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류성(逆流性) 식도염(食道炎)에 대한 이진탕가미방(二陳湯加味方) 구성(構成) 개별(個別) 한약재의 효과(效果)
Effects of Individual Herbal Components of Yijintang-gamibang in the Rat Reflux Esophagitis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4 no.2, 2013년, pp.165 - 177  

이상태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곽민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protective effects of 8 types of individual herbal components of Yijintang-gamibang, on the reflux esophagitis (RE) in rats as compared with omeprazole. Methods : Each 100 mg/kg individual herbal component was orally pretreated, at 1 hr bef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Omeprazole 또는 각각의 二陳湯加味方 구성 한약재 투여 1시간 후, 유문⋅전위부 결찰 수술로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였으며,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기 위해11 모든 실험동물은 18시간 이상 절식을 실시하고, 최종 약물 투여 1시간 후, Zoletile mixture(Virbac, France; 25 mg/kg, 복강투여) 마취 하에, 백선을 따라 2 cm 정도 절개하여 개복하고, 위의 대만 및 소만 부위를 노출한 다음 유문부위를 silk(2-0; B. Braun Surgical S.A., Spain)를 이용하여 결찰하고, 순차적으로 전위와 분문 사이의 limiting ridge 부분을 동일한 방법으로 결찰하였다.
  • 모든 한약재 추출물은 100mg/kg의 농도로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동물 체중 kg 당 5 ml의 용량으로 금속제 Zonde가 부착된 3 ml 주사기(syringe)를 이용하여, 유문⋅전위부 결찰 수술 1시간 전 강제 경구 투여하였으며, 10mg/kg의 omeprazole 역시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동일한 방법으로 유문·전위부 결찰 수술 1시간 전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Omeprazole은 유발 위점막 손상에 확실한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으로 알려진 10 mg/kg을 투여 용량으로 설정하였다.
  • Rao와 Vijayakumar3의 방법에 따라, 원심분리한 위 내용물에서 0.01 N NaOH와 phenolphthalein 을 발색제로 이용하여 위산분비도를 μEq/6 hrs로 측정하였다.
  • Rao와 Vijayakumar3의 방법에 따라, 유문 및 전위부 결찰 수술 6시간 후, Sham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동물에서 결찰한 위부분에 형성된 내용물을 수집하여 5분간 2000 g에서 원심분리한 다음, 아래의 공식 [1]과 같이 실험동물의 체중 kg으로 환산하였다.
  • 개별 한약재의 효과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PPI 계열인 omeprazole 10 mg/kg 투여군과 비교·평가 하였다.
  • 05 이하인 경우 통계적 유의성을 인정하였다. 또한 역류성 식도염의 유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Sham 대조군과 RE 대조군과의 percent change를 아래의 공식 [3]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투여 물질의 약효를 좀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투여군과 RE대조군과의 percent change를 아래의 공식 [4]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 모든 실험동물은 유문 및 전위부 결찰 수술 6시간 후, 희생하여, 위와 식도를 적출한 다음 10% 중성포르말린(10% buffered formalin; NBF)에 고정시킨 다음 식도에 형성된 병변의 총 면적(mm2/organs)을 각각 10배의 실체현미경(dissecting microscope; Nikkon, Japan) 하에서 측정하였다.
  • 모든 한약재 추출물은 100mg/kg의 농도로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동물 체중 kg 당 5 ml의 용량으로 금속제 Zonde가 부착된 3 ml 주사기(syringe)를 이용하여, 유문⋅전위부 결찰 수술 1시간 전 강제 경구 투여하였으며, 10mg/kg의 omeprazole 역시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동일한 방법으로 유문·전위부 결찰 수술 1시간 전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二陳湯加味方을 구성하고 있는 8가지 개별 한약재(半夏, 陳皮, 赤茯笭, 蒼朮, 神穀, 麥芽, 黃蓮 및 甘草)의 역류성 식도염 및 이와 관련된 식도 점막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문⋅전위부 결찰 수술 실시 1시간 전 개별 한약재 추출물을 각각 100 