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성당뇨병 임부에 대한 사례관리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Case Manag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Anxiety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9 no.2, 2013년, pp.88 - 98  

백은숙 (분당차병원) ,  박혜자 (차 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ase manag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anxiety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Methods: Thirty-seven patients who enrolled in a diabetes outpatient clinic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19) or a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가-관리 교육을 받은 후 정상 혈당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임신성 당뇨병 임부를 대상으로 사정, 계획, 중재, 및 평가 과정으로 구성된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당뇨병 자가-관리의 중요한 영향 요인인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사례관리 프로그램이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를 대상으로 당뇨병 자가-관리 교육의 표준을 기초로 사정, 계획, 중재, 및 평가 과정으로 구성된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례관리 프로그램은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를 대상으로 사정, 계획, 중재, 및 평가 과정으로 구성된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례관례 프로그램은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자기효능을 증진시키고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임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성 당뇨병 임부에게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여 임상 실무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임신성 당뇨병 임부를 관리할 때 주산기 합병증 발병과 제 2형 당뇨병의 발생위험 및 태아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심한 고혈당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한데(KDA, 2005), 본 연구에서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 교육 시 혈당과 당화 혈색소가 정상 범위 내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관리하였고 심한 고혈당 임부는 입원치료를 하기 때문에 연구대상에서 제외되어 혈당관리를 포함한 자가-관리 증진을 촉진하는 요인인 자기효능감, 우울 및 불안에 사례관리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3.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불안 수준이 낮을 것이다.
  • 가설 2.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 수준이 낮을 것이다.
  • 가설1.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성 당뇨병이 유발하는 임부의 우울 증상은 어떤 부정적 영향을 가져오는가? , 1989). 우울은 증상이 심하지 않더라도 지속적인 특성을 가지며(Campayo, Gómez-Biel, & Lobo,2011), 당대사조절 감소, 약물요법과 식이요법 이행 감소, 삶의 질 감소 및 건강관리 비용을 높이는 부정적인 요인이다(Lustman & Clouse, 2005).
임신성 당뇨병이란 무엇인가? 임신성 당뇨병은 태아 성장에 중요한 여러 태반 호르몬 분비 증가로 임신 중 처음 발견되는 당뇨병 또는 내당능 장애를 의미하며 임신성 당뇨병 유병률은 총 임신의 7% 정도이고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2010) 국내에서도 임신성 당뇨병 유발요인의 하나인 비만 여성인구 증가로 총 임신의 4~6%까지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매년 16,000 명의 환자가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된다(Korean Diabetes Association [KDA],2005).
임신성 당뇨병은 어떤 위험을 야기하는가? 임신성 당뇨병이 건강문제로 대두되는 이유는 105 mg/dL 이상의 공복 고혈당이 자궁 내 태아 사망, 거대아 위험성, 신생아 저혈당, 외상, 거구증, 광선요법이 필요한 황달, 임부 고혈압, 자간전증, 높은 제왕절개술, 유도 분만과 같은 중증 주산기 합병증 발생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KDA, 2005). 그러나 이런 주산기 합병증 발생은 정상 임부와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었고 일부에서만 발생하는데 이는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된 산모가 철저하게 당뇨병 자가-관리와 산전 관리를 한 결과로 생각된다(J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0).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0. Diabetes Care, 33(Suppl 1), S11-61. http:// dx.doi.org/10.2337/dc10-S011 

  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3. Beck, A. T., & Beamesderfer, A. (1974). Assessment of depression: The depression inventory. Modern Problems of Pharmacopsychiatry, 7, 151-169. 

  4. Beck, A. T., Epstein, N., Brown, G., & Steer, R. A. (1988).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Consult and Clinical Psychology, 56, 893-897. 

  5. Bowen, A., & Muhajarine, N. (2006). Antenatal depression. Canadian Nurse, 102, 26-30. 

  6. Campayo, A., Gomez-Biel, C. H., & Lobo, A. (2011). Diabetes and depression. Current Psychiatry Reports, 13, 26-30. http:// dx.doi.org/10.1007/s11920-010-0165-z 

  7. Choi, E. S., Oh, J. A., Hur, M. H., Lee, I. S., & Choi, S. Y. (2000). The knowledge and learning needs about gestational diabetes in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6, 96-108. 

  8.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9. Coleman, K., Austin, B. T., Brach, C., & Wagner, E. H. (2009). Evidence on the chronic care model in the new millennium. Health Affairs, 28, 75-85. http://dx.doi.org/10.1377/hlthaff. 28.1.75 

  10. Crowther, C. A., Hiller, J. E., Moss, J. R., McPhee, A. J., Jeffries, W. S., & Robinson, J. S. (2005). Effect of treatment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on pregnancy outcome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2, 2477-2486. 

