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환자 가족의 평가와 의료진의 인식 차이
Satisfaction Gaps among Physicians, Nurses, and Patient Famil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3 no.2, 2013년, pp.145 - 151  

강경희 (가천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atient family's evaluation of emergency department (ED) service satisfaction and to compare these with ED staff perception of patient family's evaluation. Methods: Based on two surveys of th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the 2008 Nat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Brown과 Swartz [11]의 정의를 이용해 이원적 관점(dyadic view)에서 응급실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환자 가족의 평가와 의료진의 인식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그 영향요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환자만을 대상으로 응급실 서비스 만족도를 분석하고 있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응급실 서비스 이용자와 의료진의 관점에서 응급실 서비스에 대한 기대수준과 경험의 차이를 제시함으로써 응급실 서비스의 질을 개선함은 물론 응급실 서비스에 대한 객관적 평가기준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다양화되었는데 그에 따라 어떤 필요성이 증가하였는가? 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다양화되면서 고객의 관점과 가치에 의해 의료서비스를 평가하고, 고객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정상적으로 외래진료를 받기 힘든 응급 환자들에게 제공되는 응급의료서비스는 병원서비스 만족도에 큰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응급 환자나 환자의 보호자가 응급센터 내에서 경험하는 이러한 응급의료서비스는 응급의료서비스를 평가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1-3].
간호사의 인식모형에서 응급실 서비스의 전반적 만족도와 세부항목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난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간호사의 인식모형에서는 병상 수, 근무 만족도, 환자 수 등이 응급실 서비스의 전반적 만족도와 세부항목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특히 근무 만족도가 높을수록 응급실 서비스의 전반적 만족도, 대기시간, 충분한 설명, 의사의 친절도, 응급실 환경 등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응급실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동안 응급실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조사는 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져 왔으며[4-8], 최근에는 수준별 응급의료기관[9]의 자료나 한국의료패널[3]을 이용해 응급실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고 있다. 병원 내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Park 등[9]은 대기실의 편의, 의사의 진료내용, 간호사의 처치, 치료 대기시간 등을 제시하고 있으며, Lee 등[3]에 따르면 사고(중독)/질병, 응급실까지의 교통수단, 응급실 도착 지연 여부, 서비스 종료 후 조치 등이 응급의료서비스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ee US, Park KS. The users' component satisfac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1994;5(2):336-346. 

  2. Je DW, Kim CH, Sung AJ, Seo JS, Ryoo HW, Park JB, et al. Comparison and analysis of overall user satisfaction over 10 years in an emergency medical center. J Korean Soc Emerg Med 2007;18(6):458-470. 

  3. Lee JC, Kim KH, Kim HN, Park YH. Patient satisfaction with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Korea: what matters most? J Korean Soc Emerg Med 2011;22(4):299-308. 

  4. Seo KS, Kam S, Park JB, Lee JH, Kim JK, Yun YK, et al. Assessment of patients' satisfaction and it's related factor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1998;9(4):523-532. 

  5. Moon SY, Kim SJ.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of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Korean J Child Health Nurs 2000;6(1): 5-17. 

  6. Chung JY. Analysis of geriatric patients' satisfaction in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2002;13(4):555-559. 

  7. Hutchison B, Ostbye T, Barnsley J, Stewart M, Mathews M, Campbell MK, et al. Patie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care in walk-in clinics, family practices and emergency departments: the Ontario Walk-In Clinic Study. CMAJ 2003;168(8):977-983. 

  8. Taylor C, Benger JR. Patient satisfaction in emergency medicine. Emerg Med J 2004;21(5):528-532. 

  9. Park JO, Shin SD, Song KJ, Ahn KO, Hong KJ, Suh GJ. Factor for the dissatisfaction of patient for emergency department services. J Korean Soc Emerg Med 2007;18(2):97-106. 

  10. Oliver RL. Product dissatisfaction as a function of prior expectation and subsequent disconfirmation: new evidence. In: Day RL, Hunt HK, editors. New dimensions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complaining behavior.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1979. pp. 66-71. 

  11. Brown SW, Swartz TA. A gap analysis of professional service quality. J Mark 1989;53(2):92-98. 

  12. Cho WH, Lee SH, Choi KS, Moon KT. Application of the SERVQUAL scale to health care services. Korean J Health Policy Admin 1999;9(4): 140-156. 

  13. Lee S, Choi KS, Kang MG, Cho WH. Measuring expectations in assessment of consumer satisfaction by SERVQUAL. Korean J Health Policy Admin 2000;10(3):155-168. 

  14. Parasuraman A, Zeithaml VA, Berry LL.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 Mark 1985;49(4):41-50. 

  15.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The 2008 national survey for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towards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the 2008 opinion surve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s [Internet]. Seoul: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08 [cited 2012 Dec 10]. Available from: http://www.nemc.or.kr/infor/board_view.jsp?num16&go4&boardLeftMenuFlag17&sub_boardLeftMenuFlagnull. 

  16. Watt D, Wertzler W, Brannan G. Patient expectations of emergency department care: phase I: a focus group study. CJEM 2005;7(1):12-16. 

  17. Boudreaux ED, Ary RD, Mandry CV, McCabe B. Determinants of patient satisfaction in a large, municipal ED: the role of demographic variables, visit characteristics, and patient perceptions. Am J Emerg Med 2000; 18(4):394-400. 

  18. Boudreaux ED, D'Autremont S, Wood K, Jones GN. Predictors of emergency department patient satisfaction: stability over 17 months. Acad Emerg Med 2004;11(1):51-58. 

  19. Sun BC, Adams J, Orav EJ, Rucker DW, Brennan TA, Burstin HR. Determinants of patient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return with emergency care. Ann Emerg Med 2000;35(5):426-434. 

  20. Kim IB, Chung SM, Kim KH, Cho JP. Survey on emergency medicine specialists in Korea: working patterns and level of satisfaction. J Korean Soc Emerg Med 2002;13(3):281-288. 

  21. Escriba-Aguir V, Martin-Baena D, Perez-Hoyos S.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burnout among emergency medical and nursing staff.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2006;80(2):127-133. 

  22. Kim JK, Kim YJ, Seo KS, Ryoo HW, Kam S, Park JY, et al.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commitment among Korean emergency physicians. J Korean Soc Emerg Med 2010;21(2):246-258. 

  23. Cho JY, Lee YW, Kim HS, Kim SH. Relationships among response for violence experience, hardin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 Korean J Adult Nurs 2011;23(5):494-5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