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하고, 유문⋅전위부 결찰 수술 6시간 후 모든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식도 손상 부위 면적(lesion score; mm2/organs), 위내용물의 양(gastric volume), 위산 분비도(gastric acid output), pepsin 분비도, 항산화 효과, 식도 점막의 sialic acid와 당단백질 함량의 변화 및 식도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각각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二陳湯加味方을 구성하고 있는 8가지 개별 한약재인 반하, 진피, 적복령, 창출, 신곡, 맥아, 황련 및 감초, 각각의 역류성 식도염 및 이와 관련된 위 점막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유문⋅전위부 결찰 수술로 유발된 랫트 역류성 식도염 모델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는 PPI 계열인 omeprazole 10 mg/kg 투여군3 과 비교⋅평가하였다.
  • 선정된 각각의 약재를 정제수 2000 ml로 가열 추출한 후, 흡인 여과한 여과액을 rotary vacuum evaporator(N-N type; LAB Camp, Dajeon, Korea)로 감압⋅농축하여 점조성의 추출물을 얻은 다음 programmable freeze dryer(PVTFD10A; ilShin Lab., Seoul, Korea)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연갈색 또는 진갈색의 반하 25.31%, 진피 18.86%, 적복령 20.54%, 창출 19.61%, 신곡 18.07%, 맥아 17.65%, 황련 21.17% 및 감초 20.44% 수율의 물 추출물을 각각 얻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식도 homogenate 0.2 ml를 3.4 ml의 1.6% orcinol 용액과 4 ml의 60% sulfuric acid를 혼합한 다음, 10분 간 끓인 다음 냉각시키고, optical density를 흡광도 425 nm에서 측정하여, total hexose 함량을 galactose-mannose 표준 곡선과 비교⋅측정하였다.
  • 유문 및 전위부 결찰 수술 6시간 후, 식도-분문 위 연접부에서 대략 5 cm 정도 위쪽 부분의 식도의 조직을 분리하여 10% NBF에 고정한 다음, 탈수, 포매를 거쳐 파라핀 block을 준비하고, 3 μm의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Hematoxylin-Eosin염색을 실시하여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 , Spain)를 이용하여 결찰하고, 순차적으로 전위와 분문 사이의 limiting ridge 부분을 동일한 방법으로 결찰하였다. 유문 및 전위부 결찰 직후 복강과 피부를 폐쇄하여,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였다. 한편 sham 대조군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위를 노출한 다음 유문부 및 전위부 결찰을 실시하지 않고 동일한 방법으로 창강을 폐쇄하였다.
  • 88마리의 암컷 Sprague-Dawely 랫트(6-wk old upon receipt, SLC, Japan)를 14일간의 순화과정을 거쳐, 체중 220~250 g 사이에서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순화과정 및 실험 전 기간동안 온도(20~25℃)와 습도(30~35%)가 조절된 사육실에서 랫트용 polycarbonate 사육상자에 4마리씩 수용하여 사육하였고, 명암 주기(light:dark cycle)는 12시간 주기로 조절하였으며, 사료(Samyang, Korea)와 음수는 자유롭게 공급하였다. 이중 80마리는 유문 및 전위부 결찰로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였으며, 나머지 8마리는 위 수술 정상 대조군(sham control)으로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모든 실험동물은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10에 준하여 취급하였으며, 대구한의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동물실험윤리 규정을 준수하여 실시하였다.
  • 이후 분홍색의 cyclohexane이 분리될 때까지 원심 분리하고,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μg/100mg tissue 단위로 측정하였다.
  • /organs), 위내용물의 양(gastric volume), 위산 분비도(gastric acid output), pepsin 분비도, 항산화 효과, 식도 점막의 sialic acid와 당단백질 함량의 변화 및 식도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각각 관찰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식도의 지질과산화(malonyldialdehyde; MDA 함량),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 및 glutathione(GSH) 함량의 변화를 기초로 하여 평가하였으며, 식도 병변의 침습률 및 점막의 두께를 각각 histomorphometry적으로 측정하였다. 개별 한약재의 효과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PPI 계열인 omeprazole 10 mg/kg 투여군과 비교·평가 하였다.

