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서의 큰기러기 월동지 비오톱구조와 행동특성 연구
A Study on the Biotope Structure of Wintering Place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nser fabalis in Cheongna Area, Incheon Free Economic Zone,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7 no.3, 2013년, pp.305 - 315  

박병구 (인천광역시청 공원녹지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 조경학과)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 조경학과) ,  곽정인 ((재)환경생태연구재단) ,  임성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 도래하는 큰기러기의 월동지 비오톱구조와 행동특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큰기러기 월동지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청라지구 비오톱의 주요 유형은 갈대습지 $6,093,762m^2$(47.8%), 볏짚이 없는 논 $2,927,916m^2$(23.0%), 볏짚이 있는 논 $1,915,655m^2$(15.0%)이었으며, 얼음이 있는 논, 건조초지 등이 일부 분포하였다. 2005년 2월 13일 현장조사 결과 청라지구에서 관찰된 전체 야생조류는 총 33종 6,534개체이었으며, 이 중 큰기러기는 총 5,128개체이었고 출현한 전체 종 중 78.5%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다. 큰기러기 이동경로 분석 결과, 일출 전 후를 기점으로 잠자리에서 채식지로 이동하였고, 일몰 전 후를 기점으로 채이장소에서 잠자리로 이동하였다. 큰기러기의 행동특성과 비오톱 유형의 관계를 종합해보면, 갈대습지에서 큰기러기 개체군의 출현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얼음이 녹은 무논에서 큰기러기의 출현 개체수가 가장 많았다. 갈대습지에서 큰기러기는 식물의 뿌리 및 열매를 채식하였으며, 얼음이 녹은 무논에서는 낙곡 채식, 휴식, 수면하는 등 다양한 행태를 보였고 볏짚이 있는 논과 볏짚이 없는 논에서는 낙곡 채식 및 휴식을 하였다. 큰기러기의 출현 개체수는 논에서는 논경작지의 유형보다 낙곡 유무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intering site for Anser fabalis population in Cheongna Area, Incheon Free Economic Zone, Korea through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otop structure of its wintering site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당시 조사된 자료는 기러기류의 월동지 이용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를 대상으로 비오톱조사를 통해 큰기러기의 월동지 특성을 밝히고 큰기러기 이용현황 및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향후 큰기러기의 월동지 보전방안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 현장조사는 2005년 2월에 실시하였다. 청라지구 비오톱 조사는 청라지구에서 월동하는 기러기류의 정확한 월동지 분석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비오톱조사에서 도면화는 1/1,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청라지구의 토지이용 · 경작형태 · 식생상관 등을 기준으로 하였고, 비오톱 유형화는 조사결과와 기존 논문 고찰을 바탕으로 큰기러기의 행동특성을 고려하여 분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청라지구는 무엇이 추진되었나? 1990년대 들어서 우리나라는 급변하는 세계경제의 경쟁시장에서 국가생존전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안을 매립하여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청라지구에는 국제금융업무단지, 스포츠․레저단지, 첨단화훼단지 등을 조성하고 국제적 수준의 교통인프라와 물류시설을 갖춘 문화와 레저가 복합된 비즈니스 도시건설이 추진되고 있었다(Incheon Metropolitan City, 2003).
청라지구의 지리적 특징은? 본 연구의 대상지인 청라지구는 대략 동경 126° 37′, 북위 37° 28′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남북으로는 한반도의 한가운데이며, 동서로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의 서부지역이었다. 지구 서측 영종대교 건너편에 인천국제공항이 입지하고 있으며, 지구 주변에 수도권매립지, 청라광역폐기물소각장 등 환경처리시설이 다수 입지하고 있었다.
갈대습지와 얼음이 있는 논이 큰 기러기의 주요 활동공간으로 판단된 이유는? Table 8의 비오톱 유형별 큰기러기 출현개체수를 살펴보면, 큰기러기는 얼음이 있는 논에서 가장 많은 5,500개체가 출현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갈대습지에서 2,300개체가 출현하였다. 하지만 출현밀도는 갈대습지에서 460개체/ha, 얼음이 있는 논에서 112개체/ha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갈대습지와 얼음이 있는 논은 큰기러기의 주요 활동공간이 었으며, 특히 갈대습지는 큰기러기의 서식밀도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월동지로서의 가치가 높은 공간으로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olin, J.B., N.D. Burgess and D.A. Hill(1997)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limited(4th), London, 257pp. 

  2. Hahm, K.H.(2000) Studies on the variation of birds within the Junam reservoir in the last ten years(1989-1998), J. Basic Sci. Res. Inst. Vol. 8, pp. 73-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an, B.H.(2000) Ecological Assessment and Planting Models of Green Linkage for Eco-city Realization. Ph. D.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27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ooper, R.G., H.S. Grawford and R.F. Harlow(1973) Bird density and diversity as related to vegetation in forest recreational area. J. of forestry 71: 766-799. 

  5. Incheon Metropolitan City(2003) General Report of planning for Incheon Free Economic Zone. Korea, 491pp. (in Korean) 

  6. Jo, W.(2000) Study on the Techniques for Planting Plan in a Coastal Reclaimed Land.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Incheon, 170pp. (in Korean) 

  7. Lee, D.P.(2000) Present Status and Protection of Birds Wintering in Reclaimed Reservoirs of Southwest Coast, Korea. Journal of The Institute Technology Honam University Vol. 8: 253-263. (in Korean) 

  8. Lee, H.J.(2007) Bird community of the Upo wetland, Ramsar site - Wintering characteristics of the Been goose -. A Master's degre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6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W.S. and C.Y. Park(1995) Analysis of Changes on the Forest Environment and the Bird Community in Terms of Guild. Korean J. Ecol. 18(3): 397-4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Park, B.K.(2007) Study on the Conservation Planning for Geeses' Habitats in Cheongra Free Economic Zone, Incheon Metropolitan City.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 of Seoul, 86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Park, H.J.(2010) Analysis on the planning process and factors affecting on planning change in the IFEZ Cheongna District. A Master's degree. Univ. of Seoul, Seoul, Korea, 13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Park, J.Y. and B.O. Won(1993) Wintering ecology of Bean geese Anser Fabalis and White-fronted geese A. albifrons in Junam Reservoirs, Korea. Chronological list of Kyunghee University IV: 1-24. 

  13. The Ministry of Environment(2004) Comprehensive report on winter bird monitoring(1999-200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 620pp. (in Korean) 

  14. The Ministry of Environment(2005) Comprehensive report on winter bird monitoring.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 418pp. (in Korean) 

  15. The Ornithological Society of Korea(2009) Checklist of the Birds of Korea. Seoul, 133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Won, B.H.(1987) Flock of Anas formosa's new wintering habitats that Junam Reservoir in Korea. Nature Conservation 59: 2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Won, B.H., N.S. Choi and J.I. Lee(1979) Study of natural monument wintering-birds in the Estuary of Naktong-river in Korea. Academic Society 7(1): 237-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Yang, W.J.(1998)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ith relevance to existing and future development proposals, Korea.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Kyungnam University 21: 57-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