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면 온도 변화가 서해상 강설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SST Deviations on Heavy Snowfall over the Yellow Sea

대기 = Atmosphere, v.23 no.2, 2013년, pp.161 - 169  

정재인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박록진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istribution on heavy snowfall over the Yellow Sea using high-resolution SST products and WRF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simulations in 30 December 2010. First, we evaluate the model by comparing the simulated and observed f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 5 km의 상세 공간 해상도를 가지며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온도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알려진 Operationa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ea Ice Analysis (OSTIA) 상세 해수면 자료를 이용하여 2010년 12월 30일 전라도, 충청도 등 서해안 지역에 내린 강설 사례에 대해 해수면 온도 민감도에 따른 서해상 대기장 및 강설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사례는 한반도가 저기압의 이동통로가 되면서 서해안과 중부 지방으로 눈구름이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전라도를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린 사례이다.
  • 본 연구는 동일한 해수면 온도 자료를 이용한 민감도 실험을 통해 해수면 온도가 겨울철 대기장 및 강설에 영향을 끼침을 보였다. 다만 모의 기간 동안 강한 북서풍 계열의 종관풍이 나타났기 때문에 해수면 온도가 바람장 변화에 기여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 본 연구에서 겨울철 강설 모의에 있어 해수면 온도의 중요성 및 그에 대한 대기장의 영향을 보였다. 위성 해수면 자료의 제곱평균오차 범위 내에서 민감도 실험을 수행한 결과 해수면 온도를 일률적으로 1.
  • 본 연구에서는 2010년 12월 30일 서해상 및 충청, 전라도 지역에 발생한 강설 사례에 대해서 중규모 수치 모형 (WRF)을 이용하여 모의하고 해수면 온도 변화에 의한 대기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서 민감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규준 실험은 한반도 근해에서 관측과 가장 유사하다고 알려진 0.
  •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 온도의 영향에 따른 기상장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규준 실험과 세가지 민감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해수면 온도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모델 수행 영역은 동아시아 영역, 중국 동부와 한반도가 포함된 영역, 그리고 서해를 중심으로 한 영역 등 총 3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격자 간격은 각각 18 km, 6 km, 2 km의 양방향 둥지 격자체계 (two-way nesting)로 구성하였다 (Fig.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세 해수면 온도자료의 민감도 실험을 통하여 해수면 온도의 변화가 서해상 대기장 및 강설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별 OSTIA 상세 해수면 자료를 이용한 수치 모의를 규준 실험 (CTL)으로 사용하였고 민감도 실험은 세 가지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해안에서 나타나는 주된 강설 발생 요인은? 적설량의 편차는 대륙과 해양의 온도차, 해양에서의 충분한 수증기 공급, 바다 위에서의 기단 변질, 바람장에 의한 수렴 효과, 산악 효과 등에 의해서 나타난다. 이 중 서해안에서 나타나는 주된 강설 발생 요인은 시베리아 고기압이 강화되면서 북서풍 계열의 찬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듯한 서해상을 지날 때 해수면으로부터 열과 수분을 공급받게 되고, 그로 인한 하층 대기의 불안정과 구름줄 (cloud street)과 같은 층적운형 구름 발생이 강설로 이어지는 기단변질형 강설로 알려져 있다 (Cheong et al., 2006; Seol and Hong, 2006).
해수면 온도 변화는 대기 연직 구조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해수면 온도 변화는 대기 연직 구조에도 영향을 끼쳤다. 온도, 기압, 상당온위 및 수증기, 구름, 아이스, 눈과 싸라기를 포함한 대기 수상의 연직 편차가 구름 상층부인 500 hPa까지 전파됨을 보였다. 또한 해수면온도를 일률적으로 상승/하강시켰을 경우 연직구조가 대칭적인 반응을 보였고 이는 대기 현상이 해수면 온도 변화에 선형적으로 반응함을 의미한다. 해수면 온도 감소로 인해 900 hPa 고도에서 아이스상의 증가를 제외한 나머지 대기 수상들은 온도 상승/하강과 혼합비 증가/감소가 뚜렷하게 일치함을 보였다.
적설량의 편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 2006). 적설량의 편차는 대륙과 해양의 온도차, 해양에서의 충분한 수증기 공급, 바다 위에서의 기단 변질, 바람장에 의한 수렴 효과, 산악 효과 등에 의해서 나타난다. 이 중 서해안에서 나타나는 주된 강설 발생 요인은 시베리아 고기압이 강화되면서 북서풍 계열의 찬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듯한 서해상을 지날 때 해수면으로부터 열과 수분을 공급받게 되고, 그로 인한 하층 대기의 불안정과 구름줄 (cloud street)과 같은 층적운형 구름 발생이 강설로 이어지는 기단변질형 강설로 알려져 있다 (Che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eong, S.-H., K.-Y. Byun, and T.-Y. Lee, 2006: Classification of Snowfalls over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Developing Mechanism. Atmosphere, 16, 33-48. 

  2. Cha, Y. M., H. W. Lee, and S. H. Lee, 2011: Impacts of the high-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on modeled snowfall formation over the Yellow Sea during a cold-air outbreak. Wea. Forecasting, 26, 487-503. 

  3. Donlon, C. J., T. J. Nightingale, T. Sheasby, J. Turner, I. S. Robinson, and W. J. Emery, 1999: Implications of the oceanic thermal skin temperature deviation at high wind speed. Geophys. Res. Lett., 26, 2505-2508. 