대상 데이터

  • 88마리의 암컷 Sprague-Dawely 랫트(6-wk old upon receipt, SLC, Japan)를 14일간의 순화과정을 거쳐, 체중 220~250 g 사이에서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순화과정 및 실험 전 기간동안 온도(20~25℃)와 습도(30~35%)가 조절된 사육실에서 랫트용 polycarbonate 사육상자에 4마리씩 수용하여 사육하였고, 명암 주기(light:dark cycle)는 12시간 주기로 조절하였으며, 사료(Samyang, Korea)와 음수는 자유롭게 공급하였다. 이중 80마리는 유문 및 전위부 결찰로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였으며, 나머지 8마리는 위 수술 정상 대조군(sham control)으로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된 二陳湯加味方 개별 한약재는 약업사(효성약업사, 대구, Korea)에서 매입한 것을 현미경하에서 관능검사를 통하여 선정하여 사용 하였으며, 개별 추출물 각각의 특징 및 수율은 Table 1과 같다. 선정된 각각의 약재를 정제수 2000 ml로 가열 추출한 후, 흡인 여과한 여과액을 rotary vacuum evaporator(N-N type; LAB Camp, Dajeon, Korea)로 감압⋅농축하여 점조성의 추출물을 얻은 다음 programmable freeze dryer(PVTFD10A; ilShin Lab.
  • 실험동물은 군당 8마리씩 Table 2에 기록한 11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한약재 추출물은 100mg/kg의 농도로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동물 체중 kg 당 5 ml의 용량으로 금속제 Zonde가 부착된 3 ml 주사기(syringe)를 이용하여, 유문⋅전위부 결찰 수술 1시간 전 강제 경구 투여하였으며, 10mg/kg의 omeprazole 역시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동일한 방법으로 유문·전위부 결찰 수술 1시간 전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 추출된 한약재는 대구한의대학교 방제과학 글로벌 연구센터에서 샘플을 보관하였다. 한편 omeprazole은 Sigma-Aldrich(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모든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다중비교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고, 분산동질성을 Levene test를 실시하여 검증 하였다. 등분산일 경우, one way ANOVA test를 실시한 다음 least-significant differences(LSD) test로 사후 검증을 실시하여 군간의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비등분산일 경우에는 비모수 검증인 Kruskal-Wallis H 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이 인정된 경우에는, Mann-Whitney U(MW) test 를 실시하여 군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 모든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다중비교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고, 분산동질성을 Levene test를 실시하여 검증 하였다.
  • 등분산일 경우, one way ANOVA test를 실시한 다음 least-significant differences(LSD) test로 사후 검증을 실시하여 군간의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비등분산일 경우에는 비모수 검증인 Kruskal-Wallis H 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이 인정된 경우에는, Mann-Whitney U(MW) test 를 실시하여 군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PSS for Windows(Release 14.

