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3년도부터 감귤검은점무늬병에 걸린 과실율을 조사해 본 결과 2010년에 16.8%로써 가장 심하였으며 2005년에는 3.8%로써 가장 낮았고 10년간 평균 병든 과율은 8.8%이었다. 지역별로 최근 10년 동안 병든 과율을 비교해 보면 제주도 남동부, 동부지역에서 병 발생이 많았다. 또한 발병도를 조사해 본 결과 2003, 2004, 2007, 2010년 검은점무늬병 발병도가 각각 17.0, 22.6, 19.2, 18.9%로써 다른 해에 비하여 발병도가 높았다. 궤양병의 경우 2004년에 2.19% 발병하여 최근 들어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그 이후로 급격히 줄어들어 2009년과 2010년의 경우 0.08와 0.10%이었지만, 2011년의 경우 1.50%로써 다시 증가하였으며 2004년부터 2012년까지 평균 발생율은 0.81%이었다. 또한 발생 지역도 제주도 동부와 서부지역에서 많았다. 더뎅이병의 경우 2004년부터 2012년까지 9년간 평균 발생과율은 0.25% 이었으며 2004년 0.72%로 가장 발생이 많았다. 감귤 과실에서의 검은점무늬병 진전 상황을 조사해 본 결과 해에 따라 약간씩 상이하지만 7월 하순부터 8월 하순까지 병 진전이 가장 많았다. 더뎅이병의 경우 5월 10일경에 첫 병징이 나타났으며 이후 5월 하순에서 6월 중순사이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궤양병의 경우 6월 중순경에 첫 병징이 나타나서 6월 하순까지 봄순에서 병이 진전되었다. 죽은 가지에서 검은점무늬병 전염원 주 발생 시기는 6월 하순부터 8월 상순경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ercent of diseased fruit by Diaporthe citri was the most 16.8% in 2010 and the least 3.8% in 2005, and the average was 8.8% from 2003 to 2012. The degrees of disease incidence were relatively high, 17.0, 22.6, 19.2 and 18.9%, in 2003, 2004, 2007 and 2010, respectively. The percent of diseas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감귤 주 재배 산지인 제주도를 중심으로 최근 병 발생 상황을 조사하고 발생 양상을 분석하여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귤에 발생하는 병들 중 주로 피해를 주는 병은? 세계적으로 감귤에 발생하는 병의 종류는 90종 이상이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감귤에는 바이러스 병을 포함하여 35가지 이상의 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yun 등, 2002). 이들 중 주로 피해를 주는 병으로는 검은점무늬병(Melanose), 궤양병(Canker), 더뎅이병(Scab) 등이다.
2003년부터 10년간 제주도 지역에서 감귤검은점무늬병에 걸린 과실율을 조사한 결과, 병 발생비율이 높은 지역은? 8%이었다. 지역별로 최근 10년 동안 병든 과율을 비교해 보면 제주도 남동부, 동부지역에서 병 발생이 많았다. 또한 발병도를 조사해 본 결과 2003, 2004, 2007, 2010년 검은점무늬병 발병도가 각각 17.
감귤 병 발생양상이 변하게 된 감귤재배 형태의 변화는? 최근 들어 장마 개념이 없어지고 있으며 예전에 장마기인 6월 하순부터 7월 중순까지 집중적으로 비가 내렸던 것에 비하면 최근 들어 상대적으로 7월 강우가 줄어들고 8월에서 9월에 강우가 잦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병 발생 양상도 변하고 있으며 또한 최근 감귤재배 형태가 밀 식재배에서 간벌에 의한 재배로 바뀌어 있고 나무의 수령도 많아져서 과거에 발생이 많았던 더뎅이병 등이 상대적으로 발생이 줄어들고 검은점무늬병 발생이 많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Davis, R. M. and Wilhite, H. S. 1983. Relationships between melanose incidence and dead wood in Texas grapefruit. J. Rio Grande Val. Hortic. Soc. 36: 41-49. 

  2. Hyun, J. W., Kim, D. W., Lee, S. C. and Kim, K. S. 2002. Citrus diseases. In: Compendium of Citrus Diseases and Pests. pp. 14-92, National Jeju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and Jeju Citrus Agricultural Grower's Cooperative, Jeju. (In Korean) 

  3.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 996, ed. by S. Solomon, D. Qin, M. Manning, Z. Chen, M. Marquis, K. B. Averyt, M. Tignor, and H. L. Mill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4. Jeju Regional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Report of Regional Climate Change, Jeju. 7180 pp. (In Korean) 

  5. Mondal, S. N., Agostini, J. P., Zhang, L. and Timmer, L. W. 2004.Factors affecting pycnidium production of Diaporthe citri ondetached citrus twigs. Plant Dis. 88: 379-382. 

  6. Mondal, S. N., Vicent, A., Reis, R. F. and Timmer, L. W. 2007. Saprophytic colonization of citrus twigs by Diaporthe citri and factors affecting pycnidial production and conidial survival. Plant Dis. 91: 387-392. 

  7.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09. Understand of Climate Change II-Climate Change of the Korean Peninsula. 86 pp. (In Korean) 

  8. Ruehle, G. D. and Kuntz, W. A. 1940. Melanose of citrus and its commercial control. Florida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Bulletin 349, 54 pp.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9. Timmer, L. W. and Fucik, J. E. 1976. The relationship of rainfall distribution, fruit growth and fungicide application to the incidence of melanose of grapefruit in Texas. Plant Dis. Rep. 60: 565-568. 

  10. Whiteside, J. O. 2000. Melanose. In: Compendium of Citrus Diseases. 2nd ed., ed. by L. W. Timmer, S. M. Garnsey, and J. H. Graham, pp. 28-29,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St. Paul, M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