  4. Donlon, C. J., M. Martin, J. Stark, J. Roberts-Jones, E. Fiedler, and W. Wimmer, 2012: The Operationa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ea Ice Analysis (OSTIA) system. Remote Sens. Environ., 140-158. 

  5. Dudhia, J., 1989: Numerical study of convection observed during the winter monsoon experiment using a mesoscale two-dimensional Model. J. Atmos. Sci., 46, 3077- 3107. 

  6. Hong, S.-Y., Y. Noh, and J. Dudhia, 2006: A new vertical diffusion package with an explicit treatment of entrainment processes. Mon. Wea. Rev., 134, 2318-2341. 

  7. Hong, S.-Y., and J. Dudhia, 2012: Next-generatio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Bridging parameterization, explicit clouds, and large eddies. Bull. Amer. Meteoro. Soc., 93, ES6-ES9. 

  8. Kain, J. S., 2004: The Kain-Fritsch convective parameterization: An update. J. Appl. Meteor., 43, 170-181. 

  9. Kang, S. D., and J. B. Ahn, 2008: Numerical study o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mechanisms of cloud street in the East Sea during cold air outbreak. Asia-Pac. J. Atmos. Sci., 44, 105-119. 

  10. Lee, H.-W., Y.-M. Cha, S.-H. Lee, and D.-H. Kim, 2010: Impact of High-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s on the Simulated Wind Resources in the South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J. Environ. Sci. Int., 19, 171-184. 

  11. Lee, S. H., and C. R. Ryu, 2010: Influence of continuous satellite-based SST distribution on heavy snowfall events over the Korean Peninsula. Int. J. Remote Sens., 31, 2853-2883. 

  12. Lee, Y.-H., 2002: Numerical simulation of structure and property of cloud street over East Sea. Atmosphere, 12, 326-328. 

  13. Lim, K.-S., and S.-Y. Hong, 2010: Development of an effective double-moment cloud microphysics scheme with prognostic cloud condensation nuclei (CCN) for weather and climate models. Mon. Wea. Rev., 138, 1587-1612. 

  14. Liu, A. Q., G. W. K. Moore, K. Tsuboki, and I. A. Renfrew, 2006: The effect of the sea-ice zone on the development of boundary-layer roll clouds during cold air outbreaks. Bound.-Layer. Meteor., 118, 557-581. 

  15. Liu, T., X. Xie, and P. Niiler, 2007: Ocean-atmosphere interaction over Agulhas Extension meanders. J. Climate, 20, 5784, doi:10.1175/2007JCLI1732.1 

  16. Malwer, E. J., S. J. Taubman, P. D. Brown, M. J. Iacono, and S. A. Clough, 1997: Radiative transfer for inhomogeneous atmospheres: RRTM, a validated correlated-k model for the longwave. J. Geophys. Res., 102, 16663- 16682. 

  17. Minobe, S., A. Kuwano-Yoshida, N. Komori, S. P. Xie, and R. J. Small, 2008: Influence of the Gulf Stream on the troposphere. Nature, 452, 206-209. 

  18. Ohtake, H., M. Kawashima, and Y. Fujiyoshi, 2009: The Formation Mechanism of a Thick Cloud Band over the Northern Part of the Sea of Japan during Cold Air Outbreaks. J. Meteor. Soc. Japan, 87, 289-306. 

  19. Park, K.-A., F. Sakaida, and H. Kawamura, 2008: Error Characteristics of Satellite-observed Sea Surface Temperatures in the Northeast Asian Sea. J.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 280-289. 

  20. Park, R. S., Y.-K. Cho, B.-J. Choi, and C. H. Song, 2011: Implications of sea surface temperature deviations in the prediction of wind and precipitable water over the Yellow Sea. J. Geophys. Res., 116, D17106. 

  21. Seol, K.-H., and S.-Y. Hong, 2006: Effects of Physical Parameterizations on the Simulation of a Snowfall Event over Korea Caused by Air-mass Transformation. Atmosphere, 16, 203-213. 

  22. Skamarock, W. C., and Coauthors, 2008: A description of the advanced research WRF version 3. NCAR Tech. Note NCAR/TN-4751STR, 113 pp. 

  23. Song, Q., P. Cornillon, and T. Hara, 2006: Surface wind response to oceanic fronts. J. Geophys. Res., 111, C12006, doi:10.1029/2006JC003680 

  24. Stark, J., C. J. Donlon, M. Martin, and M. McCulloch, 2007: OSTIA: An operational, high resolution, real time, global sea surface temperature analysis system. OCEANS 2007-Europe, 1-4. 

  25. Xie, J., J. Zhu, and Y. Li, 2008: Assessment and inter-comparison of five high-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 products in the shelf and coastal seas around China. Cont. Shelf Res., 28, 1286-1293. 

  26. Yamamoto, M., 2012: Mesoscale structures of two types of cold-air outbreaks over the East China Sea and the effect of coastal sea surface temperature. Meteor. Atmos. Phys., 115, 89-112. 

  27. Young, G. S., D. A. R. Kristovich, M. R. Hjelmfelt, and R. C. Foster, 2002: Rolls, streets, waves, and more: A review of quasi-two-dimensional structures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Bull. Amer. Meteor. Soc., 83, 997-1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