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하천이나 댐 조성 시 형성되는 인공 또는 자연 사면의 안정성 확보에 고려되는 제방보호 식물이 수위와 탁도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임하댐 상류 지천에서 채취한 토양을 이용하여 탁수를 재연하였으며 사면 내 식물은 국내 대표 버드나무속 식물인 갯버들, 버드나무, 왕버들을 사용하였다. 또한 하천식물이 비침수의 회복시간을 가질 경우 재성장 가능성을 단계별로 분석하여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식물의 피해와 회복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대표 하천식물인 버드나무속 3종은 고탁도 침수가 발생하면 줄기의 경우 심각한 피해로 인해 성장이 멈추었으며 20일 동안 비침수의 회복이 진행되어도 재성장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엽수의 경우 침수로 인해 초기에는 감소했지만 비침수의 회복이 진행되면 갯버들은 초기상태 대비 59.3%까지 회복하였으며 버드나무와 왕버들도 초기상태 대비 각각 251.3%, 148.4%로 측정되어 재성장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d the effect of changing water level and turbidity on plants that serve to maintain slope stability on levees. In this experiment, soil collected from upstream of Imha Dam was placed in a water tank and planted with river plants of the Salix species: Salix gracilistyla, S. koreensis, an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퇴적암 지역에서 발생한 탁수가 하천 제방보호 식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탁수를 재연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탁수 발생은 세립질 토양을 이용해 재연하였으며 버드나무속 식물인 갯버들(Salix gracilistyla), 버드나무(Salix koreensis), 왕버들(Salix glandulosa)을 10일 동안 침수시킨 후 하천식물이 비침수의 회복시간을 가질 경우 재성장 가능성을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반변천 유역의 강우일수 및 식물의 침수시간 결정 등을 파악하기 위해 기상분석을 실시하였다. 창하천이 위치한 영양읍 무창리 강우자료는 가장 인접한 안동기상대의 관측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분석결과 최근 10년 평균(2003~2012) 강수량은 1,1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수행한, 제방보호 식물이 수위와 탁도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또한 하천식물이 비침수의 회복시간을 가질 경우 재성장 가능성을 단계별로 분석하여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식물의 피해와 회복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대표 하천식물인 버드나무속 3종은 고탁도 침수가 발생하면 줄기의 경우 심각한 피해로 인해 성장이 멈추었으며 20일 동안 비침수의 회복이 진행되어도 재성장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엽수의 경우 침수로 인해 초기에는 감소했지만 비침수의 회복이 진행되면 갯버들은 초기상태 대비 59.3%까지 회복하였으며 버드나무와 왕버들도 초기상태 대비 각각 251.3%, 148.4%로 측정되어 재성장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탁수의 특징은 무엇인가? 과거 탁수는 일시적인 현상이였으나 발생빈도가 증가하면서 생태계를 파괴하는 심각한 오염원으로 부각되고 있다(Tattersall et al., 2003; Choo et al.
국내에서 댐 저수지의 탁수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것에는 무엇이 있으며 그 원인은 무엇인가? 퇴적암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하천 및 댐 저수지에서는 태풍 및 국지성 폭우로 인해 탁수 발생 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 인해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 댐 저수지의 탁수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것은 임하댐과 소양강댐이 대표적으로 낙동강 수계의 임하댐은 상류하천 유역의 암석 풍화물질이 원인이며 북한강 지류에 위치한 소양강댐의 탁수는 상류지역 고랭지 채소 재배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Hwang and Jeong, 2006; Kim and Jung, 2007). 특히 낙동강 상류에 위치하는 임하호는 태풍과 홍수 피해복구공사 등으로 인해 심각한 탁수가 발생하였으며 상류하천 지질특성 및 침식은 탁수 장기화의 원인이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labaster, J. S., 1972, Suspended solids and fisheri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iological Sciences, 180, 395-406. 

  2. Choo, C. O., Koh, E. Y., Oh, S. J., Lee, S. W., Kim, B. K., Lee, J. E. and Kim, Y. K., 2006, Environmental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Matter and Turbidity Water at Gachang Dam in 2004, J. Miner. Soc. Korea, 19(1), 49-61. 

  3. Hill, R. D., 1974, Mining impacts on trout habitat, 57 in proceedings of a symposium on trout habitat research and management, North Carolina, 47-57. 

  4. Hwang, S. K. and Jeong, G. Y., 2006, Geology in Drainage Field of the Imha Dam and Origins of High Turbid Water in the Imha Lake, Andong, Journal of Econ. Environ. Geol., 39(6), 771-786. 

  5. Kim, B. C. and Jung, S. M., 2007, Turbid storm runoffs in lake Soyang and their environmental effect, Journal of KSEE, 29(11), 1185-1190. 

  6. Kim, J. H., Seo, J. W., Na, Y. E. and An, K. G., 2007,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on turbidwater in the downstream after a construction of Yongdam dam, Korean J. Limnology, 40(1), 130-142. 

  7. Kim, J. T., Kim, E. J., Kang, J. G. and Yeo, H. K., 2012, Analysis of Growth of Plant by Turbid Water, Proceeding of KSEG 2012 Fall Conference, 213-215. 

  8. Kim, S. W. and Park, B. S., 1970,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Yeong Yang sheet (1 : 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5-20. 

  9. Moon, W. K., Bae, D. Y., Jung, M. S., Lee, S. D. and Kim, J. K., 2012, Comparison of Larval Fish Survival of Pale chub (Zacco platypus) Exposed to Different Levels Turbidity, Korean J. Limnology, 45(3), 314-321. 

  10. Newcombe, C. P. and MacDonald, D. D., 1991, Effect of suspended sediments on aquatic ecosystems, North American Journal of Fisheries Management, 11, 72-82. 

  11. Park, J. C., Park, J. W., Shin, J. K. and Lee, H. M., 2005(a), Dynamics of High Turbid Water Caused by Heavy Rain of Monsoon and Typhoon in a Large Korean Reservoir (Andong Reservoir), Korean J. Limnology, 38(1), 105-117. 

  12. Park, J. W., Lee, K. L., Choi, J. S. and Kim, H. S., 2005(b),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fter Formation of Turbid Water in Lake Imha, Korean J. Limnology, 38(3), 429-434. 

  13. Shin, J. K., Yi, H. S., Chong, S. A. and Hwang, S. J., 2004, Development and Impacts of Turbid-water in the Freshwater Ecosystem, Korea,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proceeding, DaeJeon, 37-40. 

  14. Shin, M. J., Kim, J. S., Hwang, Y. H., Lee, J. E. and Seo, E. W., 2008, Effect of Turbidity Changes on Tissues of Zacco koreanus, Korean J. Limnology, 41(1), 73-80. 

  15. Tattersall, G. R., Elliotta, A. J. and Lynn, N. M., 2003,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in the Tamarestuary, Estuar. Coast. and Shelf Sci., 57, 679-688. 

  16. Yi, Y. K., Kim, Y. D., Kim, D. H. and Park, K. Y., 2004, Movement of High Turbid Water in Imha Reservoir,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roceeding, 786-7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