이론/모형

  • 14의 방법으로 bovine serum albumin을 standard로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지질 과산화 정도(lipid peroxidation)는 Jamall과 Smith15의 방법으로 2-thiobarbituric acid를 이용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UV-3600, Shimadzu Scientific Instruments, CO, USA)로 흡광도 525 nm에서 측정하여, MDA(nmole)/mg protein 단위로 측정하였고, 과산화수소(H2O2) 분해 능을 이용하여 catalase 함량을 흡광도 240 nm에서 측정하였다. SOD 활성은 Kakkar et al.16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GSH 함량은 Moron et al.
  • Sairam et al.12의 방법에 따라, 원심분리한 위 내용물에서 hemoglobin을 발색제로 이용하여, Pepsin 분비도를 μmol of tyrosine/6 hrs로 측정하였다.
  • 16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GSH 함량은 Moron et al.17의 방법에 따라 mg of GSH/mg tissue 단위로 측정하였다.
  • 또한 이전의 Ku et al.19의 방법에 준하여, 식도 점막 두께를 각각 CCD image analyzer(DMI-300, DMI, Korea)를 이용하여, μm/crossly trimmed tissues로 측정하였다.
  • 이중 80마리는 유문 및 전위부 결찰로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였으며, 나머지 8마리는 위 수술 정상 대조군(sham control)으로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모든 실험동물은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10에 준하여 취급하였으며, 대구한의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동물실험윤리 규정을 준수하여 실시하였다.
  • 4)을 이용하여 homogenize 한 다음, 800× g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고, 다시 12,000× g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mitochondrial fraction을 준비하였다. 이후 식도 내 단백질 함량은 Lowry et al.14의 방법으로 bovine serum albumin을 standard로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지질 과산화 정도(lipid peroxidation)는 Jamall과 Smith15의 방법으로 2-thiobarbituric acid를 이용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UV-3600, Shimadzu Scientific Instruments, CO, USA)로 흡광도 525 nm에서 측정하여, MDA(nmole)/mg protein 단위로 측정하였고, 과산화수소(H2O2) 분해 능을 이용하여 catalase 함량을 흡광도 240 nm에서 측정하였다. SOD 활성은 Kakkar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은? 역류성 식도염은 하부식도 점막에 염증이 생기면서 식도 조직의 부종, 출혈, 점막의 괴사 박리 등이 일어나고 결국에는 섬유화 협착이 되는 질환이다1.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은 산의 역류에 의한 점막 상해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역류성 식도염의 주된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 이에 따라 다양한 항산화제(antioxidant)가 역류성 식도염에 비교적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이와 함께 sialic acid를 포함한 당단백질이 이들의 변화 역시, 역류성 식도염의 진행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알려져 있다4.
역류성 식도염이란? 역류성 식도염은 하부식도 점막에 염증이 생기면서 식도 조직의 부종, 출혈, 점막의 괴사 박리 등이 일어나고 결국에는 섬유화 협착이 되는 질환이다1.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은 산의 역류에 의한 점막 상해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역류성 식도염의 주된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 이에 따라 다양한 항산화제(antioxidant)가 역류성 식도염에 비교적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제 개발시 하나의 대조약물로 흔히 이용되는 약물은?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생활습관의 조절, 제산제, 위 장관 운동 조절제, histamine type 2 receptor antagonist 및 proton pump inhibitor(PPI) 제제, 수술 요법 등이 알려져 있으나, 치료반응이 있어도 지나치게 자주 재발하거나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4. 이중 omeprazole은 대표적인 PPI 제제로, 현재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 개발에 있어 하나의 대조약물(reference drug)로 흔히 이용되고 있고5, 유문 결찰 역류성 식도염 모델에서도 그 치료효과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6, 근래에 들어 유리 활성산소 제거에 의한 항산화 효과 역시 밝혀져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이귀녕, 이종순. 임상병리파일. 서울: 의학문화 사; 1996, p. 138. 

  2. Oh TY, Lee JS, Ahn BO, Cho H, Kim WB, Kim YB, et al. Oxidative damages are critical in pathogenesis of reflux esophagitis: implication of antioxidants in its treatment. Free Radic Biol Med 2001;30:905-15. 

  3. Rao CV, Vijayakumar M. Effect of quercetin, flavonoids and alpha-tocopherol, an antioxidant vitamin on experimental reflux oesophagitis in rats. Eur J Pharmacol 2008;589:233-8. 

  4. Castell DO. Medical therapy for reflux esophagitis :1986.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986;104(1) :112-4. 

