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적 간호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Spiritual Care in Korea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3, 2013년, pp.332 - 343  

유승연 (한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spiritual care in Korea and to mak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Methods: 209 researches from 1981 to 2012 were analyzed. Results: Among the 209 studies reviewed. 74 were thesis studies and 135 for reported research in aca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적 간호와 관련된 국내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1981년부터 2012년 9월까지의 209편의 논문을 연구기간, 연구유형 및 설계, 연구대상자 및 연구자, 주요 개념, 분석방법, 측정도구, 연구주제, 자료분석방법 등에 따라 분석하여 영적 간호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살펴본 연구이다. 전체 논문 209편 중 학위논문은 74편, 비학위논문은 135편으로 2000년대 이후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연구설계는 양적 연구가 169편으로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질적 연구는 소수에 지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영적 간호와 관련된 주제로 연구된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 따라서 영적 간호 연구가 시작된 지 30여년이 지난 현재의 시점에서 종교적 배경을 갖지 않고 지금까지 실시된 영적 간호 연구들을 총체적이고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은 향후 영적 간호연구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81년부터 2012년 9월까지 국내에 발표된 영적 관련 연구들을 분류기준에 따라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영적 간호 연구의 미래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 영적 간호 연구의 방향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적 간호란 무엇인가? 영적 간호는 대상자의 영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총체적 간호의 기본으로(Dayson, Cobb, & Forman, 1997), 전인간호를 지향하는 간호학 이론의 중요한 핵심 개념이다(Ross, 2006). 이러한 영적 간호가 간호계에서 중요하게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이후로 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건강의 개념에 영적인 측면을 제안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영적 간호가 간호계에서 중요하게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인가? 영적 간호는 대상자의 영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총체적 간호의 기본으로(Dayson, Cobb, & Forman, 1997), 전인간호를 지향하는 간호학 이론의 중요한 핵심 개념이다(Ross, 2006). 이러한 영적 간호가 간호계에서 중요하게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이후로 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건강의 개념에 영적인 측면을 제안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후 1998년 5월 제네바에서 열린 세계보건기구 총회에서는 건강을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으로 안녕한 상태’라고 개념을 재정립 하였다.
국내 영적 간호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 국내 영적 간호에 관한 연구의 연도별 연구유형 및 연구유형에 따른 연구설계를 분석한다. • 영적 간호 관련 연구의 대상자를 분류하고 주요 관심 분야를 분석한다. • 연구에 적용된 개념, 측정도구, 분석방법들을 파악한다. • 향후 영적 간호와 관련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 S. J.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health and fatigue in breast surgery patients undergoing adjuvant chemo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2. Dayson, J., Cobb, M., & Forman, D. (1997). The meaning of spirituality: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6, 1183-1191. 

  3. Dossey, B. M., Keegan, L., & Guzzetta, C. E. (2005). Pocket guide for holistic nursing. american holistic nurse's association. Burlingt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Inc. 

  4. Ellison, C. W. (1983). Spiritual well-being: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Psychology & Theology, 11, 330-340. 

  5. Ferrel, B. R., Grant, M. M., Funk, B. M., Otis-Green, S. A., & Garcia, N. J. (1998).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upport services. Oncology Nursing Forum, 25 (3), 887-95. 

  6. Fish, S., & Shelly, J. A. (1978). Spiritual care: The nurse's role. Illinois: Inter Varsity Press. 

  7. Govier, I. (2000). Spiritual care in nursing: A systematic approach. Nursing Standard, 14 (1), 32-36. 

  8. Highfield, M. F. (1992). Spiritual health of oncology patients, nurse and patient perspectives. Cancer Nurs, 15, 1-8. 

  9. Highfield, M. E. (2000). Providing spiritual care to patients with cancer.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4 (3), 115-120. 

  10. Hunglemann, J., Kenkel-Rossi, E., Klassen, L., & Stollenwerk, R. (1989). Spiritual well-being in older adults: Harmonious interconnectedness.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24 (3), 407- 418. 

  11. Jung, J. S. (2004).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about spiritual care. Jesus University Journal of Nursing, 2 (1), 7-20. 

  12. Jung, J. S. (2005). Effects of spiritual nursing care on spiritual well-being, depression, anxiety and pain in terminal patient with canc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3. Kim, K. O. (1990). A survey about the meaning of life and spiritual distress in diabetes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4. Kim, U. J. (1984). A study of spiritual interaction and recovery of health status of in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5. Kim, E. S., Kim, G. S., Kim, D. R., Kim, E. J., Sung, K. M., Shin, H. K., et al. (2004). Trends of nursing science inquiry in doctoral dissert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4 (2), 315-323. 

  16. Kim, Y. H., Choi, G. J., & Kim, S. D. (2009). An analytic study on the trends of spirituality in Korea.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0 (2), 813-829. 

  17. Lee, G. Y., Kim, J. H., & Kim, D. W. (2003).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sca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5 (4), 711-728. 

  18. Lee, Y. H. (2006).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19. Neuman, B. (2003). The process of psychotherapy: A journey of discove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3 (1), 109-109. 

  20. Nowotny, M. L. (1989) As assessment of hope in patients with cancer: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Oncology Nursing Forum, 16 (1), 57-61. 

  21. O'Brien, M. E. (2008). Spirituality in Nursing: Standing on Holy Ground (3rd ed.). Burlingt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Inc. 

  22. Paloutzian, R. F., & Ellison, C. W. (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 the quality of life. In L. A. Peplau, D. Perman (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 therapy (pp224-236). New York: John Wiley & Sones Inc. 

  23. Ross, L. A. (2006). Spiritual care in nursing: An overview of the research to dat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5 (7), 852-862. 

  24. Taylor, E. J., Amenta, M., & Highfield, M. (1995). Spiritual care practices of oncology nurses. Oncology Nursing Forum, 22 (1), 31-39. 

  25. WHOQOL Group. (1993).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WHOQOL): development and general psychometric propertie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46, 1585-1596. 

  26. Wilkinson, J. M. (2008). Nursing process and critical thinking. (J. J. Kim, Y. S. Kim, J. W. Park, J. H. Park, S. H. Yang, Trans.) Seoul: Hyunmoon-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8). 

  27. Yong, J. S., Kim, J. H., Han, S. S., & Puchalski, C. M. (200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assessing spiritual needs for korea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Palliative Care, 24 (4). 240-246. 

  28. Yoo, D. S. (1990). The spirituality, religion, thought and of Korean. Academy of Social Science, 5, 129-162. 

  29. Yoon, M. O. (2009).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for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2 (2), 72-79. 

  30. You, H. S., So, H. S., & Kim, H. S. (2008). Analysis of nursing researches about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 (6), 895-9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