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유경관의 개념을 적용한 병원 옥외공간 조경설계 - 창원 경상대학교 병원을 사례로 -

Healing Landscape Design for Hospital Outdoor Space - A Case of the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Changwon -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1, 2013년, pp.82 - 92  

민병욱 ((주) 동심원 조경기술사 사무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설계안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삼정자동 555번지 일대에 건립예정인 부지의 면적 약 $79,743.1m^2$의 경상대학교병원 주변 옥외공간 설계의 기본계획안이다. 이 설계안의 목적은 환자의 회복과 일반 대중의 웰빙(well-being)을 돕고, 지역사회에 기여하며 주변 환경을 존중하는 생태적인 공간을 조성하는데 있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세 가지 설계 목표가 설정되었는데, 첫 번째는 경관의 치유기능을 높이는 것이고, 두 번째는 생태적으로 재생이 가능한 경관을 조성하고, 세 번째는 그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경관의 미적인 가치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먼저 치유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주변의 양호한 수림대와 연계를 하고, 치유의 기능이 있는 식물재료를 선별하여 식재하고, 다양한 감각 치유원, 명상의 공간, 약초원 등 치유프로그램을 공간에 도입하였다. 또한, 많은 연구에서 병원의 공간조성에 있어서 환자의 프라이버시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대로 환자의 유형과 일반인들을 고려하여 공간과 동선을 구분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생태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소나무 숲과 지형을 보존하고, 부지내로 연장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자연 수체계를 복원하고, 그 물을 재활용하여 조경 등의 용수로 사용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용자의 미적인 체험을 위해서는 주변 상록수림에 대비하는 활엽수와 각종 초화류를 식재하여 계절감을 강화시키고, 열매가 열리는 수종을 배치하여 산새가 날아들고 동물이 찾아오는 "자연속의 치유공간"이라는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더불어 모든 공간과 시설물은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에 따라 계획 및 설계되어 환자들에게 장애물이 없는 환경을 제공하려 하였으며, 생태적이고 경제적이며 관리가 용이한 유지관리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관리계획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a landscape design proposal for the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Changwon, Kyeongsangnam-do. The site is located at 555 Samjeongja-dong, Seongsan-gu, Changwon, Kyeongsangnam-do, and its area is approximately $79,743.1m^2$. The goal of the design was to 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부지 경계내로 관입되어 있는 소나무 숲으로 구성된 능선을 훼손하지 않고 보존하여 생태적 치유환경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다른 병원의 외부공간에 비하여 특화될 수 있는 경관요소라고 생각되었다(그림 4 참조). 따라서 인접한 삼정자공원의 수림대와 공원 내의 기존 산책로를 조성되는 병원의 외부공간에 직접적이고, 유기적으로 연계시키는 작업을 하였다.
  • 더불어, 병원의 이용자는 외래환자와 입원환자를 포함한 환자, 의료진과 기타 병원 운영을 담당하는 근무자, 지역사회 주민 및 일반 병원방문자의 3가지 그룹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따라 환자들에게는 빠른 치유를 돕고, 병원 근무자에게는 근무의 피로회복을 돕고 일터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으며, 지역주민에게는 여가와 학습의 기회를 주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 병원은 치료 및 치유의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시설이며, 그 외부 공간 또한 그 목적에 부합하게 조성되어 환자의 재활과 치유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환자의 회복과 일반 이용자의 웰빙을 돕고 지역사회에 기여하며, 주변 환경을 존중하는 생태적 공간을 조성하는데 설계의 목적을 두었으며, 이 설계안의 학문적인 의의로는 치유경관의 개념을 실질적으로 설계에 반영함에 있어서 나타나는 이슈와 고려사항 등이 앞으로의 유사한 설계를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을 것이다.
  • 이를 위해 부지 서측에 위치한 삼정자공원에서 흘러내리는 능선과 소나무 숲을 보존하여 부지 내부로 끌어들이고, 공개공지로 숲을 연장하여 생태적으로 건강한 녹지의 양을 최대한 확보하려 하였다. 이와 더불어 부지의 동선을 삼정자공원 동선과 연결하여 그 녹지의 활용도를 높이려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니버설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이란 건축가이자 제품디자이너였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의 로널드 L. 메이스(Ronald L. Mace)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었으며, “모든 제품과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인간 능력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사실을 인식하고, 이를 존중하며 이를 수용하기 위해 시도하는 디자인 개념 또는 철학”이라 정의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이 나오기 전에 정립된 환경설계의 디자인 철학으로는 무장애 디자인(Barrier-free Design), 접근 가능한 디자인(Accessible Design), 수용 가능한 디자인(Adaptable Design), 생애주기 디자인(Lifespan Design) 개념이 있으며, 이러한 모든 개념을 포괄하는 것이 유니버설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이용민과 권오정, 2009).
병원 등의 의료공간은 어떠한 기능을 하는 곳인가? 특히 병원 등 의료공간은 치료행위라는 매우 특수한 기능을 하는 곳이며, 다양한 이용객 층과 복잡한 물리적 구조를 갖고 있는 인공 환경이다. 그리고 병원 이용자의 대부분은 치료에 목적을 가지고 방문하는 환자들이며, 일시적 혹은 영구적인 장애를 지니고 있으므로 그들의 시각에서 시설을 계획하여야 한다.
창원에 최초로 설립되는 창원 경상대학교병원의 위치는 어디인가? 창원 경상대학교병원은 창원에 최초로 설립되는 3차 진료기관이 될 예정이다. 대상지의 위치는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삼정자동 555번지 일대이며, 약 79,743.1m2의 부지 위에 연면적 100,098m2의 병원이 들어설 예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이은진, 최상헌(2006) 사용자 유형분석을 통한 의료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체크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5(2): 124-129. 

  2. 이영경(2003) 심리적.생리적 측정에 근거한 산림경관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 한국조경학회지 31(2): 70-82. 

  3. 이용민, 권오정(2009)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선행 연구 동향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18(6): 239-248. 

  4. Alexander, C., S. Ishikawa, M. Siverstein, M. Jacobson, I. Fiksdahl-King, and S. Angel(1977) A Pattern Language: Towns, Buildings, Constru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 Guenther, R. and G. Vittori(2008) Sustainable Healthcare Architecture. New Jersey: Joh Wiley & Sons, Inc. 

  6. Kaplan, R. and S. Kaplan(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Marcus, C. C. and M. Barnes Eds.(1999) Healing Gardens: Therapeutic Benefits and Design Recommendations. New York: John Wiley &Sons. 

  8. Tyson, M. M.(1998) Healing Landscape: Therapeutic Outdoor Environments. UW-Madison Libraries Parallel Press. 

  9. Ulrich, R. S., R. F. Simons, B. D. Losito, E. Fiorito, M. A. Miles, and M. Zelson(1991) Stress recovery during exposure to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3): 201-230.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