  5. McKeage K, Blick SK, Croxtall JD, Lyseng- Williamson KA, Keating GM. Esomeprazole: a review of its use in the management of gastric acid-related diseases in adults. Drugs 2008;68 :1571-607. 

  6. Min YS, Bai KL, Yim SH, Lee YJ, Song HJ, Kim JH, et al. The effect of luteolin-7-O-beta-Dglucuronopyranoside on gastritis and esophagitis in rats. Arch Pharm Res 2006;29:484-9. 

  7. 황지영, 김대준, 변준석. 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二陳湯加味方효과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5):1073-9. 

  8. 김희준, 임소연, 곽민아, 김대준, 변준석. 역류성 식도염 유발 흰쥐에 대한 이진탕가미방(二陳湯 加味方)의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31(1) :128-41. 

  9. 박 경, 곽민아, 김대준, 변준석. 이진탕가미방 (二陳湯加味方)의 항산화 효과를 통한 역류성 식도염 억제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24: 416-25. 

  10. Albus U.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Lab Anim 2012;46(3) :267-8. 

  11. Nakamura K, Ozawa Y, Furuta Y, Miyazaki H. Effects of sodium polyacrylate (PANa) on acute esophagitis by gastric juice in rats. Jpn J Pharmacol 1982;32:445-56. 

  12. Sairam K, Rao CV, Dora BM, Kumar KV, Agrawal VK, Goel RK. Antiulcerogenic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of Emblica officinalis: an experimental study. J Ethnopharmacol 2002; 82:1-9. 

  13. Rao CV, Ojha SK, Radhakrishnan K, Govindarajan R, Rastogi S, Mehrotra S, et al. Antiulcer activity of Utleria salicifolia rhizome extract. J Ethnopharmacol 2004;91:243-9. 

  14. Lowry OH, Rosenbrough NJ, Farr AL, Randall RJ.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51;193:265-75. 

  15. Jamall IS, Smith JC. Effects of cadmium on glutathione peroxidase, superoxidase dismutase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rat heart: a possible mechanism of cadmium cardiotoxicity. Toxicol Appl Pharmacol 1985;80:33-42. 

  16. Kakkar P, Das B, Viswanathan PN. Modified spectrophotometric assay of SOD. Indian J Biochem Biophys 1984;2:130-2. 

  17. Moron MS, Despierre JW, Mannervik B. Levels of glutathione, gluta -thione reductase and glutathione s transferase activities in rat lung and liver. Biochem Biophys Acta 1979;582 :67-78. 

  18. Warren L. The thiobarbituric acid assay of sialic acids. J Biol Chem 1959;234:1971-5. 

  19. Ku SK, Seo BI, Park JH, Park GY, Seo YB, Kim JS, et al. Effect of Lonicerae Flos extracts on reflux esophagitis with anti -oxidant activity. World J Gastroenterol 2009;15:4799-805. 

  20.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비계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8, p. 317. 

  21. 馬元臺, 張隱庵. 黃帝內經素問, 서울: 성보사; 1975, p. 260-5. 

  22. Han MH, Yang XW, Zhong GY, Zhang M. Bioactive constituents inhibiting TNF-alpha production in fresh rhizome of Pinellia ternata. Zhongguo Zhong Yao Za Zhi 2007;32:1755-9. 

  23. Niijima A, Okui Y, Kubo M, Higuchi M, Taguchi H, Mitsuhashi H, et al. Effect of Pinellia ternata tuber on the efferent activity of the gastric vagus nerve in the rat. Brain Res Bull 1993;32:103-6. 

  24. Lee NK, Choi SH, Park SH, Park EK, Kim DH. Antiallergic activity of hesperidin is activated by intestinal microflora. Pharmacology 2004; 71:174-80. 

  25. Schinella GR, Tournier HA, Prieto JM, Mordujovich de Buschiazzo P, Rios JL. Antioxidant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plant extracts. Life Sci 2002;70:1023-33. 