  11. Daniells, S., Grenyer, B. F., Davis, W. S., Coleman, K. J., Burgess, J. A., & Moses, R. G. (2003).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s a diagnos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maternal anxiety and stress in the short and intermediate term? Diabetes Care, 26, 385-389. 

  12. Gabbay, R. A., Lendel, I., Saleem, T. M., Shaeffer, G., Adelman, A. M., Mauger, D. T., et al. (2006). Nurse case management improves blood pressure, emotional distress and diabetes complication screening.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71, 28-35. 

  13. Gu, M. O. (1994).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self regulation, situational barriers and self care behavior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4, 635-651. 

  14. Hahn, H. M., Yum, T. H., Shin, Y. W., Kim, K. H., Yoon, D. J., & Chung, K. J. (1986).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5, 487-500. 

  15. Held, R. F., DePue, J., Rosen, R., Bereolos, N., Nu'usolia, O., Tuitele, J., et al. (2010). Patient and health care provider views of depressive symptoms and diabetes in American Samoa. Cultural Diversity & Ethnic Minority Psychology, 16 , 461-467. http://dx.doi.org/10.1037/a0020089. 

  16. Hjelm, K., Berntorp, K., Frid, A., Aberg, A., & Apelqvist, J. (2008). Beliefs about health and illness in women managed for gestational diabetes in two organizations. Midwifery, 24, 168- 182. 

  17. Homko, C. J., Sivan, E., & Reece, E. A. (2002). The impact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on self-efficacy and pregnancy outcomes in women with diet-controlled gestational diabetes. Diabetes Educator, 28, 435-443. 

  18. Ilioudi, S., Lazakidou, A., & Tsironi, M. (2010).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better patient self-management and self-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Healthcare, 5, 327-339. 

  19. Jang, H. C., Cho, Y. M., Park, K. S., Kim, S. Y., Lee, H. K., Kim, M. Y., et al. (2004). Pregnancy outcome in Korea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agnosed by the Carpenter- Coustan criteria. Journal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8, 122-130. 

  20. Koh, D., Miller, Y. D., Marshall, A. L., Brown, W. J., & McIntyre, D. (2010). Health-enhancing physical activity behaviour and related factors in postpartum women with recent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13, 42-45. http://dx.doi.org/10.1016/j.jsams.2008.10. 003 

  21.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05).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 2005. Clinical Diabetes, 6 (3-4), 206-209. 

  22. Kozhimannil, K. B., Pereira, M. A., & Harlow, B. L. (2009). Association between diabetes and perinatal depression among low-income mothers.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1, 842-847. http://dx.doi.org/10.1001/jama.2009. 201. 

  23. Kwik, M., Seeho, S. K., Smith, C., McElduff, A., & Morris, J. M. (2007). Outcomes of pregnancies affected by impaired glucose tolerance.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77, 263-268. 

  24. Lustman, P. J., & Clouse, R. E. (2005). Depression in diabetic pati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mood and glycemic control.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19 , 113- 122. 

  25. Mensing, C., Boucher, J., Cypress, M., Weinger, K., Mulcahy, K., Barta, P., et al. (2006). National standards for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Diabetes Care, 29 (Suppl 1), S78- 85. 

  26. Rumbold, A. R., & Crowther, C. A. (2002). Women's experiences of being screened fo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The Australian & New Zealand Journal of Obstetrics & Gynaecology, 42, 131-137. 

  27. Spirito, A., Williams, C., Ruggiero, L., Bond, A., McGarvey, S. T., & Coustan, D. (1989). Psychological impact of the diagnosis of gestational diabetes. Obstetrics and Gynecology, 73, 562- 566. 

  28. Stuckey, H. L., Dellasega, C., Graber, N. J., Mauger, D. T., Lendel, I., & Gabbay, R. A. (2009). Diabetes nurse case management and motivational interviewing for change (DYNAMIC): Study design and baseline characteristics in the chronic care model for type 2 diabetes. Contemporary Clinical Trials, 30, 366- 374. http://dx.doi.org/10.1016/j.cct.2009.03.002 

  29. Yook, S. P., & Kim, Z. S. (1997). A clinical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Comparative study of patient and non-patient.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6, 185-197. 

  30. Zehle, K., Smith, B. J., Chey, T., McLean, M., Bauman, A. E., & Cheung, N. W. (2008).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diet among women with recent gestational diabetes: Opportunities for intervention. The Diabetes Educator, 34, 807-814. http://dx.doi.org/10.1177/01457217083236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