 1101-1115. (한정임·김주연 (2011).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 습득 과정에 대한 1년간의 종단연구. 언어, 36(4), 1101-1115.) 

  12. Jang, H., & Shin, J. (2006). An acoustic study on the generational difference of the monophthongs in the Daegu Dialect. Malsori 57, 15-30. (장혜진.신지영 (2006). 대구 방언 단모음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음향음성학적연구. 말소리, 57, 15-30.) 

  13. Johnson, K. (2005). Decisions and mechanisms in exemplar-based phonology. In P. Beddor & J. Ohala (Eds.), Experimental Approaches to Phonology (pp. 25-40). Oxford: University of Oxford Press. 

  14. Kim, J. (2011). A study of developmental stages of Korean pronunciation by Chinese Korean learners. The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230-242. (김지형 (2011).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발음의 발달 단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30-242.) 

  15. Kwon, K. (2001). On systematic aspects of vowel change in the contemporary Korean. The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30, 29-48. (권경근 (2001). 현대 국어에서의 모음 체계 변화의 움직임에 대하여: 젊은 세대의 말을 대상으로. 언어학, 30, 29-48.) 

  16. Lee, H. (1996). Korean phonetics. Seoul: Taehaksa. (이호영 (1996). 국어 음성학. 서울: 태학사.) 

  17. Lee, H., & Zhi, M. (1983). A spectrographical study of Korean vowels. Malsori, 6, 4-12. 

  18. Lin, Y. (2010). The sounds of Chines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Long, M. (1990). Maturational constraints on language development.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2, 251-286. 

  20. Moon, S. (2007). A fundamental phonetic investigation of Korean monophthongs. Malsori 62, 1-17. (문승재 (2007). 한국어 단모음의 음성학적 기반연구. 말소리, 62, 1-17.) 

  21. Munro, M., & T. Derwing. (2008). Segmental acquisition in adult ESL learners: A longitudinal study of vowel production. Language Learning, 58(3), 479-502. 

  22. Nathan, G. S. (1987). On second-language acquisition of voiced stops. Journal of Phonetics, 15, 313-322. 

  23. Oh, E. (2008). VOT of English voiced stops by place of articulation in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universal phonetic component.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8, 75-92. 

  24. Oh, G., Guion-Anderson, S., Aoyama, K., Flege, J., Akahane- Yamada, R., & Yamada, T. (2011). A one-year longitudinal study of English and Japanese vowel production by Japanese adults and children in an English-speaking setting. Journal of Phonetics, 39, 156-167. 

  25. Ortega, L., & Iberri-Shea, G. (2005). Longitudinal research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c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Annu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25, 6-45. 

  26. Oyama, S. (1976). A period for the acquisition of nonnative phonological system. Journal of Psychological Research, 5, 261-283. 

  27. Pierrehumbert, J. (2001). Exemplar dynamics: word frequency, lenition, and contrast. In J. Bybee & P. Hopper (Eds.), Frequency and the Emergence of Linguistic Structure (pp. 137-157). Philadelphia: John Benjamins. 

  28. Pulleyblank, E. G. (1984). Vowelless Chinese? An application of the three-tiered theory of syllable structure to Pekingese. Proceedings of the Sixte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ino-Tibetan Languages and Linguistics (pp. 568-619).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29. Riney, T., & Flege, J. (1998). Changes over time in global foreign accent and liquid identifiability and accuracy.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0, 213-243. 

  30. Seong, C. (2004). An acoustic analysis on the Korean 8 monophthong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23(6), 454-461. (성철재 (2004). 한국어 단모음 8개에 대한 음향분석. 한국음향학회지, 23(6), 454-461.) 

  31. Shin, J., & Cha, J. (2003). Korean sound system. Seoul: Hangukmunhwasa. (신지영·차재은 (2003). 우리 말소리의 체계. 서울: 한국문화사.) 

  32. Tsukada, K., Birdsong, D., Bialystok, E., Mack, M., Sung, H., & Flege, J. (2005). A developmental study of English vowel production and perception by native Korean adults and children. Journal of Phonetics, 33, 263-290. 

  33. Wedel, A. (2006). Exemplar models, evolution and language change. The Linguistic Review, 23(3), 247-274. 

  34. Wu, Z. (1992). Xiandaihanyuyuyingaiyao, Gaodengjiaoyuchubanshi. (吳宗濟 (1992). 現代漢語語音槪要. 高等敎育出版社.)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