  26. Yasukawa K, Kaminaga T, Kitanaka S, Tai T, Nunoura Y, Natori S, et al. 3 beta-phydroxybenzoyldehydrotumulosic acid from Poria cocos, and its anti-inflammatory effect. Phytochemistry 1998;48:1357-60. 

  27. Satoh K, Nagai F, Kano I. Inhibition of H+, K+-ATPase by hinesol, a major component of So-jutsu, by interaction with enzyme in the E1 state. Biochem Pharmacol 2000;59:881-6. 

  28. Li CQ, He LC, Jin JQ. Atractylenolide I and atractylenolide III inhibit Lipopolysaccharide -induced TNF-alpha and NO production in macrophages. Phytother Res 2007;21:347-53. 

  29. Resch M, Steigel A, Chen ZL, Bauer R. 5-Lipoxygenase and cyclo oxygenase-1 inhibitory active compounds from Atractylodes lancea. J Nat Prod. 1998;61:347-50. 

  30. Yoshizawa M, Yokoyama K, Nakano Y, Nakamura H. Protective effects of barley and its hydrolysates on gastric stress ulcer in rats. Yakugaku Zassh. 2004;124:571-5. 

  31. Kanauchi O, Iwanaga T, Andoh A, Araki Y, Nakamura T, Mitsuyama K, et al. Dietary fiber fraction of germinated barley foodstuff attenuated mucosal damage and diarrhea, and accelerated the repair of the colonic mucosa in an experimental colitis. J Gastroenterol Hepatol 2001;16:160-8. 

  32. Mei YQ, Song SQ. Response to temperature stress of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enzymes in the cross-tolerance of barley seed germination. J Zhejiang Univ Sci B 2010;11 :965-72. 

  33. Cho JY, Park J, Yoo ES, Yoshikawa K, Baik KU, Lee J, et al. Inhibitory effect of lignans from the rhizomes of Coptis japonica var. dissecta on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in lipopoly 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Arch Pharm Res 1998;21:12-6. 

  34. Lee CJ, Lee JH, Seok JH, Hur GM, Park YC, Seol IC, et al. Effects of baicalein, berberine, curcumin and hesperidin on mucin release from airway goblet cells. Planta Med 2003;69:523-6. 

  35. Fukai T, Marumo A, Kaitou K, Kanda T, Terada S, Nomura T. Anti-Helicobacter pylori flavonoids from licorice extract. Life Sci 2002; 71:1449-63. 

  36. Shin EM, Zhou HY, Guo LY, Kim JA, Lee SH, Merfort I,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lycyrol isolated from Glycyrrhiza uralensis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Int Immunopharmacol 2008;8:1524-32. 

  37. Hunt RH. Importance of pH control in the management of GERD. Arch Intern Med 1999;159:649-57. 

  38. Wang C, Hunt RH. Precise role of acid in non-erosive reflux disease. Digestion 2008;78 Suppl 1:31-41. 

  39. Farhadi A, Fields J, Banan A, Keshavarzian A. Reactive oxygen species: are they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GERD, Barrett's esophagus and the Latter's progression toward Esophageal cancer? Am J Gastroenterol 2002;97:22-6. 

  40. Wiseman H, Halliwell B. Damage to DNA by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role in inflammatory disease and progressive to cancer. Biochem J 1992;313:17-29. 

  41. Sillanaukee P, Ponnio M, Jaaskelainen P. Occurrence of sialic acids in healthy humans and different disorders. Eur J Clin Investig 1999;29:413-25. 

  42. Kuroiwa Y, Okamura T, Ishii Y, Umemura T, Tasaki M, Kanki K, et al. Enhancement of esophageal carcinogenesis in acid reflux model rats treated with ascorbic acid and sodium nitrite in combination with or without initiation. Cancer Sci 2008;99:7-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